늦가을 소나무와 굴뚝새 동화가 좋은 친구들 3
권정생 외 지음, 김혜영 그림 / 여우오줌 / 2002년 11월
평점 :
품절


늦가을 소나무와 굴뚝새...라는 작품이 있다.
소나무를 둘러싸고, 조상님이 고집센 나무여서 가을이 돼도 시퍼렇다고 놀리는 나무들...
어느 날 굴뚝새가 날아와, 변함없는 소나무에 깃들인다.
권정생 님의 작품인데, 간결하지만, 고집스런 삶, 절개의 필요함을 큰 소리로 알려 주신다. 

이주홍의 '가자미와 복쟁이'는 가자미가 납작해진 이유와 복어 배가 볼록한 이유를 붙인 동화다.
중학교 책에 실렸던 '황새와 개미와 소새와...'를 쓴 채만식과 비슷하다.
두부장수 가자미와 기름장수 복쟁이는 욕심쟁이여서 서로의 물건을 훔쳐 간다.
욕심에 욕심을 내던 가자미는 기름틀에 눌려서 납작해지고, 복쟁이는 두부콩을 너무 먹다 배가 볼록해진 이야기.
일제시대 들어온 '가마니'란 말 대신에 '섬'이란 우리말을 쓰는 말투가 곱다. 

게가 되고 싶은 새우, 조장희
새우도 게도 아닌 어느 녀석이 '게새우, 게재우, 게재, 가재'가 된 이야기.
미운오리새끼와 비슷한 구석이 있다. 

들국화와 반딧불이, 이준연...은 바위나리와 아기별...과 비슷한 구석이 있다.
금단추처럼 노란 얼굴을 한 들국화를 사랑하는 온갖 곤충에 치여서 반디는 외롭지만, 밤이 되면 반디는 금단추 같은 별을 닮은 들국화를 사랑하러 와 준다. 자신감이 없어 오지 못하는 반디의 이야기...
근데, 나는 이 아름다운 반디...를 '반딧불이'라고 부르는 사람들이 이해가 안 간다.
반디와 반딧불... 얼마나 예쁘냐... 그걸 꼭 반딧불이라고 불러야 직성이 풀리는 이들은 새해 복 없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9-01-29 15: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흐흐흐~ 마지막 문장에 추천입니다.
큰딸 중1때 어머니독서회를 '반딧불'이라고 명명했는데, 졸업시키고 둘째 2학년때 다시 갔더니 어느틈에 '반딧불이'로 둔갑시켰더라고요. 작년에도 시정을 요구했는데 안됐어요. 우린 개똥벌레 독서회가 아니고 개동벌레 똥꼬에서 나오는 불빛을 의미한다 해도 막무가내~ 독서회 이름 바꿀려면 회장을 해야 할까?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