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부의 고전 - 스스로 배우는 방법을 익히기 위하여 ㅣ 상냥한 지성
루키우스 안나이우스 세네카 외 지음, 정지인 옮김 / 유유 / 2020년 5월
평점 :
저자의 서문을 읽다 공감했다. 독자가 이 책을 접어들었다면 공부에 관심이 있거나 적어도 고전 읽기 등에 욕심이 있을 것이라고. 이 책은 고대부터 중세에 이르기까지 공부에 관한 이야기를 설파한 지식인을 소개하며 그의 대표작을 이야기한다. 소개하는 내용이 책인 경우도 있지만 논설문인 경우도 있다. 길(안내)인 만큼 핵심 부분을 간추려 소개한다. 고전을 안내하는 책이 많은 것 같지만 사실 독자의 마음에 들기란 쉽지 않다. 개인적으로는 얇은 페이지 수에 큰 기대를 하지 않고 읽는다면 꽤나 도움이 될 책이라 생각한다. 다만 서양 지식인만 다뤄지는데다 이들이 신 중심의 기독교 세계관에 빚을 지어 사고하는 시대에 살았다는 점을 감안하며 읽어야 한다.
개인적으로 가장 흥미로운 인물은 새뮤얼 존슨이었는데 그가 말하는 바는 구구절절 공감이 갔기 때문이다.
먼저, 도서관은 쓸모 없는 곳이며 능력 있는 사람이라면 그런 도움 없이도 자신이 스스로 다 해낼 수 있다고 생각하는 사람(책만 들여다보는 일은 쓸데 없이 기억력만 소비하는 일이라고 말한다)에 대해 일침을 놓는다. 그렇게 말하는 사람은 자신이 지혜롭다 여기며 자만하는 사람이라고. ‘책은 대체 왜 읽어요? 도서관엔 왜 가나요? 책에 왜 그렇게 돈을 쓰세요?’ 하는 이야기를 종종 들을 때가 있는데 그런 질문을 하는 사람은 자신이 모든 것을 능히 다 해치울 수 있다고 생각하는 걸까. 아니면 동영상에서 얼마든지 그런 정보를 소비할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일까? 두 번째로, 그는 베이컨의 공부와 독서를 인용하며 독서와 글쓰기, 토론의 중요성을 이야기한다. 물론 독서를 통해서 앎을 얻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또 독서의 목적이 지식이나 지혜가 아닌 다른 목적인 경우도 있다. 그러나 적어도 만약 앎을 목적으로 한 독서를 하고 있다면 책에서 얻은 앎에서 그쳐서는 안 된다. 누군가와 그 책에 대해서 토론해야 하고 자신의 생각을 꼭 기록해야 한다. 책 읽는 시간이 아까워서 요즘 ‘주로’ 읽기만 하는 나 자신을 다시 한 번 반성했다. 읽고 쓰고 나누기, 기본이지만 꼭 해야 하는 일이다.
마침 비코의 <새로운 학문>을 읽고 있었는데 이 책에서 다뤄져서 살짝 소름이 돋았다^^; 그 시대도 청소년의 공부법에 문제가 많았나보다. 누가(부모가) 강요하거나 떠먹여주는 공부를 왜 하는가를 비판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성향이 어떤지 어떤 공부를 해야 하는지 목적 의식이 없는 공부를 하다 보니 떠밀리듯 공부를 하고 있다는 것인데 놀랍도록 통찰력 있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어릴 적 나도 스스로 좋아하는 공부가 무엇인지 주인 의식을 갖고 했다면 지금 좀 다른 삶을 살고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비코는 타락한 인간 본성을 위해서는 학문과 지혜에 도움을 구해야 한다고 말한다. 지혜는 세 가지 방법으로 얻을 수 있다. 이는 격조 있게 말하는 것(바른 말을 쓰고), 확실히 아는 것, 바르게 행동하는 것이다(어떻게 보면 뻔한 이야기 같지만 이를 모두 지키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지금 일어나고 있는 일, 그리고 과거의 일을 올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각자의 자리에서 자신의 의무를 잘 수행해내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결국 그의 말에 의하면 이는 도덕과 신학의 가르침이다.
공교롭게도 앞에서는 세네카가, 뒷부분에서는 세이어즈가 자유학문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중세의 공부 법인 리버럴 아츠(3학 4과)는 공부를 어떤 방법으로 해야 하는지 통찰력을 던져주는 이야기라 할 수 있다. 특히 세이어즈는 2차 대전 직후 영국의 교육 개혁에 대하여 비판하며 과거의 자유학문(리버럴 아츠)에서 해결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당시 교육이 지나친 전문화로 매몰되어 있다는 지적이었다. 4과가 과목들이라면 3학(문법, 변증술, 수사학)은 4과를 배우기 전 예비 과목이라고 할 수 있다. 3학은 배움의 도구를 제대로 사용하는 법을 가르치기 위한 학문이기 때문에 공부를 하는 사람이라면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과목이다.
대학에 들어갔을 때 다양한 교양 수업을 듣지 못한 것을 후회하곤 한다. 지금의 대학은 과목을 가르치는데만 집중하고 사고하고 논쟁하고 결론을 표현하는 방법을 가르쳐주지 않는다. 사고하고 논쟁하고 결론을 표현하는 방법이 바로 3학의 핵심 내용이라고 할 수 있는데 이를 배우지 않고 오로지 기술(과목)만 배운다는 말이다. 비단 당시의 교육만 문제라고 할 수 있을까. 지금 대한민국의 교육도 곱씹어볼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이 중 관심이 가는 저자 또는 관련 저작을 찾고 더 나아간다면 이 책을 통해 얻고자 하는 소기의 목적은 달성된 것이라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