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침에 즐겨보는 맛집 프로그램에 '병어회 무침'이 나왔다.
기억은 마음 내키는 곳에 드러눕는 개와 같다더니,
병어라는 생선을 보는 순간 잊고 있던 한 여성작가의 단편소설이 생각나면서
그 선량하고 맑은 눈망울과 얼굴이 대문짝만하게 떠올랐다.
'병어회'의 이순(李旬), 80년대 초에 활발하게 작품활동을 한 이이다.
당시에는 미모가 뛰어난 작가가 흔하지 않았는데, 조분조분한 말솜씨와
탤런트 뺨치는 해사한 얼굴로 텔레비전의 한 문학 프로그램 진행자 자리도 꿰찼었다.
초대손님으로 나온 작가와 책 이야기를 나눌 때 보면 그이는 꽤나 논리적이고
빈틈이 없었다.
<소설문학>이라는 문예지의 표지모델이 되었을 때, 그는 말했다.
이 나이에 기미와 주근깨투성이의 확대한 얼굴 사진을 표지에 싣다니, 무모한 도전이라고......
이상하게 그 말이 지금까지 기억에 남는다.
(그 때 그이의 나이가 30대 중반, 혹은 후반?)
'백부의 달'이니 '네게 강 같은 평화'니 하는 그의 대표소설들을 발표된 지 몇 년 지나
겨우 챙겨본 터이지만, 그의 작품들은 뭐랄까, 하나같이 조미료를 치지 않은
삼삼한 맛의 음식 같았다.
다소 자극적인 음식을 좋아하는 나의 입맛에는 별로 맞지 않았다.
한 소시민 가족의 일상을 세세하게 묘사한 '병어회'는 꽤 재밌게 읽었다.
TV문학관인가 아무튼 어떤 방송에서 단막극으로 만들어 방영했던 것도 기억난다.
그런데 소설을 발표하고 대학 강의도 맡고 한창 열심히 일하던 인생의 절정에서
어느 날 그이는 쓰러졌다.
그리고 다시는 이전의 그로 돌아올 수 없었다.
나중에 의식이 돌아왔다고는 하나 어린아이의 단계에 머물렀다고 하니
얼마나 기가 막힌지.
처음 그 소식을 접하고 말할 수 없는 공포를 느꼈다.
커다랗게 아가리를 벌리고 있는 인생이란 놈에게 언제 어떻게 잡아먹힐지 모른다!
그의 남편이 바로 소설가 한남철(혹은 한남규, 두 가지 이름을 썼다.).
창작집 <바닷가 소년>이 1991년인가 창비에서 나왔는데, 그 무렵 가진 어른들의 술자리에
운좋게 나도 낄 수 있었다.
내가 무지 좋아하던 <사양>의 작가 다자이 오사무 풍의 얼굴이었다.
어느 날 갑자기 쓰러져 어린아이가 되어버린 아내와 사는 세월이 어떠했는지
그의 얼굴이 그 눈빛이 고스란히 말해주고 있었다.
소설가 이순 씨 부부의 자세한 이야기는 90년대 초반, 나이를 떠나 우정을 느낀
한 초로의 여인에게서 들었다.
그는 유명한 작고문인의 아내이며 딱 한 편의 소설을 써서 등단한 이후
이십여 년째 소설을 발표하지 않고 책만 열심히 읽고 있었다.
업무 때문에 만났지만 이상하게 마음이 끌려 카를린 봉그랑의 <밑줄 긋는 남자>가 막 나왔을 때
재미있게 읽고 그녀에게 한 권을 사서 부쳤다. 간단한 엽서와 함께......
그랬더니 어느 날 나를 점심에 초대한 것이다.
그가 사는 용산의 주택가, 분위기 좋은 스파게티집이었는데
그날 나는 난생 처음 스파게티란 걸 먹었다.
또 사람이 나이를 떠나서 친구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처음 깨달은 날이기도 했다.
점심을 다 먹고 차를 마실 때 그녀의 가까운 이웃인 소설가 부부 이야기가 나왔고,
젊은 아이가 이순을 생생하게 기억하는 게 대견하다며
얼마 뒤 그들의 저녁식사에 나를 불러주었다.
그로부터 불과 몇 년 뒤 그 소설가는 아내를 남겨두고 먼저 세상을 떠났다.
병어회, 하면 그들 부부의 얼굴이 연이어 떠올라서 즐기지 않는다.
그런데 언젠가 어느 식당에서 먹어본 병어조림은 살이 아주 연하고 고소하고 맛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