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을 잃고 난 후 알게 되는 것들 - 상실의 힘으로 사랑을 치유한 기록들
리처드 클루스 지음, 이명신 옮김 / 브리즈(토네이도)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최근 여행 책을 읽으면서 느낀 건데, 꼭 떠나야 알게 되는 걸까? 

사람들을 하나씩 슬픔이란 걸 가지고 있다. 그리고 그걸 극복하는 방법도 제각각이다. 그런데, 요즘 내가 읽는 책들은 "여행"을 많이 선택한다. 직장에서 짤리고 대책없이 미국으로 가질 않나, 그리고 이사람 리처드 클루스는 우울증으로 아내가 죽자 세계 여행에 나선다. 그리고 그곳에서 그림도 그리고. 여행.... 관광코스 우르르 몰려다니면서 사진 찰칵찰칵 찍어대는 게 아니라 온전히 자기 자신에게 집중하면서 현실을 잠시 떠나보면 정말 자기 자신에 대해 알게 될까?

책의 마지막 장을 아주 유심히 읽게 되었다.

p236 여행은 그저 나를 찾기 위한 르네상스 미션이었다.

       삶은 연약하지 않다. 상상을 초월하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p237 삶은 그 자체가 목적이다. 자기 자신으로 산다는 건 삶과 죽음이 만들어낸 거친 영역을 의식적으로 채워하는 것, 그리고 모든 상황에 성의를 다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

      누구나 살면서 빛과 어둠을 만나게 마련이며 평정으로 그들을 대해야 함을 알았다.

p238 나는 처음으로 삶에 귀를 기울이고 있다.

 

사실 초반 부분은 소설을 읽는 것처럼 극적인데, 중반으로 가면 약간 나른하다. 신세한탄 같기도 하고, 별 극적인 사건이 없다는 것도 그렇고. 그렇게 이제 여행이 끝나는 마지막 시점에 가면, 나오는 글들이 참 마음에 든다. 어쨌든 이 사람도 역시 도를 닦고 돌아왔군 하는 그런 생각.

역시 떠나보면 알게 되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 거야 - 230 Days of Diary in America
김동영 지음 / 달 / 2007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미국 여행기라고 해서, 그리고 "너도 떠나보면 나를 알게 될거야"라는 감성적인 제목때문에 이 책을 골랐다. 사진도 감각적이고, 내용도 후루루 읽기에 좋다. 그렇게 깊지도 가볍지도 않은 것이.

나도 떠나보면 알게 될까? 이렇게 장기간 여행해본 적이 없다. 영문과를 나왔지만, 남들 다 간다는 1년간의 어학연수도 없었다. 나는 졸업하고, 빨리 취직해야 했으니까. 1년을 쉬면 어떻게 되는 줄 았다. 그리고 8년을 줄곧 일했다. 잠깐 쉬고 싶은 순간도 있었지만, 늙으면 쭉 쉴텐데 하는 생각 때문에. 잠깐 잠깐 해외여행을 떠나보기도 했지만, 휴.... 230일 동안 쉰다고? 한때는 외국에서 1년 동안 생활해 보는 것이 로망이었는데, 이제는 더 이상 그런 꿈도 없다. 제길....

그래, 내가 글을 읽는 중 가장 공감했던 부분은 높이 올라가는 것만 있는 것이 아니라, 옆으로 넓어지는 것도 있다는 것. 옆으로 넓어질 수도 있는 거다. 그래 맞다.

내가 차를 사서 미국 여행을 하면 어떨까하는 상상을 해본다. 흑.... 난 10년째 장농면허. 미국가서 바로 차를 몰아봐?  그리고 stopover로 공항에만 발 들인 샌프란시스코에  가보고, 앗.. 시애틀, 그리고 LA, 라스베가스, 시카고, 마이애미도 가봐야 하는데, 그리고 동부쪽도 쭉 돌아주고... 이거 미국 너무 넓어서 제대로 돌아질래나?  나 혼자만의 시간을 가져보면 나를 알게 될까?

나도 나를 알고 싶다. 얼마나 외로울까? 그래도 좋을까? 옆으로 넓어져도 괜찮지 않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구해줘
기욤 뮈소 지음, 윤미연 옮김 / 밝은세상 / 2006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우연히 읽게되었다. 뉴욕 관광을 마치고 보스톤으로 돌아와서 여전히 시차적응이 안되서, 잡게 된 책! 소설의 배경이 되는 곳이 바로 뉴욕이었다는 점에서 처음부터 호기심 자극. 어머어머... 내가 어제 갔던 곳이잖아? 하면서 읽게 되었고, 작가 이름도 제목도 낯설었다. 그런데, 다 읽고 나서 작가와 작품이 궁금해서 찾아봤더니 요즘 꽤 인기 있는 사람이었다. 그럼 그렇지. 새로운 작가 발견! 베르베르의 파피용에 적잖은 실망을 한 나. 오호라. 이 사람이닷! 내용도 내용이지만, 스토리 전개, 그 구성방식이 맘에 든다. 내가 영화를 만든다는 느낌으로 장면을 상상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그리고 내용은... 역시 세상사 돌고 돈다는 것. 우연히 여자 경찰을 죽였고 누구를 죽였는지도 모르고 살아가지만, 10년 후 여경은 의사 앞에 나타난다. 물론 귀신이지. 빚지고 살지 마라, 나중에 어떻게 될지 모른다... 뭐 그런 말들이 동양이나 서양이나. 뭐 세상사 이치 다 그런 거 아닌가 싶다.

그리고 또 하나. 이건 그냥 읽으면서 잠깐 든 생각인데, 역시 사람은 잘 꾸미고 다녀야 한다는 것. 뉴욕에서 커피 종업원이나 하던 여자가 어느 날 변호사 친구의 옷을 빌려 입고 나가자, 바로 즉시 남자 하나 걸려든다. 물론 소설 속 이야기지만, 어쨌든 현실에서도 커피 종업원 꿰제제 그래서는 남자 안엮인다. ㅋㅋㅋ  소설 아주 초반부에 이 부분을 보면서 살짝 웃었던. 외모 중요해~

기윰뮈소란 사람이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파피용 (반양장)
베르나르 베르베르 지음, 전미연 옮김, 뫼비우스 그림 / 열린책들 / 2007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믿을 수가 없다. 내가 좋아하는 작가 베르나르 베르베르가 쓴 게 맞나?

글쎼 초반부에 기대감과 긴장감을 주던 스토리 전개는 갈 수록 힘이 없어진다. 또 <개미><뇌>에서 보여줬던 스토리 전개 방식도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그렇다고 <나무>에서 받았던 신선함도 없다. 우주로의 여행이라는 소재 자체가 내게 관심이 없어서 그런가?

어쨌든, 사틴이 아주 중요한 일을 할 것처럼 처음에는 나왔다가 어의없이 프로젝트에서 빠져버리고, 또 중반부에 갑자기 등장해서 또 금새 사라져 버린다. 그리고 마지막 부분 여자의 죽음 또한 어의없다. 체위가 마음에 들지 않아 헤어지고, 결국 독사에서 물려죽다.... 그리고 남자는 인공배아법을 이용하여 쉽게(?) 여자 아이를 만들어낸다. 이런....

베르나르 베르베르... 다음 작품은 기대해 볼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내 서른 살은 어디로 갔나 - 신현림 치유 성장 에세이
신현림 글.사진 / 민음사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정말 내 서른 살은 어디로 갔지?

제목이 맘에 들었다. 그래서 읽게 됐다.  서른 살. 나도 서른 살이었고, 이제 내일이면 서른 하나가 되겠군. 내 서른 살에 나는 너무 많은 일을 겪었다. 아마 남들이 들으면 그래서 뭘? 하겠지만. 나도 사실 저자가 여러번에 걸쳐서 대학 실패한 이야기를 꺼낼때, 그래서 뭘? 그게 왜? 했다. 그것도 힘든 거냐고. 대학 실패한 사람이 어디 한 둘이더냐고. 그러게 뭐하러 그렇게 여러번 시험을 치냐고. 남의 말은 그렇게 쉽다. 정작 내 일이 어려워서 그렇지.

내 서른 살은 결혼을 했고, 잠깐의 행복한 신혼생활이 있었고, 그리고 남편은 아프다. 그 다음 시댁쪽에서는 어떻게든 둘이 같이 살아야 한다고 하고, 내 쪽에서는 현명하게 모든 것을 판단하라고 말한다. 나는 지금 어떻게 하는 것이 현명한 것인지 그 답을 찾기위해 이 생각 저 생각을 하고 있다. 그래도 결론이 안난다. 아마 훌쩍 40살이 되면 그게 정답이었지 하고 답이 떠오를지도.

서른 살이 되면 또 다른 시작이라고 한다. 나도 그래서 그렇게 시작했는데. 내 시작은 초장부터 엉망이다. 서른 살을 잘 보내면 마흔 살도 쉰 살도 잘 보내지려나 했지. 그런데 이게 뭐람.

어째 책에 대한 평을 쓰는 게 아니라 내 신세 한탄만 늘어놓는 꼴이 되고 말았다.

내 서른 살을 사랑하고 싶은데, 그게 잘 안된다.

이러다 내 서른 하나는 어디로 갔지? 그러고 있지는 않을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