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이상민 교수의 창의력 영어
이상민 지음 / 종이와나무 / 2016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고등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치면서 영어 공부 어떻게 시킬 것인가 정말 고민이 많다. 무작정 외우기? 더 이상 이건 아닌 것 같다.

학생들의 사고를 키우기 위한 고민을 많이 하게 되는데, 이 책은 그에 대한 아이디어를 많이 제공해 주는 책이다. 어린 학생을 둔 학부모나 일선 학교 영어 선생님들이 한번 보면 좋을 듯 싶다. 

 

p15 우리나라 교육은 동기와 호기심을 주지 못하고, 획일적인 모범생들만 만들고 있으며, 주입식 교육으로 정답 맞추기를 강요하고, 실패를 용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28 외국어 어휘를 통해 더 많은 의미와 개념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이를 통해 더 많은 확산적 사고를 할 수 있게 된다. 또 자연스럽게 터득하게 되는 모국어와 달리 외국어는 문법과 같은 법칙을 의식적으로 공부해야 하기 때문에 수렴적 사고 연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기도 한다.

 

p41 창의성 연구의 또 다른 대가인 길포드J.P. Guilford는 사고를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와 수렴적 사고(convergent thinking)로 나누었다. 확산적 사고는 쉽게 말해서 다양하고 많은 아이디어를 창출해 내는 사고이다. 즉 하나의 답을 정해놓지 않고 다양한 답과 대안에 대해 생각을 해보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수렴적 사고는 한 가지 문제에 대해 하나의 답을 찾아가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수렴적 사고는 전통적인 학교 교육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방식이라고 이해하면 된다.

 

p200 <신데렐라>의 여러 버전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만들어준 친절한 사이트usm.edu가 있다. 신데렐라 프로젝트라는 사이트이다. 서던 미시시피 대학에서 1700년대부터 영어권에서 쓰여진 신데렐라 이야기 12개의 다른 버전을 모아서 웹사이트에 올려놓은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버전 12개를 단순히 올려놓은 것이 아니라 각 버전을 에피소드로 잘라서 하이퍼링크로 연결해놓았다. 이렇게 해놓으면 이야기를 전통적인 책 읽기 방식으로 페이지별로 차례대로 읽는 것이 아니라 여기 저기 골라서 읽을 수 있다.

 

p205 재미있는 사진을 보여주고 그 사진에 대해서 묘사를 해보게 하자. 아니면 옆의 그림처럼 유명한 그림에 대해 묘사문을 써보는 것도 좋다. ‘Google Art Project’라는 사이트에 가면 엄청나게 많은 명화들을 볼 수 있는데, 그림 한 부분을 확대해서 볼 수도 있다.

 

p211 우리는 인생을 사는 동안 끊임없이 무엇인가를 배우게 되는데, 이 배움은 지식이나 경험을 통해서 얻게 된다. 책을 통해서 배우면 지식인 것이고, 실생활을 통해서 배우면 경험인 것이다.

 

p231 다중지능 테스트를 해볼 수 있는 사이트는 여러 군데 있는데, 저자는 BGFL사이트bgfl.org를 자주 이용하고 있다. 문항이 꽤 많긴 하지만, 시간이 날 때 아이와 함께 한번 해보는 것도 아이를 좀 더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p241 <The very hungry caterpillar>의 삽화가 유명한 이유는 콜라주를 활용하여 아주 예술적으로 내용을 표현했기 때문이다. 이 책의 삽화는 특히 유명해서 유아용 책으로는 명작으로 꼽힌다. 인터넷에서 찾아보면 저자인 에릭 칼Eric Carl과의 인터뷰가 있는데, 저자는 인터뷰에서 어떻게 콜라주를 사용하여 이 책을 완성했는지에 대해 설명을 한다. 아이가 영어를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면 상위 수준 활동으로 이 인터뷰를 들어보면 좋겠다.

 

p248 독후감 활동 예시로 볼 책은 <Hoot>라는 책으로 상당히 유명한 청소년 문학작품이다. 우리는 부엉이 울음소리를 부엉부엉이라고 하는데 영어로는 ‘hoot hoot’이라고 한다. 이 책의 제목은 부엉이의 울음소리를 딴 것이다. 이 책은 내용상으로만 본다면 미국 초등학교 5~6학년 정도 수준이다. 그러나 길이나 영어 수준으로 본다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고급레벨 학습자advanced learner가 아니면 어렵다.

 

p282 Detective Notebook 사이트pbslearningmedia.org는 문제를 하나씩 풀어나가면서 추론에 대한 개념을 잡을 수 있도록 도와주는 사이트이다. 초등학생이 추론 연습을 할 수 있도록 간단한 추론 문제들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개미는 설탕을 좋아하고, 저기 설탕이 떨어져 있고 근처에 개미가 지나가고 있다. 이때 어떤 일이 벌어질까?’와 같이 아주 간단한 문제들이다. 쉬운 영어로 되어 있어서 풀기가 어렵지 않다. 텍스트를 읽어주는 기능도 있어서 듣기 연습용으로도 쓸 수 있다.

 

p298 짜임새 있는 글을 쓰려면 생각을 조직화하는 것이 필요한데 설득지도 persuasion map와 같은 그래픽 오거나이저를 활용해보자. 초등 저학년이라면 OREO 가이드가 좋다. 우리가 알고 있는 쿠키의 이름과 같다. 여기서 OREO‘Opinion-Reason-Example-Opinion’의 머리글자를 따온 것인데, 이 순서대로 생각을 정리해보라는 의미이다. 사고를 조직화하지 못하고 그냥 자기가 원하는 것을 두서없이 말하게 되면 설득력이 없다. 자신의 의견에 대해 이유를 설명하고 결론에서 의견을 다시 되짚는 OREO 방법으로 글을 써보면 도움이 많이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리셋 - 유수연의 영어 사고법 세팅 노하우
유수연 지음 / 서울문화사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영어 공부 왜 해야 하나요? 영어가 정말 필요한가요?

 

나도 이런 질문 많이 받는 사람 중 하나다.

영어를 잘하면, 일단 상급학교 진학에 유리하고부터 시작해서, 우리사회에선 취업이며 승진에 유리한 건 물론이고, 여행 갈 때 편하고, 미드나 영화보기도 한결 수월하고 .... 쓸 데가 없마나 많은 줄 아내고 말해주지만. 실상은 영화는 자막보면 그만하고 여행도 비자 카드 하나 들고 나가면 영어 몰라도 돈이 편리하게 해준다. 상급학교 진학? 이제 영어는 절대평가가 되어버렸다.

 

그럼 대체 영어는 왜 배워야 해?

저자는 현실적이다. 자신이 써먹을 수 있으면 된다고 한다. 토익 강사면 토익 강의에 나올 영어를 하면 되는 거고 무역하시는 분은 무역 영어를 알면 되는 거고.

 

p167  대부분의 사람들은 "왜 영어공부가 하고 싶어요?"라는 질문에 영어로 유창하게 대화를 하기 위해서라고 답한다. 회사에서 경쟁력이 되는 영어는 이메일과 비즈니스 문서 영어이지만 그것이 회화를 잘하는 것과는 아주 무관하다는 사실을 아무도 알고 싶어 하지 않는다. 당신의 영어회화는 그저 길거리에서 소모될 뿐 당신의 경쟁력이 되지 않는다. 길거리에서 외국인들과 시시덕거리는 영어회화는 실속 없는 명품백과 같은 것인 반면, 우리에게 필요한 영어는 직업의 경쟁력과 특정 전문 분야의 지식과 정보를 위한 수단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영어공부의 목적과 범위를 우선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공부 방법 면에서도 저자는 스토리텔링 기법이나 어원을 공부하는 방법, 패턴 영어 등 기존 방법을 소개하기도 한다. 그것이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건 아니지만 그것보다 품사를 따지는 것 그리고 던어가 어떤 상황에서 어떤 단어들과 함께 쓰이는지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말한다.

 

p112  어원

p117 우리말 1:1 해석으로 알 수 없는 뉘앙스

p122

 p130 우리말 번역은 허가, 금지 동일하지만 다른 쓰임인 경우

p128

동의어랍시고 1:1로 외우는 것 보다, 단어 공부 할 때 연관되는 단어를 같이 기억하는 것도 좋은 방법 p142

명사의 경우는 단어의 개념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p228

 

구글 시대라 해도 번역기 통역기의 한계는 있는 법!

p221 뭐든지 아는 사람이 더 좋은 물건을 더 싸게 잘 사듯이 번역기나 통역기의 도움을 받기 위해서는 본인이 영어에 대한 기본 이해나 안목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영문학과 출신도 더군다가 SKY대 출신도 아닌데, 이만큼의 실력과 명성을 쌓은 것은 생각하는 방식의 차이지 싶다. 영어 허세를 버리고 철저히 실용적인 현실적 접근을 했다는 점. 그리고 강이 방식에 대한 견해도 칭찬할 만하다. 

 

p161-162 사람들은 자신이 모른다는 것을 인지하는 정도까지만 배우기를 원한다. 자신이 아예 모르는 영역으로 들어가기를 강요받는 순간 사람들은 지루해하고 오히려 불쾌해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는 강사가 아는 것을 전달하는 것이 아니다. 강의는 다수가 듣고 싶어 하는 공통적인 사항에서 그들이 아는 수준에 맞춘 간단한 룰을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다.

즉, 당신이 궁금해하는 선에서 시선을 약간만 올려 만족을 주는 것이 인기 강의의 비결이다. 너무 깊이 들어가지 않으면서도 지적 만족을 주는 선에서 멈추는 것. 그래서 대중적인 강의들의 만족도가 교수님 강의보다 높게 나온다. 교수님 강의가 전문가용이라면 강사의 강의는 대중 상품인 것이다. 대중 상품은 무조건 품질이 너무 높은 것이 좋은 것은 아니다. 눈높이에 맞춰 누구나 좋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적절한 선에서 끊고 보편적인 룰을 만들어 쓰기 쉽게 해주는 것이 대중적인 강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영어, 왜 중학교 가면 와르르 무너질까? - 중학교에서 제대로 실력 발휘하는 초등영어학습 로드맵
쎄듀영어연구소 지음 / 쎄듀(CEDU) / 2017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중학교 1학년 영어 수업에 들어갈 기회가 있었다.

영어는 다른 과목과 다르게 선행학습을 하는 과목이라 잘 하는 아이와 못하는 아이가 극명했다. 그것도 교과서 진도 수준을 놓고 본다면, 교과서 진도를 훨씬 뛰어넘을 만큼 영어가 유창한 아이와 교과서 진도조차 못따라가는 아이들. 중1때는 그렇다 치고 2학년부터는 아예 상반과 하반이 나누어 진다. 이럴 수 밖에 없는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영어는 부모가 관심을 가지고 어릴 때 부터 영어유치원이다 뭐다 시키는 게 워낙 많다보니, 중학교가서 제대로 하겠다 하면 늦다는 말이 있다. 사실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하는 영어는 주로 게임이나 노래 그런 거니까.

그 수업을 들어가 보면서 사교육의 힘을 새삼 느꼈다.

 

그래서 이런 책도 나오나 보다.

이 책은 초등영어학습의 로드맵을 학생의 성향과 실력에 따라 잘 짜보라고 엄마들에게 권하는 내용인데, 읽어보면 영어 공부를 왜 해야 하고 영어를 배우는 목적이 무엇인지 등 논리적으로 잘 설명되어 있다.

 

p92 단어는 영어 이해를 위한 기본 요소이고, 문법은 영어문장을 풀어내는 데 필요한 요소다. 그리고 읽기는 영어를 쓰고 말하기 위한 사전작업이자 영어다운 표현력을 늘리는 중요한 과정이다.

 

p93 일상 대화 몇 마디를 나누는 건 영어 실력을 늘리는 데 큰 의미가 없다. 그것보다는 실질적으로 영어를 얼마나 잘 활용할 수 있느냐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자기 생각을 올바르게 글로 풀어내거나 보고서를 쓰거나 토론할 수 있는 수준, 즉 영어로 자기 콘텐츠를 만들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한다. 그러려면, 영어 발음이나 일상 대화에 익숙해지는 것 외에 단어, 문법, 읽기 실력을 탄탄하게 다져야 한다. 모든 학습이 얽혀 영어가 완성되므로 어느 하나 의미 없는 학습은 없다. 의사소통되는 영어보다는 영어다운 영어를 배우는 게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다만.... 구구절절 맞는 말 속에 결국 엄마가 아이의 영어공부 로드맵을 정해주는 역할을 해야 한다는 점이 좀 씁쓸하다. 엄마가 어느 정도 관여를 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가정 하에서 그리고 사교육 선택하는 모습에서. 공교육에서 하는 영어는 별로 중요하게 느껴지지 않는다. 사실 이 책에선 안중에도 없다. 공교육은 내신과 수능만 있다. 아이가 철들어서 스스로 할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런 생각을 한다면 여기 또 제시하는 사례가 있다. 고등학교때 뒤늦게 공부를 한 아이도 우리나라에서 좋은 대학을 들어가지 못해 외국의 대학을 준비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들려 주면서 시기가 얼마나 중요한가를 강조한다.

 

사교육은 역시 공포 마케팅이다. 남들 다 할 때 안해두면 뒤늦게 아이가 스스로 한들 무슨 소용이냐 이건데.....

 

영어를 보는 관점이나 영어 교육에 관한 논리적이고 설득력있는 자료와 설명에도 불구하고 엄마들이 이 책을 보면서 아이의 로드맵을 대신 짜주고 있다고 하니 씁쓸할 따름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피드 리딩 Speed Reading - 영어 원서를 한글 책처럼 읽는 기술
신효상.이수영 지음 / 롱테일북스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영어 

정말 많은 사람들이 영어를 잘 하고 싶어하고 영어 공부에 많은 시간과 돈을 투자 한다. 한때 어학원에서 영어를 가르쳐도 봤지만, 솔직히 이런 것들을 왜? 왜 하는지 회의적일 때가 많고,

, 업무적으로 영어를 거의 쓸 일이 없는 사람들에게 영어 성적을 제시하라고 하는 것 또한 낭비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영어를 왜 공부해야 하는지에 대한 좀 더 현실적인 이유와 대책이 필요했다.

  

영어를 잘한다고 혹은 잘하고 싶다고 할 때 speaking을 떠올리지만, 실제 업무상으로 그렇게 쓸 일이 없고 일상에도 그리 쓸 일 없다. 그런데 reading은 좀 다르다. reading은 전문 원서 리딩을 통해 지식과 정보를 신속하게 습득하고, 삶과 업무에 적용해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다. 우리가, 좀  더 구체적으로 30대 이상의 직장인들이 영어를 공부하는 궁극적인 목적일 것이다.

 

 

p25 스피드 리딩은

     자신이 잘 알고 좋아하며

     중요하게 여기는 분야의 영어 원서를

     1분에 150단어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읽는 것을 말한다.

    

스피드 리딩 전에 나의 영문 읽기 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사이트도 소개되어 있다.  

http://www.readingtc.com/reading/test.html

 

꾸준히 읽어 나가는 것이야 어떤 책에서도 수도 없이 나온 이야기라 특이할 것이 없다. 꾸준히 읽어 나가는 것, 불변의 진리다.

그런데, 내가 눈여겨 본 부분은 mother book에 대한 이야기!

많이 읽는다고 결코 좋은 것도 아니고, 현실적으로 한글 책도 읽기 힘든데 영문책을 무작정 많이 읽어볼 수 도 없다. 대신, mother book을 읽어보는 것!

p207 Mother Book이란 하나의 필드를 새롭게 개척한 책으로, 오랜 세월 동안 수많은 사람들에게 읽히고 사랑받아온 책들이다. 또한 분야를 넘나들며 다른 책들에 수없이 인용되고 재사용되는... 예를 들어 사회 심리학의 에리히 프롬, 경영학의 피터 드러커, 미래학의 앨빈 토플러 같은 저자들의 책이 Mother Book으로 일컬어진다.

 

여기서 소개한 전문 원서 읽기 순서를 따라보는 것도 좋을 것 같다.

피터 드러커 시리즈: The Essential Drucker -> The Effective Executive

 

짐 콜린스 시리즈: Beyond Entrepreneurship -> Build to Last -> Good to Great

 

알 리스 & 잭 트라우트 시리즈: Positioning -> Marketing Warfare -> Bottom-Up Marketing -> The 22 Immutable Law of Marketing -> A Genie's Wisdom -> The New Positioning -> Jack Trout on Strategy

 

세스 고딘 시리즈: Permission Marketing -> Unleashing the Ideavirus -> The big Moo -> Purple Cow -> All Marketers Are Liars -> Free Prize Inside -> Survival Is Not Enough -> The Dip

 

사실 이것의 효과를 보느냐 마느냐는 순전히 실천하는 사람의 몫일 것이다!

Wish me luc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 | 2 | 3 | 4 | 5 | 6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