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
카타야마 쿄이치 지음, 안중식 옮김 / 지식여행 / 2003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인터넷 여기저기 떠나니는 글을 읽다가 세상의 중심에서 사랑을 외치다라는 이 책 이름을 봤다. 순간, 사랑에 관한 글이 너무 읽고 싶어 이 책을 잡게 됐는데... 글쎄... 왜 사람들은 이 책에 끌리는 걸까? 10대의 사랑이야기고, 러브스토리처럼 여주인공이 죽는다. 여주인공의 죽음과 죽은 여주인공을 그리워 하고, 마음 아파하고, 또 추억을 하나하나 되새김질하는 그런 이야기. 작가가 말하고 싶은 그 세상의 중심은 어느 곳인지 궁금하다. 호주?  아키와 함께 갔던 그 섬? 아니면 사쿠타와의 마음 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주 작은 차이
알리스 슈바르처 지음, 김재희 옮김 / 이프(if) / 2001년 5월
평점 :
절판


이 책을 읽는 내내 너무 우울해서, 울다가 또 읽고  읽다가 또 울고... 다 읽는데 꽤나 시간이 오래 걸린 책이다.  남의 살아가는 이야기, 특히 남녀간의 이야기가 로맨틱하고 유쾌할 것이다는 나의 바람은 여지 없이 무너지고, 너무 비참하고 처참한 광경들 뿐이다. 그런데 그것이 독일은 몇 십년 전 이야기. 그러나, 오늘의 한국과 다르지 않다.  이 책을 읽으면서 결혼관도 생각해보게 되었지만, 무엇보다, 내 삶의 방식이 좀 달라져야 하지 않을까 하는... 왜냐하면 누구누구의 아내이고 싶다는 생각을 많이 했었는데, 그건 나 자신을 버리는 것같아 더 이상 하지 않기러 했다. 직업이 없는 여성들에 대해서 너무도 인색한 평가를 준 것이 좀 맘에 걸린다. 남편의 자위기구 역할 밖에 안된다는 이야기. 뭐 특별히 자신의 일을 하고 싶지 않아 그런 사람들도 있겠지만, 육아 문제니 어쩌구 저쩌구 하다보니 전업주부가 되어버린 사람들도 많으니깐.

이 책, 다시 읽고 싶지는 않다. 또 울 것 같다. 울엄마를 생각나게 하고, 또 내 미래를 생각하게 하고, 내 현재를 생각하게 해 또 울것 같아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을 느낄 때 던져야 할 질문들
양창순 / 청년사 / 1998년 7월
평점 :
절판


처음으로 남자친구를 사귀게 되면서 대학 3학년때 샀던 책이다. 당시 읽을 때는 사실 좀 시큰둥 했던 것 같다. 뭐 그냥 그런 얘기구나하는... 추석ㅡ 모처럼 긴 여휴라 집에 내려와 이책 저책 뒤적거리다 이 책을 집어 들었다. ㅎㅎㅎ 그 6,7년 사이 나는 이 책을 공감하게 되었다.

당장, 나는 하루 종일 전화가 없는 남자친구를 원망하며 연휴기간 동안 전화가 계속 없으면 헤어져야지 생각하고 있었는데, 여기 이 책에 그런 얘기가 나온다. 혼자 상상하고 결론내지 말 것!

그리고 사랑을 느낄 때 던져야 할 가장 기초적인 질문이란, 1)언제 어디서 어떻게 지금의 상대를 만나게 되었는가? 2)첫 인상은 어땠는가? 3) 매력을 느꼈는가? 느꼈다면 무엇 때문인가?

전화 안온다고 혼자서 씩씩거리고 있었는데, 띠리링 전화가 왔다. 너무 바빠서 전화 못했다고... ㅋㅋ 연애란 남들도 별 다를 게 없나 보다. 벌써 몇 년전에 나왔던 책에도, 그리고 저자의 나이를 생각해 봤을 때도, 이런 패턴이 계속 되는 것을 보면.

그래, 요즘 우리는 경영이란 말을 많이 쓴다. 회사일이건 집안일이건, CEO니 leadership이니 그런 말을 써가면서. 그런데 역시 사랑에도 경영이 필요하다. 얼마나 열심히 그 사람을 사랑하고 있는지, 주변 여건을 어떻게 잘 극복할 것인지... 그리고 우리의 비전을 어떻게 제시할 것인지.

올 봄 개봉영화 중에 "사랑할 때 버려야 할 것들"이란 영화가 있었는데, 어쩐지 제목이 비슷하다. 사랑할 때 버려야 할 것들 중에 하나는 자존심, 그리고 사랑을 느낄 때 던져야 할 질문들은 정말 무궁무진하지. 수다쟁이가 되야겠다!  사랑하는 사람끼리는 많은 대화가 필요한 법이니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켄 블랜차드 외 지음, 조천제 옮김 / 21세기북스 / 2003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한 TV 프로그램에서 칭찬의 효과를 실험한 적이 있었다. 무뚝뚝한 남편이 아내를 칭찬했을 때 그 효과는 실로 놀라웠다. 아내의 피부가 몰라보게 달라진 것이다. 물론 우리는 이론 적인 것들은 잘 알고 있지만, 이 실천이 문제다! 칭찬 역시 대화의 한 방식인데, 우리는 이런 대화에 너무 인색한 것은 아닐까?

오늘 화장이 참 화사하시네요~ / 이 기획안 아이디어 참 좋은 걸요? / 언니는 웃는 모습이 너무 예뻐요~ 등등의 말들을 좀 더 자연스럽게 할 수 만 있다면.... 나도 그런 말을 많이 들을 것이다. 너무 많이 남발해서는 안되겠지만.

그런데 여기서 잠깐, 뒤통수 때리기! 우리는 이걸 너무 많이 써먹는다. 상사들만 그런 것이 아니고. 계속 계속 불만을 쌓아뒀다가 한꺼번에 터뜨리는 것! 연인 사이에서도 마찬가지 인 것 같다. 뭔가 하나가 마음에 안드는데, 그냥 넘기고 또 넘기고 그러다가 전혀 다른 것에서 불만이 터져나와 한꺼번에 폭발해 버린다.  이 책은 칭찬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대화로 상황을 풀어가는 방식을 말하고 있다.  대화하기~! 그것도 서로에게 힘이 될 수 있는 대화하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네 방에 아마존을 키워라
베티 도슨 지음, 곽라분이 옮김 / 현실문화 / 2001년 11월
평점 :
품절


10대 소녀도 아니면서, 나이는 먹을 만큼 먹었는데, 갑자기 성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졌다. 물론 남자친구가 생기고, 또 간단한 질환으로 산부인과를 가보게 된 것이 그 계기가 된 것이겠지만.  이 책을 선택한 것은 알라딘 편집자들의 안목을 믿고, Editor's choice가 되어있어서였다. 물론 이 책을 읽은 것에 후회는 없지만, 솔직히 충격적이다. 

읽고 난 느낌? 대체 여중, 여고에선 뭘 가르치는 거야?  고등학교때 여선생님들은 한결같이 여자는 결혼하면 첫날밤에 과거가 들통난다는 그런 말을 한절 있는데... 솔직히 현대여성에게 처녀막은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는 문제다. 그런데 그런 걸 말했단 말야? 벌컥 화가 나는군...

또 하나... 신체의 모양에 관해서다. 솔직히 나도 이번에 산부인과에 가보고서야 제대로 내 성기모양을 확실하게 볼 수 있었다. 의사가 사진을 찍어서 보여준다. 첨엔 어찌나 낯설던지 이상했는데, 뭐 사실... 우리가 코가 아파서 이비인후과에 가도 내부 사진을 보여주고, 내과에 가봐고 엑스레이 사진으로 설명한다. 전혀 이상할 것이 없는 것이다. 나도 초등학교 1학년때 성기의 모양으로 고민했던 적은 있었다.  화장실이 더럽고 무서워서 친구 몇 명이서 화장실 건물 뒤편에서 소변을 봤다. 마주보고 일을 봤으니 당연히 친구들의 성기를 볼 수 밖에. 그때의 그런 고민들이 아주 보편적이라는 사실... 참 재미있다. 사람들은 제각기 다른 얼굴을 가지고 있고, 당연히 성기도 다르다.  다양한 성기의 그림을 보게 된다면 첨엔 좀 기분이 언잖을 수도 있다.

자위라는 것, 섹스라는 것....  케이블에서 한창 섹스앤드시티나 선데이나이트 섹스쇼같은 프로가 한다고 해도, 낯설다. 이런 책을 읽으면서 나는 서서히 성에 눈을 뜨는 것 같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나 자신을 "계몽"하고 있다는 생각도 들었다. 좀 더 솔직해 질 필요가 있지 않을까? 이것도 하나의 인간 기본 욕구인데.

이 책과 함께 구입한 "아주 작은 차이"도 빨리 읽어봐야 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