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 균 쇠 (무선 제작) - 무기.병균.금속은 인류의 운명을 어떻게 바꿨는가, 개정증보판
제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김진준 옮김 / 문학사상 / 2005년 12월
평점 :
구판절판


이 책 p18의 뉴기니의 지역 정치가 얄리의 질문 '당신네 백인들은 그렇게 많은 화물들을 발전시켜 뉴기니까지 가져 왔는데 어째서 우리 흑인들은 그런 화물(=현대문물)들을 만들지 못한 겁니까?'에 대한 답은 그리 간단한 것이 아니고, 그동안 많은 역사 학자들도 그 해답을 찾아 왔고, 작가의 추구해왔던 25년간의 대답이 이 한권의 책이 되었다.(퓰리처상도 탔고)

책은 '아메리카 원주민은 북아메리카에서 사과를 작물화하지 못했는데, 그 문제가 원주민에게 있었을까 아니면 사과에게 있었을까(p147)' 같은 역사의 수레바퀴를 돌려 왔던 원인에 대해 의문을 던지고 풀어주는 방식으로 책은 진행되며, 그 주요한 원인을 환경에서 구하고, 환경에서도 총과 균과, 쇠에 귀결되어 있음을 보인다. 

일단 작가의 방대한 지식에 입을 헤~ 벌리고 가만히 앉아 설명을 듣는 수밖에 없었다. 

책을 읽어 가면서 발견할 수 있는 또다른 논리는 기술적인 진보가 항상 발전을 가져 왔고, 보수는 퇴보를 가져왔다. 다시말해 굳이 새로운 문물을 만들지 않더라도 그것을 능동적으로 받아 들이는 것만으로 비슷한 발전을 가져왔고, 그런 기회를 갖지 못한 무리들과 혹은 기회가 있더라도 억지로 발전을 뒤돌렸던 무리들은 시간이 지났을때, 극단적인 결과(문명과 무지, 정복자와 피정복자, 조직화와 채집생활 등)를 가져왔음을 볼 수 있었다.

다만 개인적인 지적 관심이 그리 활발하지 못해 작가가 침 튀겨 가면서 하고자 하는 이야기들이 눈에 잘 들어 오지 못했다. 그것은 전적으로 독자인 나의 책임이었다. 태평양의 섬들, 아프리카의 부족과 언어, 아메리카 대륙의 기술 전이의 속도, 인류학, 고고학 등에 해박한 지적 깊이의 글쓴이에 대한 예의를 넘어선 관심이 가지 않음은 나로써도 어쩔 수 없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oren 2010-10-27 00: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도 이 책을 읽으셨군요.
저는 구판으로 읽었었는데, 저자에게 한 순간에 매료되었던 책이랍니다.
그 뒤 '문명의 붕괴'라는 책도 나오자 말자 서점에 달려가다시피 해서 읽었었구요.
오래 전에 남겨둔 제 서평글도 알라딘에 있답니다. ㅎㅎ
☞ http://blog.aladin.co.kr/oren/5494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