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루 스웨터>를 리뷰해주세요.
-
-
블루 스웨터 - 부유한 이들과 가난한 이들 사이에 다리 놓기
재클린 노보그라츠 지음, 김훈 옮김 / 이른아침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작가 자신이 어렸을 때 즐겨 입었던 <블루 스웨터>를 10년 후 아프리카 르완다 키갈리의 거리에서 어느 어린이가 입고 있는 것을 발견하는 흥미로운 이야기로 이 책<블루 스웨터>는 시작된다. 르완다 빈곤한 여성들에게 희망을 주는 <블루베이커리>의 성공담은 작가의 의지가 현실에서 이루어지는 작가 자신의 성공담이기도 하다. 이런 일상과 경험으로 채워진 자서전으로도 보이기도 하는 이 책은, 경험의 정점에 서서 빈곤과 그 근본적인 해결책을 찾는데 점점 깊게 파고 든다.
빈곤의 문제는 구성원 개개인의 게으름이 아닌 사회 시스템이 문제인 경우가 많다. 흔히 3M이라고 부르는 생산의 3요소 자본(Money), 인력(Man), 기술력(Machine)이 미약한 곳에서 이중 하나라도(물론 세가지 모두 풍족하다면 더욱 좋겠지만) 주도 한다면 일단 좋은 시작은 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그들 중, 이 책은 자본에 촛점을 마추고 있으며, 그중에서도 '소액 자본'과 그 적절한 사용자로 '여성'을 중심으로 놓고 서술하고 있다. 특히 책의 전반부에서 아프리카라는 지역적 특색에다, 금융에서 앞서간 미국의 월스트리트의 경험을 덧붙여 하나의 공동체가 이익을 성공적으로 실현하는 몇가지 실례를 보여주고 있다.
목표를 향하여 달려가는데 어려움이 되는 것은 거창하거나 어려운 것이 아니라 항상 사소한 데에서(실은 사소하게 보이는 것들) 시작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자라온 문화와 받은 교육을 나의 관점으로 다른 문화의 지역을 바라보고 판단하는 것은 항상 문제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다. 이 책에서도 마찬가지.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소액대출은행 '두테림베레'을 세우는데 많은 시행착오를 격으면서 '선한의도' 만이 도움을 주는 것이 아님을 알게 된다. 당연히(?) 도와줄지 알았던 주변인들의 시기와 성과물의 대상이 되는 이들의 무기력한 태도, 그 때가지 사회를 지탱해왔던 관습이 걸림돌이 되었고, 작가는 하나하나 극복해 나갔다. 물론 극복할 때까지 흘려야 할 눈물도 많았다.
단순한 지식의 전달이 아니라 쌍방향 의사소통을 통해 해당 당사자들이 스스로 깨우칠 때까지 시간은 비록 많이 지났지만 좋은 결과를 가지고 왔다. 첫 성공 프로젝트 '블루 베이커리'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이루기 까지, 거기에 참여했던 여성들은 자신들이 얼마나 중요하고 자신들이 얼마나 뛰어난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모르고 있었다.
시작은 자체 생명력을 지난 소액융자 은행 투데림베레와 블루베이커리를 만들고 성공으로 이끄는 이야기지만, 대상과 소재는 아프리카를 지나고 인도와 파키스탄을 통과하여 의료재료, 주택공급, 세류관개, 모기장, 물 공급 등 확장이 되며 흥미진진하게 이어진다. 속도는 빠르지 않지만 모두 근본을 바꿔 나가는 작업이고, 가난한 사람들에게(결과적으로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파급효과가 큰 결실을 안겨다 주었다.
시간의 진행에 따라 진행되가던 책의 중간, 갑자기 은행에서 학살로 주제가 바꿔, 르완다 대학살 이야기가 9장에서 11장까지 이어진다. 참담한 학살의 실상이 실제 대학살의 중심부에서 피해자와 가해자의 역할로 격은 이들의 말을 통해 전달된다. 양심에 대해 호루라기를 불지 않는다면 가해자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중심부에서 가만 있는 것만으로도 피해자가 될 수 있다. 명예욕이나 과대망상에 쌓여 자발적으로 적극 참여했다면 동정의 여지가 전혀 없지만 말이다.
빈곤의 배경은 인간의 게으름에 있다기 보단 나쁜 정치행위에 있지 않나 생각한다. 수많은 사람들의 땀과 노력은 한순간 거품으로 만들어 버렸다. 르완다의 대학살이 그렇고 폭동이나 부정한 정부와 그 반군 등이다. 이들의 배후에는 항상 탐욕이 있다.
적지만 충분한 기금을 잘못 운영함으로써 결과가 그리 만족스럽지 못한다고 말한다. 운영에는 효율성과 의사소통, 정확한 실태파악을 포함한다. 기금 운영의 대상을 '여성'으로 해야 한다는 것은 그라민은행의 설립자 무하마드 유누스의 관점과 정확히 일치하고 내가 보기에도 타당하다. 작가는 '여성'과 '대출'을 한데 묶어 여성에게 소액이지만 대출함으로 그 사회가 점점 나은 방향으로 나아갈 것을 기대하고 실천하였다. 작가가 운영하는 비영리펀드 <어큐먼펀드>도 그 연장선에 있다.
600페이지는 단행본으로서 약간 많은 분량이긴 하지만 비교적 술술 읽히는 듯 했다. 시작은 그랬다. 책을 읽어가면서 점점 답답해 지는 것을 느꼈다. 그 이유는 글 쓴 방식이 어렵다기 보단 작가가 격은 어려움과 답답함에 서서히 동감하여 그 느낌을 전달 받기 시작하였음을 깨달았다. 또한 읽어 가면서 마음속 깊은 곳에서 부조리를 해결하지 못하는 찝찝함 같은 부분을 건들이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아프리카의 현실, 부패 구조나 빈민가의 구조적 결함을 가지고 있으면서 대부분 단편적인 원조와 현실에 맞지 않은 개발정책이 '주는자'의 관점이 '받는자'의 관점은 상당한 차이가 있다. 지속적인 관리시스템이 보완(어쩌면 주력)이 절실하다. 그 전에 실태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단편적이면서 일회성의 원조는 '받는자'에겐 받는 것에만 익숙해져 '주는자'들이 원하는 대답을 하는 것이 정직보다 낫다는 것을 '주는자'는 모르고 있지만 '받는자'는 잘 알고 있었다. '주는자'는 마음속에 평안을 얻었고, '받는자'는 다 써버리고 다른 원조를 바랄 뿐이다. 발전이나 개선은 이루어지지 않고 계속 그 자리에서 맴도는 것이다. 즉 현실이 진실을 비틀어 다시 그자리도 돌아오는 이상한 현상이 지속되고 말았다. 책 p223의 중간쯤에 이런 내용이 있다 '그 여자들은 댁 같은 사람들이 자기네 삶 속에 뛰어든 경우를 너무나 많이 봐왔어요. 그러니 무엇 하러 당신한테 정직하게 대하려 들겠어요? 댁이 뭘 물을 때 댁이 듣고 싶어하는 대답을 해주기만 하면 자기네한테 돈을 줄 가능성이 있는데 말이에요.'
한가지 팁이 있다면 책의 전반부는 아프리카 지도를 옆에 두고 보면 많은 도움이 된다. 또한 책의 중간중간 한 장이 시작될 때, 양페이지에 걸친 배경사진은 비록 흑백이긴 하지만 보는 이의 가슴을 시원하게 한다.
* 서평 도서의 좋은(추천할 만한) 점 - 이론서는 아니고, 경험서면서 성공담이기 때문에 600페이지가 분량의 중압감보다 쉽게 읽힌다. 물론 페이지가 넘어 가면서 마음이 불편해 진다. 우리가 누리고 있는 행복에 대해 다시 생각하게 한다. 지구의 다른편에서 그들이 겪은 어려움을 들여다 보는 기회가 된다. 전혀 관심없는 분들에겐 씨앗을 뿌리고, 어느 정도 아는 분들에겐 작가의 입을 통해 진실을 알림으로서 내가 하는 기부를 한단계 올리는 도약의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 서평 도서와 맥락을 같이 하는 '한핏줄 도서' (옵션) -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가> 같은 무하마드 유누스와 그라민 은행에 관한 책. <세상을 바꾸는 대안기업가 80인> 같은 세상을 바꿔나가는 책. <왜 세상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빈곤에 대한 원인을 알려주는 책.
* 서평 도서를 권하고 싶은 대상 - 원조와 개발기금 운영자. 피상적인 원조를 주고 그럴듯한 보고를 받는 것이 아닌 실제 작가가 경험했던 이야기로 부조리와 무지와 같은 껄끄러운 이야기를 과정을 통해 적나라하게 보여진다.
* 마음에 남는 '책속에서' 한 구절 - p195 '다른 한편으로는, 잘 듣는다는 것은 기다려주는 것에서 그치지 않고 잘 물어야 한다는 점까지 아우르는 과제이므로 나는 아직도 그들의 말을 제대로 경청하지 못하고 있다는 점을 깨닫기 시작했다. 늘 자선단체나 남들의 친절에 기대 살아온 사람들은 뭘 원하느냐는 질문을 받아본 적이 드물어서 자기네가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말하기 힘들때가 많다. 그리고 막상 그런 질문을 받을 경우 그 사람들은 누구도 진실을 듣고 싶어하지 않는다고 생각한다. 나는 내가 아직도 신뢰를 쌓아가고 있는 중이라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