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인간 -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오에 겐자부로의 50년 독서와 인생
오에 겐자부로 지음, 정수윤 옮김 / 위즈덤하우스 / 2015년 7월
평점 :
절판


오에 겐자부로의 산문은 언제나 기대 이상이다. 이런 책을 기획하고 출간해준 위즈덤하우스에도 감사하다. 독서가로서 그의 인간적인 면모가 대체적으로 상세하게 나타나있다. 최근 유행하는 스타일에 부합하게 강의 내용을 책으로 엮었다는 점이 못내 아쉽지만 오에의 성격상 강의노트의 상당부분을 수정하고 보완한 뒤 윤문하였을 것이다. 그는 알려지있다시피 도쿄대 불문과를 졸업했다. 영어에도 능하다. 그가 원문을 통해 텍스트를 접하려 한 것은 정말 탁월한 그리고 운명적인 선택이지 않았나라는 생각이 든다. 제아무리 실력이 출중한 번역가라한들 원문이 가진 느낌 그대로를 번역해낼 수는 없을 것이다. 거의 평생을 오르한 파묵의 작품만 번역하고 있는 이난아씨 역시 번역의 어려움에 대하여 토로한바 있다. 오에가 노벨문학상을 수상하게 된 것은 그의 문학적 역량과 시대적 상황과 그의 작품을 수준높은 영어로 번역해준 실력있는 친구가 있었기 때문이다. 드는 생각은 우리나라도 그저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언제쯤 나올까....라는 질문만 하고 있을 것이 아니라 우리나라 문인의 작품을 빼어나고 아름답고 정확한 언어로 번역할 수 있는 문학감성 충분한 번역가를 많이 양성하는 일이 시급하다고 여겨진다. 번역가 양성은 산업으로 따지자면 가공업에 해당하는 분야이므로 뭔가...학자들 사이에서는...그게 국가차원에서 양성되어야 할 인재로서 자격이 있는가?라고 여겨질 것이 뻔하다. 예를 들어 미당의 작품을 번역하는 일은 미당을 제대로 연구한 학자들이 영어 실력을 갖춰 옮기거나 아니면 영어를 아주 잘하는 사람이 미당 연구자의 도움을 받아 옮기는 일이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전자의 경우는 거의 실현되기 어려운 실정이고 후자의 경우는 그저 영어만 잘하는 사람이 상식수준의 문학 지식을 갖추고 번역한다고 나는 알고 있다. 전주에는 고전문학번역문화원 분원이 있다. 서울에 본원이 있고 밀양과 전주에 각각 하나씩 분원이 있다. 이 곳은 한학자의 추천을 받지 못하면 들어갈수도 없는곳이다. 요즘처럼 최첨단 시대에 고전문학 번역이라니....참 돈안되는 일을 하고 있는 곳이라는 생각이 들 수도 있지만 번역문화원의 역할은 우리나라의 교양수준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키는 데 큰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생각이다. 아마도 내 생각은 맞게 될 것이다.

인상적인 부분은 에드워드 사이드에 관한 그의 회상이다. 평소 에드워드에 대한 외경심이라고 해야하나....그런 것은 나 역시 지니고 있었다. 오리엔탈리즘은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개정판을 또 한 권 구입하기도 했다. 그런 그와 오에가 친하게 지냈었다니.....지란지교에 비유하고 싶다. 나 역시 그런 친구를 갖고 싶은 마음 간절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