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 이브였다.
중국어 학원에 가서 공부 대신 사담을 주로 나누었고, 남편과 하얼빈을 보았다.
영웅 안중근의 7일이 극적으로 잘 그려졌다. 남편이 영화를 같이 보자고 제한해준 것에 감사했다. 그리고 이런 영화를 만들어준 감독과 배우와 스태프들에게 감사함을 느꼈다.
-당신은 일제강점기였다면 독립운동을 했을 것 같아?
-못했을 것 같아.
-아무래도...그렇겠지?
영화 크레딧이 올라가는 와중에도 하얼빈의 감동이 채 가시지 않아서...특히 '꼬레아 우레'라고 열번 가까이 울부짖는 현빈의 모습이 잊혀지지 않아서 자리에 가만히 앉아 있었다. 남편도 사뭇 그런 듯 하였다. 쉽게 움직일 수 없는 감동이 몸을 누르고 있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되뇌였다. 우리는 왜 독립운동에 대해 쉽게 말하는가...그들이 아니었다 하더라도 미국의 참전으로 우리의 독립은 가능했을 것이라고 왜 그리 쉽게...뭔가를 아는 듯 하며 말하는가...친일하는 이들의 마음에서는 '독립이 되겠어?'라는 확신이 꽃피웠지만 독립운동을 하는 이들의 마음에서는 '언젠가는 될 것이다..우리나라의 독립이..안 되면 십년, 이십년, 백년이 지나도 우리는 되게 만들 것이다'라는 뿌리가 자리잡았을 것이다. 동지들과 함께 한다는 말이 인상깊었다.
정우성이 분하고자 했던 과거 독립운동가 현재 마적떼 두목은 영화의 흐름을 잠시 흔들어 놓는 듯 하였지만 전여빈의 노력으로 무난히 넘어갈 수 있었던 것 같다. 폭탄을 갖고 독립운동을 위해 떠나는 이들을 애잔히 바라보는 정우성은 독립운동가의 또다른 모습일 것이다. 아울러 김상현의 존재는 이 영화의 진정성에 큰 빛이 되었다. 밀정이 되어 동지를 배신했다가 다시 조국의 품으로 돌아온 탕아로 표현된 김상현은 아마도 그 시대에 수도없이 존재했던 인물일 것이다.
영화 관람 후 남편은 술을 나는 콜라를 마시며 승진에 대해 깊은 이야기를 나눴고, 나는 해야 할 일이 분명 있음에도 그를 외면하고 그저 승진만을 바라는 사람이라는 객관적인 사실을 직시하게 되었다. 내일은 아무리 힘들어도 일어나서 스터디 카페도 가고, 단어도 외우고, 모의고사도 풀고, 오답정리도 해야겠다. 내일부터 직장에 나가는 날은 3시간, 직장에 나가지 않는 날은 6시간을 기준으로 토익 공부를 해서 2월까지는 반드시 875점을 넘기겠다. 나와의 약속이다. 해야할 일이 있을 때 그 일을 잘 마무리하는 사람이 아니고서야 무엇을 하겠는가? 할 수 있다. 해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