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년생이 온다 - 간단함, 병맛, 솔직함으로 기업의 흥망성쇠를 좌우하는
임홍택 지음 / 웨일북 / 2018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물론 이와같은 단순한 변화만으로 90년대생들의 진정한 흥미를 이끄는 것에는 한계가있다. 대표적인 오해는 일터에 당구대나 게임기를 설치하는 것이 그들의 흥미를 높여주리라고 오해하는 것이다. 직장에 오락시설이 설치되어 있다고 해서 그 회사가 구글이나 페이스북이 되는 것이 아니다. 업무몰입이나 흥미 증진에 있어서 제도의 변화보다 중요한 것은 바로 90년대 생들에게 ‘일을 통해서 배울 것이 있다는 사실‘을 알려주는 것이다. 내가 지금 하는 일을 통해 성장을 할 수 없다면 지금의 일은 의미가 없고 죽은 시간이 되어버린다. 하지만 지금의 이 업무가 나를 성장시키는 시간이 된다면 일은 단순한 돈벌이 이상의 의미가 될 수 있다.

망연자실한 리서치 결과 십대들이 영화를 극장에서 보지 않는
가장 큰 이유 중에 하나로 두 시간 동안 휴대폰을 꺼놔야 하기 때문이라는 대답이 일위를 차지했다. 나는 영화의 적이 핸드폰이 될 거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 영화평론가 정성일 트위터 중

남양유업 사례가 중요한 것은, 해당 사례가 비슷한 불공정 행위로 인해 불매운동이 일어났었던 사례들과는 다르게 실제로 기업의 장기적인 수익에 영향을 미쳤다는 사실이다. 기존의 국내 기업들은 불공정 행위나 기타 안전 이슈 등으로 불매운동이 일어나더라도 실제로는 용두사미로 끝난 사례가 많았다. 그래서 당시 남양유업 불매운동도 빠르게 잊힐 것이라는 비난이 있었지만, 실제로 남양유업의 2013년 연간 매출은 9.9퍼센트 감소하였고 영업이익은 174억 5,600만 원 적자였다. 1994년 이래 최초로 적자로 돌아선 것이다. 이후 업계 순위에서 경쟁사에 처진 남양유업은 사건이 일어난 지 5년이 지난 2017년에도 지속해서 실적이 악화되는 모습을 보였다.

그렇게 용산은 1990년 초부터 전성기를 누리다 2000년대 들어와 인터넷 쇼핑몰로 대체되기 시작하였다. 그런데 특히 전국에 분포한 여러 전자상가 중에서도 용산 전자상가는 더욱 빠르게 몰락했다. 악덕 상인이 그 이유 중 하나였다. 기존의 소비자들이 용산 상인들과 협상을 벌였지만 결국 당해내지 못했다면, 이제 90년대생들은 이에 대한 대응을 빠르게 학습해갔다. 최고의 대응은 아예 용산에 가지 않는 것이었다. 이로써 용산은 서서히 죽음을 맞게 된다.

하지만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그리고 유튜브의 경우는 이러한 일부 유료화 모델이 아닌 완전 무료 모델로 비즈니스를 운영하고 있다. 그들에게 필요한 것은 유저의 돈이 아닌 광고주의 돈이기 때문이다. 광고를 끌기 위해서는 유저의 시간이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어떻게 유저의 시간을 가질 수 있냐는 것이다. 90년대생들은 답한다. 우리의 시간을 가질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재미‘라고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형 가치투자 전략 가치투자총서 1
최준철.김민국 지음 / 이콘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에서도 가치투자가 성립할까? 

'가치투자'는 워런 버핏이 투자하는 방식으로, 또 많은 성공한 투자자들이 지향하는 투자 철학으로 유명한 이 방식은 그 성공의 이력과 달리 그닥 인기가 없는 투자방법입니다. 또, 대학교 강단이나 언론에서 많이 오해받거나 잘 못 이해되는 투자철학이기도 합니다. 한국형 가치투자전략은 그 인기없는 투자철학이 한국에서도 통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어떻게 성립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한 도서이지요. 또, 이 책의 저자들은 이 가치투자철학을 바탕으로 운용사를 설립하기도 했습니다.  결론적으로 말하자면, 한국에서도 가치투자가 성립한다가 되겠지요. (다만, 문화상의 차이인지 인식상의 차이인지 흔히들 말하는 자산주는 한국에서 크게 부각받지 못 하는 것 같습니다.)


VIP 자산운용

이 도서는 VIP자산운용을 설립한 최준철, 김민국 대표께서 쓴 책입니다. 예전에 대학교 강의 때 한 애널리스트 분이 꼭 취직만이 답은 아니다. 나한테 어떻게 하면 좋은 운용사가 될 수 있을지 질문하던 대학생이 있다. 그는 취직하지 않고 바로 사업을 시작했다는 그이야기의 장본인이기도 합니다. 지금보다 더 가치투자라는게 알려지지 않은 그 시기의 한국에도 가치투자가 성립할 수 있음을 보여주겠다는 포부는 지금 어느정도는 성립된 것 같습니다. 
본문에서도 언급했듯이 "처음 접해보는 것이라며" 배척당했을 그 시기에 이룬 성취이기에 박수를 보내고 싶군요.

 

추천 투자입문서


투자를 임하신지 얼마 되지 않았거나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읽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자서전이라기 보다는 어떻게 한국에서도 통하는 가치투자를 할 수 있을까라는 것에 방점이 맞추어진 도서이니까요. 충분히 투자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들로 채워져 있습니다.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05 [우기ya의 투자블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레드 캐피탈리즘 - 장막 뒤에 숨겨진 중국 금융의 현실
칼 E. 월터 & 프레이저 J.T. 하위 지음, 서정아 옮김 / 시그마북스 / 2011년 8월
평점 :
절판


Red Wall - 중국식 금융시스템

저는 대학교때부터 교양으로 중국정치와 사회를 공부하는 등 중국에 관심이 많았었습니다. 물론, 가장 큰 이유는 중국이 매력적인 투자처라는 인식이었습니다. 중국이란 나라는 다른 그 어떤 나라보다 정치에 대한 공부가 선행되어야 하는 국가였습니다. 표면상으로는 자본주의를 받아들이고 있지만, 실제로는 '중국식 사회주의'라는 이름으로 모든 체제가 이루어져 있었기 때문이죠.

이 '중국식 사회주의'로 중국의 금융시스템은 독특한 모습을 띕니다. 모든 국가 특히, 아시아권일수록 정부의 영향력이 금융권에 큰 것은 사실이지만 중국에 비할바가 아니지요. 사실상 중국은 은행을 통제함으로써 자금의 흐름을 통제하고 있기 때문이죠.


불확실성의 원인

중국 투자에 있어서 불확실성을 높이는 가장 큰 이유도 이 레드캐피탈리즘이 차지합니다. 왜냐하면, 정부의 입맛대로 언제 어떻게 정보가 왜곡되서 표현될지 모르기 때문이죠. 아무리 부실이 많은 기업이라도 정부의 무제한적인 대출 지원을 통해 계속해서 사업을 영위할 수 있습니다. 사실상 법률상으로는 보증이 되어 있지 않지만, 암묵적인 보증을 하는 암묵적 보증이 큰 역할을 했지요.

작년즈음부터 정부가 파산을 용인하면서, 중국 채권 투자자들은 한 번의 패닉을 맞았습니다. 개별 채권 발행자의 펀더멘탈 보다는 정부의 암묵적 보증이라는 믿음아래 하에 채권 투자가 많은 부분 이루어졌기 때문이죠. 


레드캐피탈리즘

이런 부분때문에 사실 중국은 채권보다는 주식 투자가 더 매력적인 시장이지 않나 싶습니다. 이런저런 불확실성 등을 감안하고, 거기에 회계적인 불투명성까지 반영한다면 사실상 중소규모의 기업들에 대한 투자 메리트는 낮은 편이니까요...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04 [우기ya의 투자블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예고된 버블
주닝 지음, 이은주 옮김, 박한진 감수 / 프롬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고된 버블?

예고된 버블은 언젠가는 터지고 말 것이라고 수 많은 사람들에게 지적받고 있는 중국의 버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도서입니다. 중국의 시스템이라는 것이 자본주의도 아니고 사회주의도 아닌 오묘한 '중국식 사회주의'다 보니, 금융시장은 굉장히 불 투명한 점이 많습니다. 

예고된 버블은 중국 정부가 현재 취하고 있는 금융시장의 방식으로는 한계점에 봉착할 것이라고 지적하는 도서입니다. 중국이 그 많은 금융위기들을 비켜간 것은 자체적인 경쟁력보다는 충분히 개방되어 있지 않았기 떄문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요. 그리고 이토록 폐쇄적인 시장이 가진 문제점들을 지적합니다.


토지매각 의존도가 높은 중국 지방정부

실제로 중국 지방정부는 토지 개발을 한 뒤, 매각하는 형식으로 세입의 많은 부분을 채워 왔습니다. 중앙정부로부터의 재정 의존도가 높고, 지방정부가 가진 경쟁력이 각 지방별로 상이하다는 점은 중국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입니다. 언제까지 토지를 매각하면서 재정을 충당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말입니다. 

아직 이 부분에 대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많은 투자자들이 중국발 버블의 단초를 부동산으로 지적하는 이유가 되지요. 


예고된 버블이라니?

사실 버블에 대해 판단하고 전망하는 것은 후진국뿐 아니라 최첨단을 달리고 있는 미국에서도 맞추기란 여간 쉬운 것이 아닙니다. 2008 금융위기를 예언했던, 로버트 실러 교수의 지적이 있은 후, S&P는 사상 최고치를 이내 찍었지요.. 


로버트 실러 미국 증시 거품 우려


사실, 시점이라는 것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많은 분야이지만, 그 만큼 맞추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모든 자산이라는 것이 결국엔 사람이 하는 것이고, 이는 사람들의 심리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출렁이기 때문이죠. 그런 점에서 저는 버블이라는 것을 짚기보다는 현재 시장이 사이클의 어느 정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해보는 사이클적인 접근을 지지합니다. (+ 앙드레 코스톨라니도 투자의 달걀로 표현한 적 있죠.)


문제도 많고 탈도 많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은 다른 의미로는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제 수준에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중국 정부 입장은 성장률의 지속을 통해 부채의 자연스러운 디레버리징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거의 모든 정부가 지지하는 방식인) 결과는 꾸준히 지켜봐야 알겠군요.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03 [우기ya의 투자블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두 거짓말을 한다 - 구글 트렌트로 밝혀낸 충격적인 인간의 욕망
세스 스티븐스 다비도위츠 지음, 이영래 옮김 / 더퀘스트 / 2018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하지만 구글 검색의 힘은 하나님을 많이 찾는 곳이 남부이고 닉스가 뉴욕에서 인기 많으며, 사람들이 어디에서도 나를 어디에서도 검색하지작하지 않는다는 것을 말해주는 데 있지 않다. 그런 것은 설문조사로도 알 수 있다.
구글 데이터가 가진 힘은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는 하지 않을 이야기를 이 거대 검색엔진에 한다는 데서 비롯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