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버블
주닝 지음, 이은주 옮김, 박한진 감수 / 프롬북스 / 2016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예고된 버블?

예고된 버블은 언젠가는 터지고 말 것이라고 수 많은 사람들에게 지적받고 있는 중국의 버블에 대해 이야기 하고 있는 도서입니다. 중국의 시스템이라는 것이 자본주의도 아니고 사회주의도 아닌 오묘한 '중국식 사회주의'다 보니, 금융시장은 굉장히 불 투명한 점이 많습니다. 

예고된 버블은 중국 정부가 현재 취하고 있는 금융시장의 방식으로는 한계점에 봉착할 것이라고 지적하는 도서입니다. 중국이 그 많은 금융위기들을 비켜간 것은 자체적인 경쟁력보다는 충분히 개방되어 있지 않았기 떄문이라는 점을 지적하면서요. 그리고 이토록 폐쇄적인 시장이 가진 문제점들을 지적합니다.


토지매각 의존도가 높은 중국 지방정부

실제로 중국 지방정부는 토지 개발을 한 뒤, 매각하는 형식으로 세입의 많은 부분을 채워 왔습니다. 중앙정부로부터의 재정 의존도가 높고, 지방정부가 가진 경쟁력이 각 지방별로 상이하다는 점은 중국의 문제점으로 지적되는 부분입니다. 언제까지 토지를 매각하면서 재정을 충당할 수도 없는 노릇이니 말입니다. 

아직 이 부분에 대한 뚜렷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지는 않은 것 같습니다. 다만, 이 부분은 많은 투자자들이 중국발 버블의 단초를 부동산으로 지적하는 이유가 되지요. 


예고된 버블이라니?

사실 버블에 대해 판단하고 전망하는 것은 후진국뿐 아니라 최첨단을 달리고 있는 미국에서도 맞추기란 여간 쉬운 것이 아닙니다. 2008 금융위기를 예언했던, 로버트 실러 교수의 지적이 있은 후, S&P는 사상 최고치를 이내 찍었지요.. 


로버트 실러 미국 증시 거품 우려


사실, 시점이라는 것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많은 분야이지만, 그 만큼 맞추는 정확도가 떨어지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모든 자산이라는 것이 결국엔 사람이 하는 것이고, 이는 사람들의 심리가 어떻게 움직이느냐에 따라 출렁이기 때문이죠. 그런 점에서 저는 버블이라는 것을 짚기보다는 현재 시장이 사이클의 어느 정도에 위치하고 있는지를 판별해보는 사이클적인 접근을 지지합니다. (+ 앙드레 코스톨라니도 투자의 달걀로 표현한 적 있죠.)


문제도 많고 탈도 많지만, 중국 시장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은 다른 의미로는 성장 잠재력이 충분하기 때문이기도 하지요. 제 수준에서 결론을 내릴 수는 없지만, 중국 정부 입장은 성장률의 지속을 통해 부채의 자연스러운 디레버리징을 유도하고자 하는 것 같습니다.(거의 모든 정부가 지지하는 방식인) 결과는 꾸준히 지켜봐야 알겠군요.



출처: https://pjw1307.tistory.com/603 [우기ya의 투자블로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