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이너스 금리시대 재테크 필살기 - 대한민국 재테크神들이 알려주는 비법
매일경제 서울머니쇼 취재팀 엮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6년 7월
평점 :
매경에서 진행하는 재테크박람회 <머니쇼>의 내용을 책으로 정리하였다.
제목에 강렬하게 표현된 <마이너스 금리시대>라는 표현이 이 시대를 압축하여 담고 있다.
이렇게 낮아진 금리 덕분에 곳곳의 부동산은 천정부지로 오르고, 갈 곳을 잃은 돈들은 <수익성>이라는 말을 쫓아 흘러간다.
머니쇼는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을 내세운다.
그런데 한가지 흥미를 끄는 포인트는 부동산 전문가가 더 안정적으로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주식은 더 자주 뒤바뀐다.
예를 들면 한동안 국내 시장의 돈을 끌어 모으던 존 리 대표는 2016년 펀드의 실적 부진으로 양치기 소년이 된 꼴이다.
그리고 리 대표의 메리츠펀드가 최근 내놓은 <베트남 펀드>의 공모금액도 갑자기 확 줄어들었다.
이는 무얼 의미할까?
한국인들의 쏠림 현상이 매우 강하다는 경향성을 확인시켜준다.
인사이트 펀드에 몰리리 금융위기가 나고 ELS가 금리를 몇 배 벌어준다고 소문 나서 거액이 몰리더니 중국의 추락으로 연초에 대위기가 나왔다. 덕분에 한화증권은 지금도 적자 감수하고 있다.
이런 식으로 박람회의 이면에는 한국인의 재테크 실력 민낯이 드러난다.
증권사 대표의 영욕이 보여주듯이 한국의 주식시장은 등락이 심하다.
그 덕분에 애널리스트라는 직업도 수명이 짧다.
이번 머니쇼의 시황 전망에는 이베스트 리서치 대표가 나섰다.
불황 업종 속에서 좋은 투자 대상이 나올 수 있다는 논지가 주를 이루었다.
여기에 해당하는 업종이 조선,철강 등이다. 이는 후일 현대중공업의 반등 등으로 효과적인 전략임을 보여주었다.
그렇지만 이 발표가 있을 때는 한국 전자산업을 상당히 부정적으로 보았지만 삼성전자는 반등을 이루었다.
그만큼 이해하기 어렵고 예측은 더욱 어려운 것이 한국 증권시장이다.
덕분인지 점점 증권시장 섹터에는 사람들이 덜 나서고 대안을 더 찾아간다.
동남아 증시를 비롯한 해외로 나가자는 움직임은 더 강해질 것 같다.
이번에도 보면 해외증시를 열거하면서 태국은 고령화 시작되었고 쿠데타 이후 정황이 부정적이라는 언급이 있었다. 반면 인도네시아는 개혁 정치로 전망이 밝다고 한다.
아마 존 리 대표가 <코리아펀드>를 운영할 때도 똑 같은 방식으로 전망했을까 본다. 한 나라의 지도자 국민의 성향 등에서 거시적인 흐름을 보고 방향을 잡는 것 같다.
정리해보면 주식 보다는 부동산이 핫 했고, 특히 수익성 부동산으로의 쏠림이 강했다. 그런데 막상 그 수익성 부동산에서 활동해서 돈을 벌어줄 창업은 어떠할까?
창업을 대표하는 발표자는 몇 가지 재미있는 시사를 했다.
건물주의 딸이 아니라면 절대 1층에다가 카페를 하지 말라고 한다. 보기에 멋진 사업은 남도 그렇게 생각하고 덕분에 무수한 경쟁 속에서 피마르다가 소멸해간다고 한다. 스타벅스보다 좋은 원두로 싸게 팔 수 있나? 4100원이라는 상당히 강력한 가격경재력을 가진 아메리카노 메뉴로 무장한 스타벅스 거기다가 그곳에는 편안한 작업장이라는 젊은이들의 유인책도 있는데 말이다.
대표는 "창업은 시시각각 변하고 상권은 살아있는 생물이다"라는 표현으로 난이함을 보여준다.
이렇게 한국의 문제들은 서로 얽혀있다.
저금리가 부동산 가격을 올리고 덕분에 수익성 부동산 임대료는 올라가고 창업은 더 힘들어지니 여기서 다시 상권이 변하고, 결국 수익성 부동산도 망가지고.
해외의 나라를 볼 떄 가장 핵심적으로 보는 인구와 성장의욕, 리더십의 현명함 이 요소를 한국은 가지고 있는가? 과연 우병우 사태가 일파만파 퍼져나가고, 한진해운 해체를 통한 손실은 그냥 날려버리고 조선업의 쇠락을 비롯해 심지어 일류라는 삼성전자 조차 대규모 리콜을 맞는 상황이 <코리아펀드> 매니저에게는 어떻게 보이는지.
솔직한 이야기가 더 궁금해졌다. 하지만 공개석상에서 극히 절제된 표준 어법으로 이런 핵심이 나올까?
답은 책에 적히지 않은 곳에 있고 스스로 발품을 팔아야 얻을 수 있으리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