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하일기 세트 (반양장본) - 전3권 - 새 번역 완역 결정판 열하일기 4
박지원 지음, 김혈조 옮김 / 돌베개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열하일기(熱河日記)>는 내게도 장정(長征)이었다. 대학 때 출간된 리상호역의 보리출판사판을 띄엄, 띄엄 읽다 지쳐 고미숙의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을 보기도 했다. 이번 김혈조역의 돌베개판을 반겼던 것은 고등학교 시절 역자의 연암 산문선집을 읽어 보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로 눈을 감고 가시오>인데 꼼꼼한 번역과 주석이 신뢰를 갖게 했다.  무엇보다 연암과 그의 글에 대한 역자의 존경심이 기억에 남아 있었다.  

  박지원에 대해선 무엇부터 얘기를 꺼내야 할까? '천재' 운운하는 걸 싫어하지만 조선의 천재 한 명을 들라면 난 주저 없이 박지원을 들겠다. 한 사람 더 들자면 조선말의 혜강 최한기 정도. 두 사람 모두 문학과 철학에 혁신을 가하는데 당대는 물론이고 후대인들마저 그들의 신발끈 풀기도 벅차다. 신발끈이나마 잡아보려 연암의 소설을 앞에 두고 고민해 본다. 

 임금 정조와 연암이 소설을 두고 대립한 건 유명한 일이다. 문체반정이라 불리는 사건인데, <열하일기>에 수록된 소설들이 화근이 되었다. '문체(文體)'를 말하니 소설의 형식만을 비판한 듯 하지만 연암의 소설을 들여다보면 문제는 간단치 않다.  

  <열하일기>를 통해 조선 사회에 던진 연암의 전언은 무엇일까? 결국 화이(華夷)의 구분이 쓸모 없다는 얘기일 거다. 중화와 오랑캐가 따로 없다면 북벌 역시 의미가 없어진다. 북벌을 할 게 아니라 북학을 해야할 따름이다. <호질(虎叱)>을 뜯어보면 연암의 주장이 좀 더 뚜렷해진다.  

  <호질>의 가장 큰 축은 범과 북곽선생의 대립이다. 범이 북곽선생을 혼내는 장면이다. "전에 내가 들으니 선비 유자(儒者)는 아첨꾼 유자(諛者)라더니 과연 그렇구나. 무릇 천하의 이치는 하나이다. 범이 참으로 악하다면 인성(人性)도 또한 악하며, 인성이 선하다면 호성(虎性)도 또한 선하다." 조선의 논쟁 가운데 가장 긴 기간 동안, 치열하게 싸웠던 논쟁이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이다. 인성과 물성의 같고 다름을 논하는 것인데, 연암은 화이의 구분 없음을 말하기 앞서 이 논쟁의 종지부를 찍는다.  

  한국철학에서 연암은 기일원론자로 불린다. 연암의 기일원론(氣一元論)은 인물성인기동론(人物性因氣同論)으로 발전한다는데, 이런 어려운 말은 나 같은 이야 깊이 알리 없고 연암이 했다는 이 말 정도만 이해해 보면 되겠다. "만물이 기의 움직임 가운데 함께 있는데, 어찌 천명이 아님이 있겠는가? 만물 가운데 삶을 누리는 것은 선하지 않음이 없다. 그 천(天)을 즐기고 그 명(命)에 따르는 것은 물(物)과 내가 다르지 않으며, 그것이 천명지성(天命之性)이다." 인(人)과 물(物)이 다르지 않은데, 하물며 중화와 오랑캐의 구분 따위는 있을 수 없다.  

  총명한 임금 정조는 연암 소설의 폭발력을 감지했을테고, 서둘러 파급을 막아선다. 그게 막는다고 막아질 리가 있나? 근대를 보고 있는 연암의 눈을 군주라 해서 막을 순 없다. 잠시 눈을 감는 제스쳐는 취할 수도 있겠지만 말이다. 신하된 자로서 연암이 눈을 잠깐 감기는 한다. 연암의 눈을 무서워했던 정조는 문체반정이 6년이 지나고서도 연암과 주변의 상황을 살피는 주도면밀함을 보인다.  결국 승리는 연암에게 돌아간다고 할 수 있지만, 단정할 수 없는 게 이후의 상황은 복잡다단하기 때문이다. 연암의 후배격인 혜강 최한기는 책만 보며 있는 듯 없는 듯 살아갔고, 일제라는 도둑이 쳐들어온다. 경술국치 100년을 뼈 아프게 새겨야 하는 이유이다. 연암을 생각하면 더욱 그렇다.  

  책장에 묵혀둔 <연암집(燕巖集)>을 다시 꺼내든다. 이 책 읽기도 물론 장정이리라.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10-09-01 16: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님의 서재에서 님이 올리신 리뷰를 다 훝었는데 오늘 또 하나 올리셨군요~.^^
열하일기는 늘 탐을 내면서도 선뜻 손이 안가요~ ㅜㅜ

파고세운닥나무 2010-09-01 17:48   좋아요 0 | URL
반갑습니다.
리뷰가 볼만한 게 없는데 말이죠...
<열하일기>는 저도 띄엄,띄엄 보았는데 그리 봐도 좋은 책인듯 해요. 어쩌면 그리 읽는 게 더 생각할 거리를 주는듯도 하구요.

반딧불이 2010-09-02 19:4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지원의 글을 정민의 번역본으로 처음 대했는데..나중에 김혈조의 글을 대하고나니 그 느낌이 너무 달라서 깜짝 놀랐었어요. 이후부터는 정민선생보다는 김혈조 선생의 번역본을 챙기게 되더라구요. 어느 글에선가는 정조가 박지원을 많이 아꼈다고도 얘기하더라구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9-02 22:25   좋아요 0 | URL
임형택 교수의 <우리 고전을 찾아서>를 보면 연암선생의 아들인 박종채가 정조가 실은 아버지를 아꼈다는 얘기를 합니다. 두 사람이 군주와 신하간이 아니었다면 어땠을까 상상해 봅니다. 제겐 꽤 재미난 상상입니다^^

파란여우 2010-09-02 20: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희병 교수의 <연암을 읽는다>에선 연암을 과도하게 추종하는 것 같아 약간 거부감이 없지 않지만 해석의 묘미가 신선합니다. 연암을 읽으실꺼면 김혈조 교수의 이 책과 함께 박희병 교수의 책도 동반되면 비교되서 흥미롭습니다. 두 분 모두 연암 전문가들이시니까요.

파고세운닥나무 2010-09-02 22:30   좋아요 0 | URL
박희병 교수의 글도 살펴 볼게요. 이 분은 최한기를 연구하기도 했는데 그 글들이 기억에 남아 있습니다. 혜강 연구를 국학쪽에서도 잘 안하는데 짧은 분량에 중요한 전언이 담겨 있었거든요. 저부터도 연암과 혜강을 읽어야겠다는 다짐을 해 보구요.

다이조부 2010-09-03 2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고미숙의 위에 언급한 책을 대학시절에 읽었는데 저는 무덤덤했어요~

벌써 9월이네요. 조금만 지나면 춥다고 수선을 떨겠죠

파고세운닥나무 2010-09-04 00:25   좋아요 0 | URL
연암에 접근하는 방식이 신선하다는 생각은 했어요. 어떤 방식으로든 고전이 뭇사람들에게 읽힐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 의미도 있구요. 내용은 이제 제게 남겨진 바가 없네요^^;

2010-09-07 00:19   URL
비밀 댓글입니다.

2010-09-07 08:1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