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트와 펜을 준비해 두고 책장을 넘긴다.
와! 첫 페이지 첫 추천의 말을 캐슬린 베리가 썼다!
[섹슈얼리티의 매춘화]!!

추천의 말들 만으로도 이 책 잘 샀다는 생각이 든다.
“Sisterhood is powerful, il kills sisters.” 라는 티그레이스 앳킨슨의 말이 절절하게 가슴에 와닿는다.

서문을 읽으니 내가 책을 사고도 펼치지 않은 이유가 보인다. 자세하고 구체적이지는 않아도 이미 이 책의 목차와 설명과 밑줄들을 통해 어떤 내용인지 짐작하고 있었으니까, 더 괴로워질 테니까.

서문에 쓰여있는 대로, 회의적인 태도와 열린 마음으로 이 책을 읽도록 하겠다.

책을 다 읽고 옆지기에게 읽힐 수 있을까?
읽힐 수 없다면 밑줄 긋는 부분들이라도 공유해야지.





우리는 역설적이지만 여자가 남자에게 느끼는 유대감은 물론 여자의 여성성과 이성애도 남자가 여자에게 가하는 폭력에 대한 반응이라고 주장한다. 인질범이 원하는 바를 얻으려면 적어도 인질 몇 명은 죽거나 다치게 해야 한다. 마찬가지로 남자도 원하는 바를 얻기 위해, 즉 여자의 감정적, 가정적, 생식적 서비스를 계속 누리기 위해 여자에게 공포를 심는다. 인질이 인질범에게 살해당하지 않기 위해 인질범을 살살 달래려고 노력하듯, 여자도 남자를 기분 좋게 하려고 노력한다. 그리고 이 노력에서 여자의 여성성이 생겨난다. 여성성은 지배 계급, 즉 남자가 기분 좋아하는 행동 조합을 말한다. 여자는 여성성을 통해 자신은 종속적 위치를 받아들인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 따라서 여성적인 행동은 생존 전략이다. 인질범과 유대감을 형성하는 인질처럼 여자는 살아남기 위해서 남자에게 유대감을 느낀다. 여자가 남자와 연결되려 필사적으로 노력하는 것도, 여자의 남자 사랑도 전부 생존 때문이다. 우리는 남자가 다시는 -여자의 기억 속에서조차- 여자를 공포로 밀어 넣지 않는 날이 오기 전까지는, 여자의 남자 사랑과 이성애가 스톡홀름 증후군적 생존 법칙에 불과한지 아닌지는 알 수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여자의 현재 심리를 이런 식으로 설명하는 이론을 사회적 스톡홀름 증후군 Societal Stockholm Syndrome 이론이라 부르려 한다. - P37


댓글(7)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0-12-11 20: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크- 이 책을 읽기 시작하셨군요!!! 응원합니다!!

난티나무 2020-12-11 21:26   좋아요 0 | URL
네 시작했어요.^^
응원 고맙습니다~~

단발머리 2020-12-12 18: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기 힘든 책이지만 피할 수 없는 책이지요.
저도 난티나무님 응원합니다!

난티나무 2020-12-12 20:05   좋아요 0 | URL
아자아자!!! 단발머리님 고마워요!!!!^^

수이 2020-12-13 00: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는 동안 너무 힘들었어요 ㅠㅠ 난티나무님도 힘드시겠지만 그래도 응원응원해요. 아자아자!!

난티나무 2020-12-13 00:09   좋아요 0 | URL
겁나요. 순간순간 스쳐지나갔던 내 감정들이 바로 그거라고 말하고 있을까 봐.ㅠㅠ

난티나무 2020-12-13 00:10   좋아요 0 | URL
아자!!!
 


전자도서관의 힘을 빌릴 수밖에 없는 처지라 책을 대여할 때마다 감지덕지한다. 

단점도 있는데, 사놓은 종이책 쌓아놓고 거들떠보지 않게 된다는 것. 새로 업데이트된 책들 구경하는 재미에 빠진다는 것. 평소 궁금했던 책들이 보이면 언제 어떻게 읽을 것인지 전혀 생각지 않고 냅다 대출한다는 것. 그러고 다 못 읽어서, 연장하거나 반납하거나를 반복한다는 것. 

















존 윌리엄스, [스토너] 

여기저기서 많이 본 책. 

흥미롭고 왠지 푹 빠질 것 같은 느낌의 초반이다. 


















박선우, [우리는 같은 곳에서] 

단편모음집이라 틈틈이 하나씩 읽고 있다. 나쁘지 않네? 


















[제2회 한국과학문학상 수상작품집] 

제목을 하도 많이 봐서 이미 읽은 것 같은 느낌을 주는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이 들어있다. 

















알렉상드르 졸리앙 외, [상처받지 않는 삶] 

책소개에 끌려. 역시 아직 초반부라 뭐라 말할 수는 없지만 흥미롭다. 

아 그리고 번역, 내가 아는 그 사람이 맞는지, 조금 헷갈리는 것도 사실이지만, 아마 맞을 거야. 무지 반갑다. 

















한네 튀겔, [우리는 얼마나 깨끗한가] 

유기농 액체 샴푸를 비누로, 세제를 소프넛으로, 수세미를 '수세미'로 바꾸었다. 노푸라고 부르는 것도 시도해보고 있다. 2주 넘어 3주째로 들어가는데 매일 떡진 것처럼 보인다. 어차피 집에서 안(못) 나가고 일주일에 한번 장볼 때도 마스크에 목도리 칭칭이니까 아주 적기라고 하겠다. 식구들의 안구는 보호해 주지 못한다. 머리카락이 적응하면 - 그러고 나서도 이 석회 많은 물이 머리카락과 친구해 줄 지는 잘 모르겠지만 - 좋겠다.  

또 무엇을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궁리하는 중에 눈에 띈 책. 먼지며 진드기며 박테리아 등등 엄청 많이 친구하며 살고 있다는 건 알지만 숫자로 보니 징그럽구만. 스륵스륵 읽어보자.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12-09 06: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두 번째 문단 제가 쓴 건 줄 알았어요 ㅋㅋㅋㅋ

난티나무 2020-12-09 14:13   좋아요 1 | URL
ㅋㅋㅋㅋㅋㅋㅋ 저만 그런 게 아니었어요!!!!
 

시카고 대학교의 기든 에셸(Gidon Eshel)과 파멜라 마틴(Pamela Martin)은 동물성 식품 생산 과정에서 방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조사했으며, 전형적인 미국의 식단(그중 28퍼센트가 동물성인)은 같은 양의 칼로리가 포함된 베건 식단에 비해 한명이 1년에 약 1.5톤의 이산화탄소를 더 배출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대조적으로, 보통의 운전자가 미국의 전형적인 자동차대신 좀 더 연비가 좋은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바꾸었을 때 1년에 줄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1톤이다. 다시 말해서 내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 데는 차를 바꾸기보다 베건 식단으로 바꾸는 편이 더 효과적인 것이다. (물론 두 가지 다 하면 더 좋겠지만.)

대형 마트와 보통 식료품점에서, 우리는 모든 식품이 주류 식품업체의 상품이며(특별한 상표가 붙어 있는 것 외에는), 인도적, 지속 가능적, 환경친화적으로 만들어진 상품은 하나도 없다고 가정해야 한다. 특히 동물성 식품은 거의 전부가 공장식 농장에서 온 것이며, 그와는 다른 정보가 겉에 씌어 있는 극소수의 예외만있을 뿐이다. ‘완전 천연 제품이나 농장에서 갓 들여온‘ 따위의 문구에 현혹되지 말자. 그런 문구는 종종 공장식 농장의 상품을 치장하기 위해 쓰이는 상투적 문구들이다.

고기를 먹는 사람은 그 동물의 진실에 대해 알 책임이 있다.

이 세상에서 인간이 벌이는 일 중에, 농업만큼 이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우리가 먹을거리를 구입하는 일은 거대한 글로벌 산업 시스템에 동참하는 일이다. 미국인들은 매년 1조 달러 이상을 식비로 쓴다. 자동차에 쓰이는 돈의 두 배 이상이고, 정부의 국방 예산에 비교해도 두 배 이상이다. 우리는 모두 식품의 소비자들이며, 우리 모두 어느 정도는 식품업체들이 유발하는 공해와 연관이 있다. 60억 명의 인구에 미치는 영향 말고도, 식품산업은 매년 500억 이상의 인간이 아닌 육지동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들 중 다수는 전 생애를 구속받고 있으며, 계획에 따라 태어나 공장의 부품과 같이 살다가 살육되는 길을 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수십억 마리의 물고기가, 그리고 다른 해양 생물들이 바다에서 떠내어져,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토막 나고 있다. 화학물질과 호르몬제는 강과 바다에 흐르고, 조류독감과 같은 병이 번진다. 농업은 거의 모든 생명에 손을 뻗고 있다. 이 모든 것은, 다름 아닌 우리가 내린 먹을거리 선택으로 빚어진 일이다. 더 나은 선택은 가능하다.

이런 주장을 들으면 곧바로 나오는 반론이 있다. "인도주의는 인간에게만 적용된다", "동물을 걱정할 여유가 있으면, 불쌍한 인간들부터 먼저 챙겨라." 그러나 피터 싱어는 그것이야말로 위험한, 무시무시한 생각이라고 한다. 엄연히 고통을 느끼는(마음의 고통을 포함하여) 존재를 ‘우리‘보다 열등하며 그런 고통을 당해 마땅할 존재로 치부하는 생각, 그것은 흑인들을 ‘동물처럼‘ 사냥하여 사슬에 묶어 노예로 부렸던 인종차별주의자의 생각이 아닌가? 여성이 남성과 똑같은 권리와 능력이 있음을 부정하고 그녀들을 집 안에만 묶어두려고 했던 성차별주의자의 신념이 아닌가? 싱어는 동물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종(種)차별주의‘로 정의한다. 그리고 종차별은 인종차별, 성차별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인 비윤리이며, 비인도적인, 잔인한 사상이라고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0-12-10 0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밑줄만 읽어도 후덜덜하네요 ㅠㅠ 저도 최근에 이 쪽으로 관심이 생기고 있는데 실천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서 매일 반성 모드입니다.

난티나무 2020-12-10 15:19   좋아요 0 | URL
한번에 똭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천은 어려워요. 그래도 작은 것부터...ㅎㅎ
 

짬짬이(?) 프랑스 작가의 책을 사고 있다. 얇고 가벼운 문고판으로. 





레몽 크노, [문체 연습] Exercices de style 

책 소개를 보고 구미가 확 당겨 삼. 휘리릭 넘겨보니 아, 쉽지 않겠구나 싶다. 그래도 도전! 언제? 몰라. 


알라딘 책소개 : 1947년 레몽 크노가 발표한 현대문학사에서 기념비적인 역작으로 평가받는 작품. 한 젊은이를 우연히 버스와 광장에서 두 번 마주친다는 일화를 바흐의 푸가기법에 착안해 99가지 문체로 거듭 변주해낸 연작. 다양한 문체가 지닌 잠재성과 혁명적인 힘을 보여주는 책. 한국어판에는 99가지 문체가 담긴 원서 이외에 플레이아드판에서 차후에 작가가 더 수행한 문체 연작에서 뽑아낸 10편을 더하여, 각 편마다 원문과 더불어 상세한 해설을 실었다.






[이방인]을 읽고 까뮈의 책 [결혼, 여름] Noces suivi de L'été 한 권을 더 사고, [이방인]에서 이어지는 이야기라는 Kamel Daoud의 [뫼르소 살인사건] Meursault, contre-enquête 을 샀다. 그러니까 뫼르소에 의해 죽임을 당한 사람의 동생이 하는 이야기. 


알라딘 책소개 : 알베르 카뮈가 1939년에 집필한 서정적 에세이. 지드의 <지상의 양식>, 장 그르니에의 <섬>과 더불어 프랑스 지적 산문집의 3대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힌다. (녜... 사고 보니 에세이...ㅎㅎㅎ) 


알라딘 책소개 :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뒤흔드는 문제작이 나왔다. 세계 3대 문학상인 콩쿠르상의 최우수 신인상을 수상한 <뫼르소, 살인 사건>이 그것이다. 이 작품은 '뫼르소, 살인 사건'이라는 제목과 "오늘, 엄마는 아직 살아 있네"로 시작하는 첫 문장에서 짐작할 수 있듯, 알베르 카뮈의 <이방인>을 토대로 하고 있다. (<이방인>의 첫 문장은 "오늘 엄마가 죽었다"이다.)

<뫼르소, 살인 사건>은 뫼르소, 즉 카뮈가 "다이아몬드처럼 정교하게 다듬어진 완벽한 언어"로 대변한 살인자의 이야기에서 우리가 미처 깨닫지 못한 '살해당한 한 사람'이 있었다는 시점에서 다시 시작된다.

이슬람 문화권에 대한 직설적인 비판으로 종교 재판인 파트와의 대상이 되기도 한 알제리의 유명 저널리스트인 저자 카멜 다우드는, 카뮈와 뫼르소를 바꿔치기하는 기발한 왜곡과 "살인자의 말과 표현"을 이용해 자신의 이야기를 새롭게 구성한다. 또한 카뮈의 작품들 중 가장 완성도가 높은 작품이라는 평을 받으며, 비극의 세기라고 일컬어지는 '20세기'의 잘못을 먼저 인정하고 참회하고 난 후에야 다른 이를 심판하고 단죄할 수 있다는 점을 그린 <전락>의 나레이션 방식을 차용했다.

1942년 출간된 이후 프랑스 문학사상 가장 많이 읽힌 책 가운데 하나로 자리매김한 <이방인>에 감히 문제 제기를 한 이 작품은 2013년 알제리에서 처음 출간된 이후 곧바로 프랑스를 포함, 전 세계 30개국 언어로 출간되며 '뉴욕 타임스 선정 2015 최고의 도서'로 선정되는 등 널리 주목받고 있다.






하... 안 샀어야 하는 책. 깜냥도 안 되면서 충동구매한 좋은 예.ㅠㅠ 

실사 인증합니다. 책'만' 사고 읽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푸코의 [성의 역사 1] 



이유를 아시겠나요??? 꼴랑 저만큼 읽었, 아니 헤맸습니다. 

무슨 뜻? 뭐라고? 뭔 말임? 이런 상태.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마르탱 파주 [왜 고기를 안 먹기로 한 거야?] Les animaux ne sont pas comestibles 

(그런데 '마르탱'이라고 읽지 않는다. 가장 가까운 발음으로 쓰자면 '막땅' 정도가 될 것이다. 더 정확히 말하자면 '막탕'과 '막땅'의 사이 어딘가...ㅎㅎ r이 끝에 쓰인 '봉쥬르'와 '봉주~'의 차이와 같다. 이방인의 '뫼르소'도 마찬가지. '먹쏘'가 오히려 더 가까운 발음이다. 

그러나 이렇게 우리 말로 정확하게 표현하기 어렵다는 걸 아니까, 마르탱도 뫼르소도 괜찮다. 괜찮지만... 사실 '탕'을 '탱'으로 발음하는 것은 서울말을 남부 지방 사투리로 발음하는 것과 같다... 빠리지앙-파리지앵 / 비앙-비앵 / 상 미셸-생 미셸 등등등등)

이 책은 큰넘이 사준 것. 그래서 문고판 아님.ㅎㅎㅎ 

어려울까 봐 살짝 걱정했는데 생각보다 잘 읽히는 편이라 다행이라 여기고 있다. 그와 더불어, 내가 기대한 것과 조금 다른가 싶기도 한 초반 읽기. 





















댓글(8) 먼댓글(0) 좋아요(1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연 2020-12-08 21: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뫼르소 살인사건>이란 책이 있었군요! 읽어봐야겠슴다~ 와우!

난티나무 2020-12-08 22:46   좋아요 0 | URL
네 <이방인>에 이어 읽으면 좋을 것 같아요!^^

다락방 2020-12-08 23: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역시 성의 역사는 원서로 읽어도 무슨 뜻? 뭐라고? 뭔 말임? 이 절로 나오는군요. 번역의 문제가 아니었던거죠. 저도 너무 못읽겠어서 이번 달에는 완독을 할 수 없는 것인가.. 절망하고 있습니다 ㅜㅜ

난티나무 2020-12-08 23:46   좋아요 0 | URL
하하^^;;;; 제가 프랑스어를 느무 못해서 ㅠㅠ 그런 걸로요. 이따 시험삼아 아이들에게 몇 줄 읽어보라고 할까 봐요. 끙.

단발머리 2020-12-10 07:2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왜 고기를 안 먹기로 한 거야>의 표지는 프랑스어 책이 훨씬 근사하네요. 물론 더 진지한 느낌을 전해주기는 하지만요. 혹여나 읽지 못하더라도 <성의 역사>는 소장각이네요. 느무 이뻐요!

난티나무 2020-12-10 15:22   좋아요 1 | URL
맞아요, 더 진지한 느낌. 원제도 그렇구요. 한국에서 저런 표지에 원제목 그대로 달고 나가면 아무도 안 살까 봐 바꾼 것 같다는 생각을 했어요.ㅎㅎ
<성의 역사> 흑흑. 저도 소장만! ㅋㅋㅋ

공쟝쟝 2020-12-14 08:2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여기서 이렇게 원서를 만날수 있게 되다니!! 저도 위엄만 뿜뿜 종이아깝게 싸바리 양장까지 더해진 한국판보단 컴팩트한 프랑스 푸코가 더 좋아요 ㅋㅋㅋ

난티나무 2020-12-14 15:51   좋아요 0 | URL
문고판이라 더 컴팩트해요. 큰 판형 책은 늠 비싸서...ㅎㅎㅎ
프랑스책은 종이에 힘 안 주고 표지도 얇아서, 장점이 더 많은 듯 합니다.
 

나 왜 이러지.
책 읽는데 눈물이 나.
어제도 시 읽고 울었는데
오늘은 에세이 읽으면서 울어.
잠은 새벽에 깼지만
침대에서 나오기 싫어
인터넷 여기저기 들쑤시고
영양가 없는 실용서 한 권 휘리릭 읽고
그리고 내일 반납해야 하는
[사랑 밖의 모든 말들]을 읽는데
눈물이 날 것 같아 흡 숨을 들이마시고서
그제야 느릿느릿 옷을 갈아입고
책 들고 부엌으로 와 사과 두 알 깎아놓고
우적우적 씹다가 울어버렸어.
오늘은 왜지
오늘은 뭐지
별것 아닌 문장에 왜 줄줄 울지
난 뭐지.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유행열반인 2020-12-07 18:31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김금희 문장이면 눈물나도 인정이요 ㅋㅋ근데 전 산문집보다 소설이 눈물나요 김금희는. 경애의 마음 진짜 눈물 쥬르륵

난티나무 2020-12-07 18:37   좋아요 1 | URL
그런 것이었던 것이었군요!! 엉엉 계속 울면서 절반 읽었어요.
아직 소설 하나도 안 읽은 게 함정.. 집에는 [복자에게]와 [나는 그것에 대해 아주 오래 생각해]가 있습니다... 어쨌거나 김금희 읽을 땐 휴지를 꼭 손에 쥐고 있어야 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