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묻힌 여성 - 여성의 눈으로 본 선사시대, 젠더 고고학의 발견
마릴렌 파투-마티스 지음, 공수진 옮김 / 프시케의숲 / 2022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 1 : 그런데 말이야, 옛날에 어떻게 살았는지, 그림을 남자가 그렸는지 여자가 그렸는지, 이런 게 중요한가? 어차피 자료도 없고 증거도 없이 추정만 하는 건데.

나 2 : 그치, 거의가 추정이고 가설이지. 하지만 저자도 이야기했듯이 인간은 기원을 알고 싶어 하는 습성이 있잖아. 무엇이 어디에서 시작되었는지, 그 모양은 어땠는지, 이런 거. 모두가 의미 없으니 하지 말자고 해도 분명히 하는 사람이 있을 거야.

나 1 : 어휴, 그게 다 무슨 소용인지. 의미 없다, 의미 없어. 그냥 전부 다 안 하면 안 되나?

나 2 : 어차피 누군가가 했고 지금도 하고 있으니 그렇다면 '제대로' 해야 하지 않겠어? 지금까진 남성의 시각으로 봐 왔으니 잘못된 건 바로잡아야지. 억측도 그렇고.

나 1 : 그건 그래. 그래도 열불 나는 걸 어떡해. 몇천 년 남성의 역사는 너무 견고하다고. 책 속 말투도 조금 그렇지 않아? 이렇고 저렇고 아무것도 단정 지을 수 없는데 선사학에서조차 남성들이 의견을 굽히려 들지 않는 경향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고 여성 운동이 역사는 짧지만 그래도 많은 것을 바꾸려고 노력했는데 앞으로도 엄청난 시간이 걸릴 거고. 왠지 저자도 완전 열받았을 것 같은데 말이야, 그런데도 말투는 아주 조심스러운 것 같았어. 난 그것도 맘에 안 들어. 좀 뭐랄까, 자기 검열??

나 2 : 뭐 그런 면이 없지 않은 듯하지만... 그래도 읽으면서 잘 몰랐던 걸 알게 되기도 했잖아. 아니 잘 몰랐다기보다는 다시 한번 생각하는 계기? '잠자는 숲속의 공주'나 사라 바트만 이야기 말이야. 난 최근에 본 드라마도 생각났어. 예나 지금이나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이데올로기는 아직도 여전하구나 싶었지. 조선 시대 상황의 단순 재현인지 재현을 통한 이데올로기 주입인지 잠깐 헷갈리더라고. 당연히 후자라고 생각하지만 말이야. 여전히 굳건한 이성애 이데올로기의 판타지적 재현. 아 이건 별 관계없는 이야긴가?

나 1 : 관계없는 건 아니지. 어차피 선사학도 보니 이게 남자다 저게 여자다 이런 걸로 싸우드만. 젠더가 둘 밖에 없어요. 그리고 말이야, 여성을 섹스의 대상으로만 보는 건 정말 이젠 몸서리치게 싫다고. 그걸 또 아니라고 하는 남자들 보는 것도! 어휴.

나 2 : 재미는 덜 했지만 난 그래도 이런 책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했어. 너는 막 슬렁슬렁 건너뛰면서 읽었지?

나 1 : 당근이지. 모르는 사람들 이름 보기도 벅차. 대충 건성건성 읽었으니 끝냈지 안 그러면 아직 2장 읽고 있을걸?

나 2 : 그런데 프랑스에도 알려지지 않은 여성학자들이 많더라.

나 1 : 뭐 거기뿐이겠냐. 세상에 널렸지, 널렸어.

나 2 : 그러니 저자 말대로 알려지지 않은 걸 알려야 하지 않을까? 남성의 언어 말고 여성의 언어로 말이야. 그런 의미에서 이 책도 그 나름의 가치를 갖는 거겠지. 덜 알려진 그들의 이름을 불러주었으니까.

나 1 : 그건 인정! 아, 선사학 이야기 진짜 재밌게 쓴 책 읽고 싶다아~~~ 



..............................

" 그러나 교환 이론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고고학적 증거는 전혀 없다. 증명이 필요하긴 하지만, 이러한 관습이 만약 구석기시대부터 있었다고 한다면, 이는 남성이 여성에게 일방적으로 강요한 것일까 아니면 상호 협의한 것이었을까? 솔직히 말해서 이 질문에 대한 답을 아직은 찾을 수 없다. 오히려 '귀중품'이 교환되는 경우가 많으므로, 선사 사회에서 교환품인 여성의 가치가 높았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학자도 있다. 특히 출산으로 후손을 얻게 해주기 때문에, 즉 집단의 영속을 보존해 줄 수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영국의 박물학자 찰스 다윈(1809~1882)이 1871년부터 주장했던 것처럼, 구석기시대 여성들이 자신의 배우자를 선택했을 가능성은 없는 것일까? 이처럼 가설만 무성하게 확산하는 상황에 대처하려면, 과학의 한 분야인 선사학이 채택한 학문적 방식이 무엇인지 알아야 할 것이다. 다시 발해서, 지난 수백 년간 이러한 방법론이 만들어지도록 영향을 준 문화유산의 요소를 구별해내야 할 것이다. " (35)







댓글(5) 먼댓글(0) 좋아요(1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다락방 2023-11-30 07:50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읽느라 고생하셨습니다!!

난티나무 2023-12-05 00:24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댓글 이제 다는 저...ㅜㅜ

미미 2023-11-30 14: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나1,나2에 이름 붙여주심 안되나요?ㅋㅋㅋㅋ 난티나무님
완독 수고하셨어요!

난티나무 2023-12-05 00:24   좋아요 1 | URL
투덜이와 긍정이???? 미미님 붙여줘 보세요~ㅎㅎㅎ
답글 늦어 죄송해요.^^;; 감사합니다~

미미 2023-12-05 07:46   좋아요 0 | URL
저는 아델과 엠마같은 이름 생각했어요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