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카고 대학교의 기든 에셸(Gidon Eshel)과 파멜라 마틴(Pamela Martin)은 동물성 식품 생산 과정에서 방출되는 온실가스의 양을 조사했으며, 전형적인 미국의 식단(그중 28퍼센트가 동물성인)은 같은 양의 칼로리가 포함된 베건 식단에 비해 한명이 1년에 약 1.5톤의 이산화탄소를 더 배출시킨다는 결과를 얻었다. 대조적으로, 보통의 운전자가 미국의 전형적인 자동차대신 좀 더 연비가 좋은 하이브리드 차량으로 바꾸었을 때 1년에 줄일 수 있는 이산화탄소 방출량은 1톤이다. 다시 말해서 내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억제하는 데는 차를 바꾸기보다 베건 식단으로 바꾸는 편이 더 효과적인 것이다. (물론 두 가지 다 하면 더 좋겠지만.)

대형 마트와 보통 식료품점에서, 우리는 모든 식품이 주류 식품업체의 상품이며(특별한 상표가 붙어 있는 것 외에는), 인도적, 지속 가능적, 환경친화적으로 만들어진 상품은 하나도 없다고 가정해야 한다. 특히 동물성 식품은 거의 전부가 공장식 농장에서 온 것이며, 그와는 다른 정보가 겉에 씌어 있는 극소수의 예외만있을 뿐이다. ‘완전 천연 제품이나 농장에서 갓 들여온‘ 따위의 문구에 현혹되지 말자. 그런 문구는 종종 공장식 농장의 상품을 치장하기 위해 쓰이는 상투적 문구들이다.

고기를 먹는 사람은 그 동물의 진실에 대해 알 책임이 있다.

이 세상에서 인간이 벌이는 일 중에, 농업만큼 이 지구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우리가 먹을거리를 구입하는 일은 거대한 글로벌 산업 시스템에 동참하는 일이다. 미국인들은 매년 1조 달러 이상을 식비로 쓴다. 자동차에 쓰이는 돈의 두 배 이상이고, 정부의 국방 예산에 비교해도 두 배 이상이다. 우리는 모두 식품의 소비자들이며, 우리 모두 어느 정도는 식품업체들이 유발하는 공해와 연관이 있다. 60억 명의 인구에 미치는 영향 말고도, 식품산업은 매년 500억 이상의 인간이 아닌 육지동물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 그들 중 다수는 전 생애를 구속받고 있으며, 계획에 따라 태어나 공장의 부품과 같이 살다가 살육되는 길을 가고 있다. 여기에 더해 수십억 마리의 물고기가, 그리고 다른 해양 생물들이 바다에서 떠내어져, 사람이 먹을 수 있도록 토막 나고 있다. 화학물질과 호르몬제는 강과 바다에 흐르고, 조류독감과 같은 병이 번진다. 농업은 거의 모든 생명에 손을 뻗고 있다. 이 모든 것은, 다름 아닌 우리가 내린 먹을거리 선택으로 빚어진 일이다. 더 나은 선택은 가능하다.

이런 주장을 들으면 곧바로 나오는 반론이 있다. "인도주의는 인간에게만 적용된다", "동물을 걱정할 여유가 있으면, 불쌍한 인간들부터 먼저 챙겨라." 그러나 피터 싱어는 그것이야말로 위험한, 무시무시한 생각이라고 한다. 엄연히 고통을 느끼는(마음의 고통을 포함하여) 존재를 ‘우리‘보다 열등하며 그런 고통을 당해 마땅할 존재로 치부하는 생각, 그것은 흑인들을 ‘동물처럼‘ 사냥하여 사슬에 묶어 노예로 부렸던 인종차별주의자의 생각이 아닌가? 여성이 남성과 똑같은 권리와 능력이 있음을 부정하고 그녀들을 집 안에만 묶어두려고 했던 성차별주의자의 신념이 아닌가? 싱어는 동물의 권리를 인정하지 않는 입장을 ‘종(種)차별주의‘로 정의한다. 그리고 종차별은 인종차별, 성차별과 마찬가지로 절대적인 비윤리이며, 비인도적인, 잔인한 사상이라고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단발머리 2020-12-10 07: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밑줄만 읽어도 후덜덜하네요 ㅠㅠ 저도 최근에 이 쪽으로 관심이 생기고 있는데 실천이 따라가지 못하고 있어서 매일 반성 모드입니다.

난티나무 2020-12-10 15:19   좋아요 0 | URL
한번에 똭 실천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되겠어요...^^;; 저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천은 어려워요. 그래도 작은 것부터...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