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틈만나면 퇴직을 할까 말까 고민하던 때에 이 책을 구입했다. 당연히 책은 눈에 들어오지 않았다. 지금 보니 그럴만도 했다. 뭐랄까. 이 책은 술술 넘기기에는 너무나 교과서 같은 책이다. 마치 예전에 아카데미 토플이나 이재옥 토플 같은 영어학습서를 공부하는 느낌이 난다. 살강, 뼈물다, 주루막, 따비밭 같은 어휘를 검색하고 옮겨 써보는 행위는 새 영어단어를 공부하는 것 같고, 허투루 쓰인 문장이 하나도 없는 완벽한 글은 영어 문장에서 틀린 부분을 찾을 때 처럼 집중력을 요한다. 에세이 쓰기의 모범이랄까 교과서랄까. 문장이면 문장, 내용이면 내용, 감탄하며 읽게 된다. 두꺼운 토플 책 두 권을 샅샅이 공부하고나서야 영어에 자신감이 붙기 시작했는데 이 책을 꼼꼼하게 읽고나면 문리가 좀 트이려나. 트이겠지. 트일 것이다. 훌륭한 책이니까.
<앞자리>라는 글은 하늘을 날아가는 기러기 떼를 보고 써내려간 글이다. 옮겨본다.
기러기 떼의 앞자리는 영광의 자리일까? 희생의 자리일까? 영광의 자리든지 희생의 자리든지 맨 앞자리에서 나는 새가 한 마리 있어야 무리가 형성된다. 앞으로 불쑥 나선 새의 뒤를 따라서 무리(無理) 없이 재편성되는 기러기 떼의 대형으로 보아서 그 앞자리는 자기를 희생하는 자리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러기들이 무리의 맨 앞자리를 영광의 자리로 탐냈다면 다툼으로 대형이 흔들려 대장정은 목적지에 다다르지 못하고 까마귀 떼처럼 흩어졌을지 모른다.
늦가을 빈들 위를 나는 까마귀 떼를 보면 혼란스럽다. 거기에는 선두가 없든지, 전부 다 선두든지 하다. 오합지졸인 것이다. 선두가 없는 것은 선두가 살신성인하는 자리로 인식되어 기피하기 때문일 것이고, 전부 다 선두인 것은 선두가 영광의 자리라서 서로 탐을 내기 때문일 것이다. 그 정도 의식 수준의 무리라면 통제나 질서 유지가 안 된다.
기러기들은 맨 앞자리의 필요성을 잘 안다. 그래서 존중한다. (중략) 기러기 떼의 앞자리. 기러기들은 그 자리에서 나는 기러기를 고마워할지언정 선망하지 않는다. 그 자리에서 날지 못하는 자신의 힘 모자람이 부끄럽다기보다 미안할 뿐이다. 그 자리는 유세(有勢)하는 자리가 아니고 살신성인하는 자리이기 때문이다. (중략)
기러기 떼는 높이 난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본다는 말은 비단 시계(視界)에 국한된 말은 아니리라. 안데스산맥 높이 나는 독수리는 눈으로 사냥감을 보는 정도지만 추운 밤하늘을 높이 날아가는 기러기 떼는 가슴으로 구만리 장천 너머에 있는 도래지를 본다. 그것은 관점(觀點)을 말하는 것이다. (중략)
앞자리로 나서려는 사람들이 넘쳐나는 것이 좋은 건지 나쁜 건지 알 수 없다. 누가 맨 앞자리에 서든지 나는 어차피 끝에서 앞 사람의 날갯짓이 일으킨 상승기류를 얻어 타고 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맨 앞에서 항로를 잡아 주려는 제일인자에 대한 믿음이 서지 않는 것은 불행한 일이다. p.89~91
'불행'한 나날을 보내는 요즘. 구만리 장천 너머에 있는 도래지를 볼 수 있는 관점을 장착하지 못한 권력자를 허구헌날 보는 것은 참으로 괴로운 일이다. 살신성인하는 자리에서 골목대장 노릇하는 꼴을 보는 건 참으로 민망하고 역겨운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