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음, 구승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바로 지금 여기에 던져진 존재인 인간은 던져진채로 떠밀려가는 상황에 자신도 모를 거부감을 느끼곤 한다. 그 속 깊은 곳에 스스로를 던지려 하는 강렬한 힘이 서려있기 때문이다. 추락을 비행으로 바꾸려는 강렬한 집착. 마치 이유도 모른채 절벽에서 떨어지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곤, 그냥 발버둥치는 것만으론 견디지 못하고, 스스로 자신만의 곡선을 그리며 물 속으로 뛰어들려는 것과 같은 집착에 붙들려버린 것이다. 이렇게 피투적 기투의 의지인 인간은 열려진 가능성의 존재로서 빛과 어둠 사이에서 어느 극단으로든 뻣어나갈 수 있는 존재이다.

이런 인간에 대한 두가지 대립적인 실존은 여러 방면에서 그 긴장을 드러내고 있다. 이로인해 인간의 가능성 가운데 긍정적인 부분과 부정적인 부분 중에 어느 한 쪽만을 강조하는 일이 쉬벌어진다. 경제의 영역에서도 이런 일 일어난다. 인간의 가능성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신고전주의 경제학과 부정적인 면을 강조하는 중상주의 경제학이 그것이다. 합리적 이성과 이기적 자아를 지닌 인간이 자유로운 시장 경제체제에서 경쟁할 때 경제는 발전할 수 있다는 신고전주의 경제학과 국가의 적극적 개입에 의해서만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고 보는 중상주의 경제학은 경제발전에 대한 중요한 관점으로 서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후쿠야마는 이 두 관점이 실제적인 성공의 사례를 통해 그 입지를 확고히 하고 있지만 그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고 본다. 그리고 문화 특히 신뢰라는 사회적 자본을 통해 그 사이를 비껴나가려 한다.

후쿠야마는 역사의 종언에 이른 현대에서는 거대 담론이나 거시 경제학에 대한 기대가 사라졌고, 이젠 문화간의 충돌을 통해서 창조적 변화로 나아가느냐 아니면 갈등으로 치닫는가의 기로에 서있다고 본다. 이런 상황에서는 오히려 어떤 제도라도 그것이 적용되는 곳의 문화가 강력한 변수로 작용해왔다는 점을 깊이 인식하고, 문화와의 역동적 상호작용의 메카니즘을 파악하여 적극적으로 이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보다 근본적인 방식이라는 주장을 근거로 그는 신뢰라는 문화적, 사회적 자본과 경제활동의 역학관계를 분석해 나간다.

신고전주의 경제학이나 중상주의 경제학의 관점은 사실 너무나 단순한 논리로 설명하려하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인간 사회의 경제나 정치의 현상은 복잡성과 다원성의 다양한 요인들의 긴장 속에서 상호 작용을 통해서 변해가기 때문이다. 이런 비판에서 볼 때 그 대안으로 문화를 언급한 것은 문화가 지닌 다면성과 다양한 사회적 요인이 그 안에 반영된다는 점에서 설득력이 있다. 그러나 그 다양성과 복잡성의 상호작용을 문화라는 한 축으로, 그것도 신뢰라는 한 가지 측면만으로 경제적 발전을 틀지우려 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어보인다.

후쿠야마는 이 책에서 어떤 경제적 제도도 그것이 적용되는 사회의 문화가 신뢰라는 문화적 자본을 얼마만큼 지니고 있는가에 따라 성공여부가 달라졌다고 논증해간다. 결국 신뢰라는 전통적이고 윤리적 가치가 역설적이게도 경제 영역에 작용할 때 경제가 발전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것은 앞으로 정보화의 발달로 사업이나 사회가 소규모화로 치닫는 경우에도 그 단위들 간의 유기적 연결에 중요한 역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해 진다고 주장한다. 기존의 기업의 경우에도 서로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모두가 공동체의 이익을 위해 일할 것이라는 믿음에 기초할 때 투자 비용이 줄어들고 새로운 문제에 직면했을 때도 적극적으로 극복해 나갈 힘을 지닐 수 있는 장점이 된다고 본다. 사실 이런 믿음이 없으면 서로를 감시하고 견제하는 비용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