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에 지젝 강연에 가보려고 했지만 체력이 바닥이 나 집에서 쉬었다. 지난주만 해도 충북과 경북, 그리고 강원도에 다녀왔으니 동선이 만만찮았다. 쉬면서 책을 좀 보려고 했지만 아직 정상 컨디션이 아니어서 대신에 독서거리만 챙겨놓는다. '오래된 새책' 범주에 들어갈 책이 지난주에도 몇 권 나왔는데, 그중에서 두 권을 골랐다.

 

 

먼저, 어린이 철학운동의 선구자라는 개러스 매슈스의 <아동기의 철학>(필로소픽, 2013). 이전에 <유년기 어린이 철학>(교육과학사, 2006)으로 소개됐다가 절판된 책이다. 제목이 바뀌면서 다시 번역됐다. '타고난 철학자인 어린이들에 대해 생각하다'란 부제가 책의 주제를 압축한다. 요지는 이렇다.

어린이 철학 운동의 선구자로 손꼽히는 개러스 매슈스는 이 책을 통해 어린이들의 사고가 오히려 ‘철학함’의 훌륭한 조건이 될 수 있다고 설득력 있게 주장한다. 저자가 피아제의 유명한 ‘보존 실험’을 비판하는 부분은 이 책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과학적인 실험처럼 보이는 피아제의 보존 실험이 실제로는 과학적이라고 할 근거가 약함을 보이고, 아주 어린 아이들에게서 ‘자아중심주의’와 ‘현상주의’라는 모호한 개념이 나타난다는 피아제의 주장에 대해서도 반례를 제시한다. 이어서 어린이들의 생생하고 뛰어난 철학적 사고와 활동을 우리에게 보여준다. 이전에는 연구된 적 없는 주제들, 예를 들어 어린이의 권리, 어린이와 죽음, 아동 미술의 예술성, 어린이를 위한 문학, 어린이의 권리, 아동기의 기억상실과 인격 동일성 등이 논의된다.

 

 

요컨대 어린이 철학 교육의 이론적 근거와 가능성을 조명한 책이라고 할 수 있겠다(이론적으로는 피아제와 콜버그의 비판이 책의 핵심이다). 이 주제에 관심이 있는 독자나 교사들에게 필독서.

 

 

독서법을 다룬 책 가운데 최장기 베스트셀러로 보이는 애들러의 <독서의 기술>이 십대의 눈높이에 맞게 편집돼 나왔다. 허용우의 <독서의 기술, 책을 꿰뚫어보고 부리고 통합하라>(너머학교, 2013). 정확하게 말하면, 오래된 책을 새책으로 만든 경우라고 할까. 소개는 이렇다.

저자 허용우는 서양 고전만을 다루어 낯설고 어려운 애들러의 <독서의 기술>을 우리에게 친근한 책과 예문들, 구체적이고 쉬운 해설과 유쾌하고 생생한 글로 선보인다. 이 책은 독서의 기술을 축구에 비유하며 축구를 하려면 조기축구보다는 수준 높은 국가대표 단계의 축구를 해 보자고 독자들을 자극하고, 저자가 오랫동안 연구한 내용을 한 번에 이해할 수는 없지 않겠냐며 격려한다. 학업에 대한 부담으로 시간과 여유가 없는 우리 십대들을 위해 실용서, 문학, 수학, 과학, 역사, 교과서 읽는 법을 소개하여 실용성을 높였다. 

독서에 멀미를 보이는 학생들을 편하게 독서로 유인하는 역할을 해주지 않을까 기대한다. 독서는 선택이 아니라 필수라는 자각이 없이는, 그리고 실천이 없이는 우리가 어떤 미래를 기대할 수 있을까. 그런 소극적 이유를 제쳐놓더라도 독서를 즐기는 능력과 기술의 습득은 우리가 누릴 수 있는 가장 저렴하면서 동시에 가장 고급스러운 향유의 바탕이다.

 

 

찾아보니 원저 증보판은 분량이 두툼한 편이다. 한번 구해봐야겠다...

 

13. 09. 2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