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겨레 주말판에서 '로쟈의 번역서 읽기'를 옮겨놓는다. 이번에 고른 건 가르시아 마르케스의 <백년의 고독>(민음사, 2000)이다. 복잡다단한 이야기를 담고 있는 작품이어서 이모저모를 다 살펴볼 순 없고 작품에 나타난 혁명과 고독의 관계에 대해서만 조금 적었다.  

 

 

 

한겨레(12. 10. 13) 혁명이 사라진 자리엔 깊은 고독만이

 

중국 작가 모옌이 올해 노벨문학상 수상자가 됐다. 중국의 민중세계를 가장 잘 재현한다는 평판의 모옌은 민간 구전과 역사를 결합시키는 기법을 즐겨 쓰기에 ‘중국의 마르케스’로도 불린다. 딱 30년 전인 1982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가르시아 마르케스와 그의 대표작 <백년의 고독>을 자연스레 떠올리게 된다. 스페인어권에서 <돈키호테> 다음으로 많이 팔렸다는 초대형 베스트셀러이기도 해서 국내에는 노벨상 수상 이전에 <백년 동안의 고독>이란 제목으로 소개된 바 있다.

 



마르케스의 노벨상 수상연설문 제목이 ‘라틴아메리카의 고독’이었고, 한 평론가는 <백년의 고독>을 두고 “남미 대륙의 고독을 벗어나기 위한 지루한 여정”이라고도 말했다. 어떤 고독인가? 작품에서만 보자면 근친상간적 욕망의 고독이다. 부엔디아 가문 6대의 성쇠를 다룬 이야기의 발단은 호세 아르카디오 부엔디아와 우르슬라 이구아란의 결혼이다. 문제는 두 사람이 사촌간이었다는 데 있다. 자신들을 조롱한 친구를 호세 아르카디오 부엔디아가 죽인 일이 계기가 돼 그들은 낯선 곳으로 이주하여 마콘도라는 마을을 세운다.

두 사람은 부엔디아 가계의 자손들을 퍼뜨리지만 아내 우르슬라는 항상 근친혼으로 인한 불행한 결과를 염려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친혼적 성향은 그 자손들에게도 이어진다. 집안의 남자들에게 ‘호세 아르카디오’와 ‘아우렐리아노’란 이름만 반복적으로 붙여지는 것은 그 징후적 표지다. 100살 넘도록 장수한 우르슬라가 죽고 나서 6대손 아우렐리아노는 이모 아마란타 우르술라와 사랑에 빠지고 결국 그들은 돼지꼬리가 달린 아이를 낳는다. 그 아이가 개미떼의 밥이 되는 것을 보고서야 아우렐리아노가 오래전 집시 멜키아데스가 남긴 양피지 문서에 쓰인 부엔디아 가문의 역사를 해독해내는 것이 소설의 결말이다.

단순하게 보자면 부엔디아 가문의 종말기는 소포클레스의 <오이디푸스왕>처럼 예언을 피하려다 결국은 붙들리고 마는 운명비극으로도 읽힌다. ‘잘못될 수 있는 일은 결국 잘못되게 마련’이라는 머피의 법칙의 한 사례라고나 할까. 그렇다고 다른 가능성이 없었던 것은 아니다. 가문의 안주인 우르슬라와 함께 소설에서 주인공 역할을 하는 아들 아우렐리아노 부엔디아 대령이 보여준 가능성이다. 작가가 콜롬비아 보수정권에 대항해 반란을 일으켰던 자유파 지도자 우리베 장군을 모델로 하여 그려낸 부엔디아 대령은 가장 고독한 성격의 인물이지만 동시에 모두 실패로 돌아가긴 했어도 서른두번의 반란을 일으킨 인물이다.

애초에 그는 마콘도에 부임한 정부 행정관의 사위가 되지만, 장인이 선거 투표용지를 바꿔치기하는 부정을 저지르는 걸 보고는 보수파는 사기꾼들에 불과하다는 걸 깨닫고서 내전에 가담한다. 반란군의 전설적 지도자로서 그가 일으킨 서른두차례의 반란만큼 의미를 갖는 것은 그가 전국 각지에서 열일곱명의 여자에게서 얻는 열일곱명의 아들이다. 이들은 모두 아우렐리아노란 이름으로 불린다. 근친혼적 성향의 수축적 가계에서 벗어나 확산의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하지만 이 아들들은 아버지를 기념하는 행사에 참여하기 위해 마콘도에 모였다가 새로운 반란을 두려워한 정부 쪽 요원들에 의해 모두 암살당하고 만다. 세상을 바꾸는 혁명의 가능성이 닫힐 때 남는 건 고독으로의 유폐뿐이다.

 

12. 10. 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