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은 문학기행 당일 아침에 공항으로 가는 길에 적은 소회를 하루 당겨서 적는다. 내일아침 공항버스로 인천공항에 도착하면 익숙한 출국 절차가 진행될 터이다. 이번에는 참가자가 적은 편이어서(역대 두번째) 어깨가 가볍게도 느껴진다(일정은 하루 늘어서 짐은 더 늘어날지 모른다. 책짐이 관건이다).

오스트리아문학기행은 당초 지난해에는 중유럽문학기행으로 기획했다가 무산돼 재조정한 것이다. 오스트리아(빈)와 헝가리(부다페스트) 일정은 그대로이지만 체코(프라하와 브루노)가 빠지는 대신 슬로베니아(류블랴나와 블레드)와 오스트리아의 다른 두 도시(클라겐푸르트와 잘츠부르크)가 포함되었다. ‘중유럽‘이란 말은 쿤데라에게서 가져온 것인데 중유럽의 나머지 두 나라, 체코와 폴란드는 내년 1월에 찾을 예정이다(그렇게 치면 오스트리아문학기행은 2부작 중유럽문학기행의 1부가 된다).

슬로베니아와 헝가리가 포함됐지만 오스트리아문학기행이라고 정한 것은 이 지역이 1차세계대전이 끝나고 제국이 해체되기 전까지는 오스트리아제국(내지는 오스트리아-헝가리제국)에 속했었기 때문이다. 거슬러 올라가면 독일을 포함한(한때는 스페인과 이탈리아끼지도) 신성로마제국에 속했던 지역이다. 나중에 따로 다루겠지만 이번 문학기행의 초점은 세기말 빈(비엔나 1900)과 부다페스트(부다페스트 1900)이다. 19세기말부터 20세기초 (1차세계대전을 경계로 삼으면 말 그대로 장기 19세기말이다) 범오스트리아의 지성사와 문화사는 세계사적으로도 주목을 끌 만큼 다채롭고 화려하다. 소위 ‘빈 모더니즘‘에 견줄 만한 모더니즘 예술운동은 파리의 모더니즘 정도가 아닐까 싶다(시간순서로는 빈이 가장 앞서고 취리히를 경유해서 파리로 건너가는 듯싶다).

나의 관심은 그러한 예술적 성취를 가능하게 한 사회적 조건을 이해하고 분위기를 느껴보는 것이다(예컨대 빈과 부다페스트의 카페 문화). 더불어 오스트리아가 자랑하는 음악(모차르트와 말러, 쇤베르크 등)과 미술(클림트와 에곤 실레, 오스카 코코슈카 등), 그리고 건축들도 자연스레 감상하게 될 것이다. 빈과 부다페스트의 도시 경관과 함께 중유럽의 가장 아름다운 호수라는 블레드 호수와 잘츠부르크의 수려한 자연경관도 이번 문학기행의 볼거리이다.

전체 일정에 대한 어림은 이미 마친 상태에서 읽은 책(+읽어야 할 책)을 챙기는 일이 남았는데, 무게도 고려해야 해서 오스트리아 역사 관련서는 <아주 짧은 합스부르크사>를 골랐다. 장시간 비행(내일 인천공항에서 이륙하면 환승을 포함해 총 16시간반쯤 지나야 첫 목적지 류블랴나에 도착하게 된다)에 읽을 책 가운데 하나로. 역사서는 문학기행에서도 언제나 조감도로 필요하다. 책장에서 빼낸 책으로는 <케임브리지 세계사 콘사이스>, 그리고 <세상에서 가장 짧은 세계사>(원제는 ‘가장 짧은 유럽사‘)를 경유해서 <아주 짧은 합스부르크사>로 넘어가는 것이 내가 선택한 경로다(가장 짧은 경로!)

마치 입시 전날의 수험생처럼 이 책들을 뒤적이며 최종정리를 하다가 잠이 들 것 같다. 그러고는 마침내 오스트리아문학기행의 첫날을 맞게 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