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간경향(1342호)에 실은 리뷰를 옮겨놓는다. 영국문학 강의에서 읽은 로버트 스티븐슨의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기이한 사례>를 다루었다. 스코틀랜드의 부유한 집안 출신인 스티븐슨의 영국관과 동성애관이 궁금해서 그의 평전도 주문해놓은 상태다. 간략한 사랑 이야기는 최근에 나온 <미친 사랑의 서>(문학동네)를 참고할 수 있다(스티븐슨 장의 제목이 '빌어먹을 사랑'이다)...


 














주간경향(19. 09. 02) 인간의 이중성과 남성 중심사회의 이중성


작품이 작가보다 유명한 경우가 종종 있다. 로버트 스티븐슨의 고딕 중편소설 <지킬 박사와 하이드씨의 기이한 사례>(1886)도 그에 해당한다. 이 소설은 남성들만 등장한다는 점이 특이성이다. 인간 본성의 이중성을 탐구한 작품이라는 평판에 덧붙여서 남성 중심사회의 이중성을 다룬 작품으로서도 주목해볼 필요가 있다.


선과 악이라는 인간 본성의 이중성은 소설의 결말에 배치된 ‘헨리 지킬의 진상고백서’에서 자세히 읽을 수 있다. 영국 상류사회의 명사인 지킬 박사가 어떻게 하이드로 변신할 수 있었고, 그 이후에 어떤 일이 벌어진 것인지 해명하는 내용이다. 부유한 집안 출생으로 지킬에게는 명예롭고 성공적인 미래가 보장되어 있었고 그 자신도 그러한 지위와 사회적 존경을 좋아했다. 하지만 동시에 쾌락에 대해 취약하다는 약점도 지니고 있었다. 그는 자기 내면의 선과 악을 들여다보다가 이 두 가지 본성을 분리하고 싶다는 생각을 품는다. 그는 연구 끝에 약제를 고안하여 음용하고 자기 안에 숨겨져 있던 또 다른 자아(하이드)로 변신하는 데 성공한다. 지킬은 하이드로 변신하여 마음껏 쾌락을 추구하고 다시 아무런 가책 없이 점잖은 지킬로 되돌아온다.

지킬이 변신한 하이드의 외양은 기형으로 묘사된다. 그는 50대인 지킬보다 훨씬 젊지만 키가 작고 추악한 모습이다. 흥미로운 건 거울에 비친 하이드의 모습을 본 지킬의 반응이다. 그는 추악한 모습에도 하이드에게 혐오감 대신에 기쁨을 느낀다. 지킬과 하이드의 대립과 충돌은 적어도 하이드를 처음 대면한 지킬의 의식에서는 찾아볼 수 없다. 하이드를 추악하고 혐오스러운 인물로 보는 사람들은 지킬의 지인으로 등장하는 다른 남성들이다.

소설의 서두에서 지킬의 법률대리인이기도 한 변호사 어터슨은 먼 친척 엔필드와 산책을 하다가 런던 번화가의 뒷골목 어느 문앞에 이르러 기이한 사건 이야기를 듣는다. 한밤중에 키가 작은 한 사내가 어린 여자아이와 길모퉁이에서 부딪치자 아이의 몸을 무자비하게 짓밟았다는 것이다. 엔필드는 사내를 뒤쫓아가 붙잡아서는 보상금을 물게 했는데 그가 골목의 문으로 들어가서 들고 온 수표에는 예의범절의 모범으로 유명한 명사의 서명이 적혀 있었다. 바로 지킬의 서명이었고 사내는 하이드였다. 이 얘기를 꺼내며 엔필드는 하이드에 대해 아주 불쾌하고 혐오스러운 느낌이 들었다고 말한다. 심지어 “뭔가 기형이거나 불구인 게 틀림없어”라고 단정짓는다. 이런 식의 혐오감은 지킬을 제외하고 소설에 등장하는 상류사회 중년 남성들이 공유하는 느낌이다. 그들은 지킬 박사를 동료로서 존경하지만 하이드는 배척한다.

스티븐슨의 이 ‘기이한 사례’에는 두 가지 대립이 등장한다. 첫 번째는 물론 지킬과 하이드의 대립이다. 그리고 또 다른 대립은 하이드를 보는 시선의 대립이다. 이 두 번째 대립에서 지킬은 남성들의 연대로 구축된 동성사회에서 다른 남성들과 대립하며 배제된다. 영국에서는 1885년 수정형법을 통해서 동성애를 법으로 금지한다(실제로 1895년 오스카 와일드는 이 법의 적용을 받아 처벌된다). 그 직후에 발표된 이 소설에서 동성애에 대한 영국 상류사회의 공포와 혐오를 읽는 것은 무리한 일이 아니다. 동성애를 남성들의 동성사회에 대한 위협으로 받아들이게 된 빅토리아 시대 영국 사회의 모습이 스티븐슨의 이 문제작에는 투영되어 있다.

19. 08. 2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