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편소설과 민중언어 창비신서 88
미하일 바흐친 지음, 전승희 외 옮김 / 창비 / 1998년 12월
장바구니담기


이 일련의 진술들의 끝은 실상 후에 헤겔에 의해 정식화된 소설이론으로 맺어진다. (중략) 첫째, 소설은 다른 상상적 문학장르들에서 사용되는 의미에서 '시적'이어서는 안된다. 둘째, 소설의 주인공은 서사시 혹은 비극에서 사용되는 의미에서 '영웅적'이어서는 안되며, 그 자신 속에 긍정적인 모습뿐 아니라 부정적 모습도, 고상한 모습뿐 아니라 미천한 모습도, 진지한 모습뿐 아니라 우스꽝스러운 모습도 함께 지녀야만 한다. 세째, 소설의 주인공은 이미 완성되어 불변하는 인물로 묘사되어서는 안되고 계속 진화하고 발전하는, 삶으로부터 배워나가는 인물로 그려져야 한다. 네째, 소설은 당대 세계에 의해 고대 세계에서의 서사시의 우치와 같이 되어야 한다.-26쪽

나는 그 원칙에 있어서 소설을 다른 장르들과 근본적으로 구별해주는 세 가지 기본적 특징을 발견한다. 첫째, 소설에 실현된 다중 언어적(multi languaged)의식과 결부되어 있는 소설의 문체상의 삼차원성. 둘째, 소설이 문학적 형상의 시간적 좌표에 야기하는 근본적 변화. 세째, 문학적 형상들을 구조화하기 위하여 소설에 의해 개방된 새로운 영역, 즉 모든 미완결상태의 현재(당대 현실)와의 최대한의 접촉영역.-27쪽

하나의 장르로서의 서사시는 편의상 세 가지 구성적 특징을 지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첫째, 한 민족의 서사적 과거 -괴테와 쉴러의 용어로 하면 '절대적 과거'- 가 서사시의 주제로 사용된다. 둘째, 개인의 경험과 그것으로부터 자라나온 자유로운 사상이 아니라 민족적 전통이 서사시의 원천으로 사용된다. 세째, 절대적인 서사시적 거리가 서사시적 세계를 당대현실로부터, 즉 음유시인(작가, 그리고 그의 청중)이 살고 있는 시대로부터 분리시킨다.-29쪽

희극적으로 되기 위해서는 가까와져야 한다. 우리를 웃게 만드는 모든 것은 가까이 있는 것이고 모든 희극적 창조성은 최대한의 근접영역에서 발휘된다. (중략) 웃음은 대상 및 세계를 친숙하게 접촉하는 것을 통해 그것을 완전히 자유롭게 검토할 수 있게 하는 공간을 마련해줌으로써 그것에 대한 공포심이나 충성심을 파괴한다. 웃음은 세계를 리얼리스틱하게 접근하는 데 필수불가결한 대담성의 전제조건을 마련하는 하나의 본질적인 요소이다. 웃음이 대상을 자신에게로 끌어당겨 친숙하게 만드는 것과 마찬가지로, 웃음은 그 대상을 대담한 탐구적 실험의 손 -과학적이면서 동시에 예술적인- 에, 그리고 자유로운 실험적 상상의 손에 인도한다. 웃음과 민중적 언어를 통해 세계를 친숙하게 만드는 일은 자유롭고 과학적으로 해독할 수 있으며 예술적으로 리얼리스틱한 창조성을 유럽문명에 가능하게 하는 데 있어서 지극히 핵심적이고 필수불가결한 한 단계였던 것이다.-41쪽

하나의 전체로서 소설을 구성하고 있는 문체구성적 단위체의 기본유형은 다음과 같다.
1. 작가에 의해 직접적으로 이루어지는 문학적 예술적 서술 및 그 변형들
2. 다양한 형태의 일상구어체 서술의 양식화 (skaz 이야기)
3. 다양한 형태의 준(準)문학적 (문어체의) 일상서술의 양식화 (편지나 일기 등)
4. 작가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비예술적 문예언어(윤리적, 철학적, 과학적 진술이라든가 수사학적, 인종학적 묘사, 비망록 등)
5. 작중인물들의 독특한 개성이 담긴 발언.
위와 같은 이질적인 문체적 단위체들은 소설 속에서 결합하여 구조화된 하나의 (단일한) 예술적 체계를 형성하며, 그 결과 전체로서의 작품이 지니는, 위의 어떤 문체적 단위체와도 동일시될 수 없는 보다 차원 높은 문체적 통일성에 종속하게 된다.-67-68쪽

우리는 여기서 이중의 강조와 이중의 문체를 가진 전형적인 혼성구문(hybrid construction)을 보게 된다. 우리가 여기서 혼성구문이라고 부르고자 하는 것은 그 문법적 성문적(compositional) 표지로 보면 단일한 화자에게 속해 있는 것이면서도 실제로는 그 안에 두 가지 발언, 두 가지 어법, 두 가지 스타일, 두 가지 '언어', 두 가지 세계관(의미 및 가치상의)이 혼합되어 있는 발언을 말한다. 거듭 말하지만 이같은 두 가지 발언과 스타일과 '언어'와 세계관 사이에는 어떠한 형식적 경게 -구문에 있어서나 화법에 있어서나- 도 없다.-116쪽

디킨즈의 소설 전체가 이와 같다. 실로 그의 작품 전체가 사방에서 밀려드는 다양한 언어의 파도로부터, 작가의 직접적 발언이라는 점점이 흩어져 있는 조그만 섬들을 구분해주는 인용부호로 점철되어 있다. 그러나 그러한 인용부호를 실제로 삽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앞서도 살펴보았듯이 하나의 어휘가 동시에 작가의 말이자 타인의 말인 경우가 흔하기 때문이다. -120쪽

희극소설에서 발견되는 언어적 다양성과 그것의 문체적 활용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특징을 뚜렷이 보인다.
(1) 소설 속에는 다양한 '언어들'과 언어 이념적 신념체계들, 즉 장르별, 직업별, 계급 이해집단별로 각기 세분되는 언어(귀족언어, 농민언어, 상인언어, 농업노동자의 언어 등)와 경향적 일상적 언어(소문의 언어, 사교계 잡담의 언어, 하인의 언어 등) 따위가 포함된다. 그러나 이러한 어어들은 대체로 주인공이나 작중화자 따위의 특정한 인물들에 의해 대변되기보다는, 작가에 의한 직접적 담론과 번갈아 나오면서(이런 언어들과 작가의 직접적 담론 사이의 형식적 경계는 분명치 않다) '작가'로부터 직접 유래하는 단일한 객관적(비개성적) 형식 속에 통합된다.
(2) 작중에 삽입된 언어들과 사회 이념적 신념체계들은 작가의 의도를 굴절시켜 표현하는 데 활용되는 한편 그 과정에서 자기 자신들은 그릇되고 위선적이며 탐욕스러운 어떤 것이자 한계가 분명하고 설혹 합리적인 경우라도 편협하게 합리적인 어떤 것, 현실에는 맞지 않는 어떤 것임을 드러냄으로써 파괴된다. (아래에 계속)-124-125쪽

(위에서 계속) 이미 완성된 형식을 갖춘 공인된 언어로서 권위주의적이고 반동적인 지배언어인 이러한 언어들은 실생활 속에서 대부분 사멸과 대치의 운명에 처해 있다. 소설 속에서 그에 포함된 언어들에 대한 다양한 형식, 다양한 정도의 패러디적 양식화가 지배적인 것은 이 때문이다.-124-125쪽

소설을 소설로 만들어주며 소설의 문체적 고유성을 보장해주는 근본적인 조건이 바로 말하는 사람과 그의 담론이다. 이 말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세 측면을 주의깊게 구별해야 한다.
(1) 소설에서는 말하는 사람과 그의 담론이 언어에 의한 예술적 묘사의 대상이다. (중략)
(2) 소설 속의 화자는 본질적으로 구체적인 역사에 의해 규정되는 사회적 개인이며, 그의 담론도 '개인적 방언'이 아닌 (맹아 상태의) 사회적 언어이다. (중략)
(3) 소설 속의 화자는 언제나 어떤 정로도는 이념인(ideologue)이며, 그의 말은 언제나 이념소(ideogeme)들이다. 소설 속의 특정 언어는 언제나 세계를 바라보는 특정 방식이며, 따라서 사회적 의미를 추구하게 마련이다. -150-151쪽

서사시의 주인공이 말하는 담론은 이념적으로 경계를 정할 수 없다. (그것은 단지 형식면에서, 즉 구성이나 플롯에 의해서만 구분될 뿐이다.) 왜냐하면 그것이 작가의 담론과 합쳐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작가 또한 자기 자신의 이념적 경계를 분명히 하지 않는다. 그것은 가능한 한 단 하나의 이념인 공동체의 이념과 융합한다. 서사시에는 단 하나의 일원론적이고 단일한 신념체계만이 존재한다. 반면 소설에는 그러한 신념체계가 여러 개 있으며, 주인공은 대체로 자신의 체계 내에서만 행동한다. 이런 연유로 해서 서사시에는 다양한 여러 언어들의 대변자들로서 기능하는 화자들이 없다. 서사시에서 화자는 본질적으로 작가뿐이며, 서사시의 담론은 단일하고 일원론적인 작가의 담론이다.-152-153쪽

유럽소설 발달양식의 첫번째와 두번째 흐름은 둘 다 각기 그 나름의 방식대로 일련의 특수한 문체상의 변형태들로 나누어진다. 두 가지 흐름은 서로 교차되며 여러가지 방식으로 서로 뒤섞이기도 한다. 즉 궁극적으로는 소재의 양식화와 다양한 언어에 의한 교향화 사이에 통일성이 생겨나기도 하는 것이다.-201쪽

모든 담론에는 그것 자체를 자신의 것으로 아끼고 사랑하는 소유자가 있다. 모든 사람이 그의미를 공유하는 말이나 '누구에게도 속하지 않은' 말이란 없다.-231쪽

피카레스크 소설은 아직은 그 자신의 의도들을 말 그대로 교향시키지는 않는다. 그러나 그것은 이전에 자신을 억압했던 무거운 파토스와 모든 죽어버린 강조와 거짓된 강조로부터 담론을 해방시켜서 담론의 무게를 덜어주고 어느 정도는 담론을 비워줌으로써 그같은 교향화를 위한 필수적 준비를 해나간다.-240쪽

문학사 속에서 재강조의 과정은 엄청난 중요성을 지닌다. 각 시대는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전(前) 시대의 작품들에 대해 새로운 강조점을 부여해왔다. 고전적 작품들의 역사적 삶이란 사실상 끊임없는 사회 이념적 재강조의 과정이었다. 그러한 작품들은 작신들 속에 내재해 있던 의도상의 잠재력 덕분에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때마다, 그리고 끊임없는 자기 갱신의 과정을 밟고 있는 대화적 배경 속에서 항상 의미의 새로운 측면들을 드러낼 수 있었던 작품이다. 그들의 의미 내용은 문자그대로 지속적으로 성장하는 것이며 스슿로를 재창조해나가는 것이다. 이와 마찬가지로 그 작품들이 후대의 창조적 제품들에 미치는 영향에 도 불가피하게 재강조가 포함된다. 문학상의 새로운 형상들은 종종 제전의 형상들을 재강조함으로써, 즉 형상들을 어떤 한 강조체계로부터 다른 강조체계로 (예를 들어, 희극적 평면에서 비극적 평면으로, 혹은 그 반대로) 옮겨 뫃음으로써 창조된다. -255쪽

위대한 소설적 형상들은 그것들이 창조되고 난 이후에도 계속 자라고 발전한다. 그 형상들은 자신들이 처음 태어났던 날로부터 아주 멀리 떨어진 다른 시대에도 거듭거듭 창조적 변형을 겪을 수 있을 것이다.
"소설 속의 담론" 끝 (인용자주)-257쪽

이 글에서는 문학작품 속에 예술적으로 표현된 시간과 공간 사이의 내적 연관을 '크로노토프(chronotope)라고 부르겠다. (중략) 문학예술 속의 크로노토프에서는 공간적 지표와 시간적 지표가 용의주도하게 짜여진 구체적 전체로서 융합된다. 말하자면 시간은 부피가 생기고 살이 붙어 예술적으로 가시화되고, 공간 또한 시간과 플롯과 역사의 움직임들로 채워지고 그러한 움직임들에 대해 반응하게 된다. 이러한 두 지표들간의 융합과 교차가 예술적 크로노토프를 특징짓는 것이다.
문학작품 속의 크로노토프는 본질적으로 장르를 규정하는 의미를 지닌다. 크로노토프야말로 장르와 장르적 차이점들을 결정하는 요인이라고도 말할 수 있는바, 그것은 문학작품 속의 크로노토프에 있어서 주된 범주는 시간이기 때문이다. 또한 크로노토프는 형식적 구성범주로서 문학작품 내의 인간 형상(image)도 크게 좌우한다. 인간형상은 언제나 본질적으로 크로노토프적이다.-260-261쪽

만남의 모티프가 공간적 지표와 시간적 지표의 통일성이라는 면에서 만남의 모티프와 유사한 이별, 탈출, 획득, 상실, 결혼 등등의 모티프들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사실은 특별히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만남의 모티프가 길(大路)의 크로노토프 및 길에서의 만남과 관련한 다양한 유형의 크로노토프와의 사이에 가지는 밀접한 관계는 특별한 중요성을 지닌다. 길의 크로노토프에서는 시간적 지표와 공간적 지표 사이의 통일성이 대단히 정확하고 명백하게 드러난다. 문학에서 길의 크로노토프가 지니는 중요성은 지대하다. 거의 모든 작품이 이 모티프의 변형태를 포함하고 있으며 많은 작품들이 길의 크로노토프 및 길에서의 만남과 모험을 직접적인 기반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다.
만남의 모티프는 또한 다른 중요한 모티프들, 특히 인지,비인지의 모티프와 같이 문학(가령 고대 비극)에서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모티프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276-277쪽

악한과 광대와 바보는 그들의 주위에 자신의 특별한 小세계, 즉 자신의 크로노토프를 창조한다. (중략) 첫째로 이 인물들은 문학 속에 자신들과 더불어 광장의 간이무대나 가면극의 무대장치에 대한 생생한 연관을 끌어들인다. 그들은 평민들이 모이는 광장이라는 대단히 특수하고 극히 중요한 영역과 관련을 맺고 있는 것이다. 둘째로 이들의 존재 그 자체는 직접적인 의미가 아닌 은유적인 의미를 갖는다. 그들의 외양과 그들의 언행은 직접적이고 無매개적인 방식으로 이해될 수 없으며 반드시 은유적으로 파악되어야만 한다. 그들의 의미는 때로 뒤집어질 수조차 있다. 그들은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져서는 안된다. 그들과 그들의 겉모습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세째로 그들의 현존은 다른 어떤 것의 존재양식을 반영한 것이며, 그나마도 간접적인 반영이다. 그들은 삶의 가면극배우들이다. 따라서 그들의 존재는 그들이 맡은 역할과 일치하며 이 역할을 벗어나면 그들의 존재는 곳 없어진다. (아래에 계속)
-351-354쪽

(위에서 계속)
이 세 인물은 대단히 중요한, 동시에 하나의 특권이기도 한 한 가지 특징 -이 세계 속에서 '타자'가 될 권리, 즉 현존하는 인생의 범주들 중 어느 하나와도 협력하지 않을 권리- 를 지닌다. 그 범주들 중 어느 하나도 그들에게는 적합하지 않은데 그 까닭은 그들이 모든 상황의 이면과 허위를 보기 때문이다.(중략)
소설가는 그가 바라본 삶을 公表할 수 있는 위치뿐만 아니라 그가 삶을 바라보는 위치를 결정하는 데 기여할 수 있는 어떤 본질적이고 형식적이고 장르적인 가면을 필요로 하고 있다. 여러가지로 변형된 광대와 바보의 가면들이 소설가를 돕게 되는 곳이 바로 여기이다. (중략) 그것들은 삶에 참여하지 않아도 될 유서깊은 바보의 특권을 통해서, 그리고 그의 유서깊은 거친 언어를 통해서 민중과 유대를 맺는다. (중략) 마침내 사적인 삶을 반영하면서 그것을 공적인 것으로 만드는 특수한 형식이 발견되었던 것이다.
-351-354쪽

고대적인 복합체의 모든 측면들 중 웃음만이 여하한 방식(종교적, 신비적, 철학적)의 승화도 겪지 않았다. 웃음은 결코 공식적인 성격을 띤 적이 없었으며, 문학에서도 희극적 장르는 가장 자유분방하고 가장 통제가 적은 장르이다. (중략) 웃음은 생명없는 관료주의에 조금도 오염되지 않았다. 따라서 웃음은 다른 진지한 형식, 특히 비장한 형식처럼 왜곡되거나 허위에 찬 것으로 될 수 없었다. 웃음은 비장한 진지함이라는 껍질로 덮여 있는 공식적 허위의 외부에 존재했다. (중략)
웃음이 가장 다양하게 현현하는 곳은 바로 말이다. (중략) '일차적 의미와는 다른 의미를 활용하는' 시적 언어 사용, 즉 비융화 더불어 언어를 통해 간접적으로 웃음을 표현하는 많은 다양한 형식들이 존재하는바, 풍자나 패러디, 해학, 농담, 다양한 형태의 희극적인 이야기 등이 그것이다. (중략) 말에 포함된 관점은 재해석되며 언어의 양식 및 언어와 사물의 관계, 그리고 언어와 화자의 관계 또한 재해석된다. (중략) 말로 웃음을 표현하는 이런 모든 특징들이 대상을 둘러싸고 있는 허위에 찬 언어적, 이데올로기적 껍데기를 벗겨내는 저 특별한 힘과 능력에 기여한다.-442-443쪽

작품 및 그 작품 안에 재현된 세계는 실제 세계의 일부가 되어 그 세계를 풍요롭게 만들며, 한편 ㅎ실제 세계는 작품이 창조되는 과정의 일부로서, 그리고 그 결과 작품이 지니게 된 생명의 일부로서 청중과 독자의 창조적 인식을 통해 작품을 끊임없이 쇄신하면서 작품과 그 작품 속의 세계로 침투한다. 두말할 나위 없이 이러한 교환 과정은 크로노토프적이다. 그 과정은 무엇보다도 먼저 역사적으로 발전하는 사회적 세계 속에서 발생하며 변화하는 역사적 공간과의 접촉을 항상 유지한다.-463쪽

문학의 영역, 더 넓게 말해서 문화의 영역은 문학 작품과 그 안의 작가의 위치에 필수불가결한 맥락을 구성하는데, 이 맥락을 떠나서는 작품이나 그 작품에 반영된 작가의 의도를 이해할 수 없다. 작가와 다양한 문학현상 및 문화현상과의 관계는 대화적 성격을 띤다. 이것은 문학작품 속의 크로노토프들간의 상호관계와 유사하다.-465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에우리피데스 비극 - 희랍어 원전 번역
에우리피데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단국대학교출판부 / 1999년 1월
품절


<메데이아> 230-233
메데이아: 생명과 분별력을 가진 모든 것들 가운데 우리들 여자들이 가장 비참한 존재들이에요. 첫째 우리는 거금을 주고 남편을 사서 우리 자신의 상전으로 모셔야 해요.-22쪽

<메데이아> 294-297
메데이아: 분별있는 사람이라면 자식들을 너무 영리하게 가르쳐서는 안 돼요. 그들은 태만하다는 비난을 듣는 것말고도 시민들로부터 미움과 시기를 사게 될 테니까요.-24쪽

<메데이아> 407-409
메데이아: 우리들 여자들은 태어날 때부터 선한 일에는 서투르지만 온갖 악한 일에는 가장 영리한 장인(匠人)들이 아닌가!-29쪽

<메데이아> 569-575
이아손: 그대들 여자들은 어떤가 하면, 결혼 생활만 원만하면 모든 것을 다 갖고 있다고 생각하고, 결혼 생활에 무슨 불상사라도 생기면 가장 훌륭하고 가장 아름다운 것조차 가장 적대적인 것으로 여긴단 말이오. 사람들은 다른 방법으로 자식들을 낳고 여자 같은 것은 없어져 버렸으면! 그러면 인간들에게도 불행이란 것이 없을텐데!-35쪽

<알케스티스> 669-672
알케스티스: 노인들이 살아온 긴 세월과 노령에 대하여 불평을 늘어놓으며 죽기를 기원하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어요. 죽음이 가까이 다가오면 아무도 죽기를 원치 않고, 노령도 그들에게는 더 이상 짐이 되지 않으니까요.-175쪽

<트로이아의 여인들> 509-510
헤카베: 그대들은 행복한 자들 중에 어느 누구도 행복하다고 믿지 마시오. 그가 죽을 때까지는!-307쪽

<엘렉트라> 938-940
엘렉트라: 너 자신도 모르게 너를 속인 가장 큰 기만은 네가 돈의 힘에 의하여 스스로 위대해졌다고 우쭐대는 것이었다. 그러나 돈은 아무 것도 아니며 잠시 우리 곁에 머물 뿐이다. 확실한 것은 타고난 인품이지 돈이 아니다.-464쪽

<엘렉트라> 426-431
농부: 그런 점들을 곰곰히 생각해 보면 손님을 접대하고 병든 몸을 치료할 비용을 대는 데 있어 돈이 얼마나 큰 힘을 갖고 있는지 알게 된단 말이야. 그러나 일용할 양식을 위해서는 많은 것이 필요한 것은 아니야. 배불리 먹은 사람은 부자든 가난뱅이든 똑같은 몫을 받은 셈이니까.-4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현대소설담론연구
우한용 / 삼지원 / 1996년 5월
장바구니담기


기왕의 소설론을 일별해 볼 때, 장편소설의 경우 발생 배경으로서의 사회사, 작중인물의 계층의식이나 세계관, 소설이 그리고 있는 사회의 면모 등이 검토의 항목이 되어 왔다. 텍스트 자체에 대한 언급이라도 그것은 자체의 구조ㅓ에 시각을 집중하기보다는 텍스트가 보여주는 대상에 대한 일종의 지식이라는 데에 주목하게 된다. 우리는 그러한 예를 1910년대에서 1920년대에 걸쳐 나온 루카치, 가세트(Gasset)등의 소설론에서 볼 수 있다.
이에 앞서 소설을 부르주아 사회의 서사시라고 한 헤겔의 방법론이 있고, 헤겔과 루카치에 연결되면서 소설과 사회의 구조가 상동성을 띤다는 상동성이론에 의해 설명하고자 하는 골드만 등이 뒤를 잇는다. 이러한 이론은 소설을 기법 차원으로 설명하는 이전의 방식을 뛰어넘는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1920년대 소설론을 대비적으로 살필 필요가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1920년대 서구 소설론은 주로 기법론으로 기울어진 경향을 드러내었다. P 러보크라든지 헨리 제임스, EM포스터 등이 이에 해당한다. 이러한 이론은 미국의 신비평과 시카고학파의 소설이론을 거쳐 프랑스의 구조주의에 이르게 된다. (아래에 계속)-32-34쪽

(위에서 계속) 이러한 이론에서 문제삼는 것은 스토리의 구조, 즉 플롯, 시점, 문체, 거리와 분위기 등의 항목이다. 텍스트의 구조를 주로 문제삼게 되는데 의도의 오류나 효과의 오류 등을 벗어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이는 텍스트를 만들어낸 작가나 텍스트가 그것을 읽는 독자에게 미치는 감동 등의 주관적인 측면을 벗어나 문학연구의 객관성 혹은 과학성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이 문학연구의 객관성을 어느 정도 보장해 준다고 하더라도 소설의 장르특성을 살리지 못했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
헤겔에 이어지는 방법론이 극단적인 이데올리기적 추상성을 벗어나기 어렵다는 비판을 받게 된다면 기법론 계열의 이론은 형식적 추상성에 빠지고 만다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그러한 비판은 양자의 통합과 지양을 도모하지 않을 수 없다. 두 방법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기호론이 언어의 사회성을 바탕으로 하여 마련한 바흐찐의 소설기호론 혹은 소설담론의 이론이다. 이는 의사소통을 문제삼는다는 점에서 기호론에 기울어지고, 소설을 언어적인 이념의 실천 양상으로 본다는 점에서는 담론의 이론이 된다. -32-34쪽

인간은 남과 더불어 의사소통을 함으로써 자신의 존재를 증명하게 된다. 인간의 의사소통을 매우 세련되고 자유롭게 수행하는 하나의 양식으로 우리는 소설을 고려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소설 담론을 통한 공감의 산출, 주체의 결단, 이념의 실천 등을 도모하는 장으로 소설을 바라보아야 한다. 그것은 결국 소설이 기호론적인 실천의 양상을 띠지 않을 수 없는 이유에 해당한다.-36쪽

기호론적 소통구조는 서사텍스트의 이야기감(histoire), 이야기(recit), 서사체(texte narratif)의 세 차원에 관여하는 주체들로 구성된다. 이 주체들은 각각 작가, 서술자, 작중인물 등이 된다. 작가는 독자에게 간접적인 방식으로 서술자를 동원하여 이야기를 전달한다. 서술자는 작중인물들의 행동과 배경을 서술한다. 작중인물들 사이에도 이야기가 오간다. 서술자의 이야기를 피서술자가 듣는다. 피서술자는 숨겨진 독자의 의식을 겨냥한다. 피서술자, 숨겨진 독자의 이야기를 직접 읽고 파악하는 것은 실제 독자이다. 이러한 서사체의 기본구조는 작품마다 변이형으로 나타나게 된다.-45쪽

소설의 다층성과 이질언어적 특성 그리고 대화적 속성은 소설의 담론을 형성하는 기본 특성이다. 이들의 관계망 속에서 형성되는 문체는 담론의 이론으로 해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시각을 바탕으로 소설의 문체론에서 전망해 볼 수 있는 사항은 다음과 같은 것들이다.
첫째, 방법론적 측면에서 소설언어의 기본 속성에 대한 검토가 있어야 한다. (중략) 둘째, 장르적 관점에서 문체를 연구하는 것이다. (중략) 셋째, 국어 문체론 혹은 표현의 문체론과 소설의 문체론이 만날 수 있는 논리를 찾아내는 작업이 필요하다. (중략) 넷째, 문체론의 적용 측면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문체론을 비평에 연결짓는 방법을 통해 분석과 해석의 낙차를 좁히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중략) 끝으로 문체론이 문학교육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52-53쪽

"만무방"은 서술자의 개입으로 작중인물의 시각과 서술자의 시각이 넘나드는 가운데 현실적 언어를 동원하여 소설의 리얼리티를 살리고 있다. 그런 가운데 의미의 역전 형상을 보여줌으로써 현실을 비판하고 있는 것이다. 언어의 측면에서 본다면, 인간의 가장 바람직한 삶의 조건으로 설정할 수 있는 것은 의미의 공유와 생성이 원활한 세계일 것이다. 이는 개인과 전체 사이에 언어적 소통이 원활한 세계를 뜻한다. 그러한 세계에서라야 개인과 전체 사이의 소통작용이 원활해져 의미공유가 수월하고 그 결과 소외를 극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한 점에서 의미의 소통이 장애를 받거나 의미공유가 이루어지지 안흔ㄴ 사회나 의미가 역전되는 사회는 바람직한 사회라고 할 수 없다. 따라서 어느 사회의 언어병리를 보여주는 것 자체가 그 사회에 대한 비판이라는 논리가 성립하는 것이다.-98쪽

소설을 서사론 차원에서 볼 경우, 넓은 의미의 이야기 문학의 한 갈래일 뿐이다. 인물이 있고, 그 인물이 행동을 보여주며, 행동이 구체화되는 배경이 있게 마련이다. 또한 소설을 서술하는 방법이 문제가 된다. 시점이라든지 서술자의 유형 등이 문제되는 것은 이러한 영역에서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법을 택할 경우 형식주의적 방법으로 기울게 된다. 소설을 장르론적 관점에서 보는 경우 소설은 그것이 탄생된 사회 역사적 조건을 고려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는 시대와 이념의 문제를 고려하는 방법 즉 소설사회학적 방법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리얼리즘 소설론에서 중요한 방법론으로 활용하는 전형개념이라든지 세계관 등이 이 방법론의 중요한 검토 항목이 된다.-100쪽

액자유형의 소설은 전달되는 이야기 내용에 대한 작가의 불간섭을 원칙으로 함으로써 작품 세계의 독립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현실과 괄호치기를 함으로써 현실이 작품에 행사하는 영향을 배제하고 예술적 독립성을 추구하는 방식이다. 액자유형을 택하는 것은 소설에서 내용으로 다루고 있는 세계의 속성과 맞아떨어질 때라야 기능적일 수 있다.-104쪽

"무녀도"를 구성하는 중요한 모티프 가운데 하나가 '근친상간' 모티프인데, 이는 금기위반이라는 원형적 의미를 지닌다. 근친상간은 앞에서 논의한 절대세계, 무한대의 혼란을 수용하는 세계를 표상하는 모티프이다. 근친상간은 가족관계의 혼란과 함께 폭력과 성스러움의 역학관계 속에서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일종의 희생제의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할 수 있다. 낭이를 욕망의 대상으로 하여 모화와 욱이는 서로 경쟁자가 되는 것이다. 낭이는 모화가 섬기는 수국 용왕의 딸이란 점에서 모화가 추구하는 욕망의 대상이 된다. 집을 나갔다가 돌아와 이제는 하느님의 말씀을 전해야 하는 존재로 변해 있는 욱이는 모화와 경쟁관계에 놓이게 된다. 욱이는 낭이에게 하느님을 증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서로 용납할 수 없는 경쟁관계 속에서 지라르가 말하는 짝패(le double)가 되는 것이다. 짝패의 관계는 일종의 심리적 모방의 관계인데, "경쟁자가 대상을 욕망하기 때문에 욕망주체는 그 대상을 욕망한다."-100-111쪽

무녀에게 있어서 넋을 건지는 일은 곧 자기 세계의 핵심을 건지는 행위이다. 따라서 넋을 건지는 일에 실패한다는 것은 자신의 세계에 패배한다는 의미가 있다. 그러할 때 자신의 세계를 증명하기 위해서는 죽음말고는 달리 방법이 없다. 그런 점에서 모화의 죽음은 본질에 도달하는 길이다. 모화의 죽음이 재생의 제의라는 상징적 의미를 지닌다는 것은 이러한 맥락에서이다. 죽음이 세계의 완결로 된다는 데에 이 소설의 의미가 드러난다. -118쪽

한국 근대 소설사에서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계열성을 선명히 드러내기 시작한 것은 '구인회'의 성립으로부터이다. 민족주의 문학과 대타적인 관계에 있던 계급주의 문학이 카프의 해산으로 인해 긴장력을 상실한 시점에서 구인회는 성립된다. 표면적으로는 카프의 세력이 약화되어 있었지만, 내적으로는 그들이 탐색해 온 이론을 실천으로 보여주던 시기이다. 주류를 상실한 평단에 등장한 '구인회'의 성격은 자연스럽게 리얼리즘과 대립적인 위치에 놓이는 것이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소설은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두 계열로 분화하게 된다. 소설에서 모더니즘이 가능해짐으로써 소설의 언어적인 조건이 검토될 수 있는 가능성이 마련된 것이다. 즉 소설에서 현실의 반영보다는 자체의 언어적 조건에 대한 반성이 가능해진 것이다.-120-121쪽

담론은 일차적으로 언어행위를 띃ㅅ한다. 언어행위는 정확한 문장을 만들어 낸다든지 화자의 의도를 분명히 전달한다든지 하는 차원에 멈추지 않는다. 언어행위는 최소한 실천의 개념을 동반하기 때문이다.
인간의 언어행위에 대해서는 심리학과 철햑 영ㅇ역에서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왔다. 언어행위를 이루는 여러 요소 가운데 주체의 문제는 다양한 측면에서 검토되었다. 특히 일상언어학파의 원조가 되는 오스틴 등의 관심은 기왕의 언어학적 분석과는 또 다른 관점을 이룩할 수 있게 하였다. 오스틴은 언어행위를 다음의 셋으로 구분하고 있다. 발화행위, 발화수반행위 그리고 발화효과행위 등이 그것이다. -151-152쪽

"미의 가치는 주, 객 어느 일면에만 돌릴 수 없는 바, 한편으로는 대상의 형상과 형태에 의존함과 동시에, 다른 한편으로는 주체의 태도와 활동에도 의존한다. 이러한 두 가지의 조건이 서로에게 미적 가치의 성립을 가능케 하며 또 그것의 높고 낮음을 규정한다. ......미적 가치가 있는 것으로 체험된 대상은 주체의 의식을 초월하여 외부에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존재하는 것이다. 미적 대상은 인식 대상과 달리 즉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고, 다만 대자적으로 존재하는 것이다."
"미학사전" 논장, 1988, p291-184쪽

은유적 발상법이란, 명제의 형식에서 종차를 제거하는 것이다. 종차가 제거되면 동일률이 무너진다. 하나의 사물이 다른 사물과 경계를 잃게 된다. 그것이 넝어로 나타날 때는 A=B라는 공식으로 정리된다. 그 결과 정의항과 피정의항이 동일 차원에 놓이게 된다. 이러한 은유적 발상법은 논리가 아니라 生理 차원을 지향한다. 이것은 논리적 억압을 뚫고 나가는 힘이 되기도 하고 그 자체가 논리를 무시하는 데서 언어가 곧 사물인 세계를 표현하는 방법으로 동원되기도 한다.-224쪽

소설은 문학적인 장에 자리잡은 하나의 담론체계이다. 소설을 통해 작가의 체험과 세계관을 드러내고 그것이 수용자의 세계 구성의 자료가 된다는 점에서 소설텍스트는 그 자체가 담론의 이중적인 체계가 된다. 작가는 소설을 통해 세계를 새롭게 구성하고 수용자인 독자는 소설텍스트를 통해 세계를 재해석하는 것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수용자는 담론의 주체로서 자기교육을 수행해 나간다. 소설의 담론은 의사소통만을 가맏ㅇ하는 텍스트가 아니다. 소설 자체가 세계를 구성하는 하나의 과정이고 결과인 것이다. 이 과정에서 작가는 자신의 자연어만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당대의 담론체계를 소설 속에 변형하여 문체화한다. 그러한 점에서 소설텍스트는 이데올로기적 성격을 지닌다. 이데올로기는 "그 밑바탕에 어휘적 레퍼토리, 의미론적 대립과 약호화된 분류들 및 여러 행역자 모델과 한 사회어의 서술적 진행이 깔려 있는 일종의 이차적인 모델화의 체계'로 규정된다. (아래에 곟속)-264-265쪽

(위에서 계속) 이러한 담론을 다루는 솟헐 담론에 대한 메타담론으로서 소설 연구와 교육은 한 단계 위의 상위담론(meta-discourse)이 된다. 즉 작가의 문학적인 장과 독자의 문학적 인식의 장이 역동작용을 하는 가운데 문화적 이념을 실천하는 것이 소설교육의 진정한 모습이다. 여기에 우리는 소설의 교육이 이데올로기적인 이미지를 강하게 부각시키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소설 담론의 체계에 대한 설명이나 이해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 기간이 길든지 짧든지 간에, 수용자의 문학적인 감수성을 확대하고 의식의 변화를 촉구하며 삶에 대한 이념을 구성하도록 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264-265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zuaki 2009-03-10 17:0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 학기 수업 받으면서 여러 번 들춰봐야 하는 책인 것 같다. 특히나 개별 작품 분석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이것만 봐서는 아직도 막연하기만 하구나. 걱정이다.
 
아이스퀼로스 비극 전집 원전으로 읽는 순수고전세계
아이스퀼로스 지음, 천병희 옮김 / 도서출판 숲 / 2024년 4월
장바구니담기


코로스: 헬라스 땅을 떠나 함께 싸움터로 간 백성들의 집집마다 꿋꿋한 마음으로 슬픔을 참고 견디는 모습 역력했다네. 실로 가슴 아린 일 많았으니, 그들이 떠나보낸 이들이 누군지 알건만 집집마다 돌아오는 것은 사람 대신 단지와 유골뿐이었다네. 시신을 황금과 교환하는 아레스. 창검의 싸움터에서 저울질하는 그이 일리온으로부터 사람 대신 유골 든 단지만을 가족들에게 돌려보내니, 불에 타고 남은 재, 들기에는 가벼우나 애통의 눈물 참기에는 너무 무겁구나. 그리하여 가족들은 그들 각자를 찬양하며 말했다네. "이 사람은 전투에 능했고, 저 사람은 사람 잡는 싸움터에서 영광스럽게 전사했지. 남의 아내를 위해서." 이런 불평을 속삭이는 백성들 소송의 주역인 아트레우스의 아들 형제에게 원한에 찬 증오심을 품게 되었다네.
<아가멤논> 429-451-46쪽

코로스: 여인의 명령은 하도 그럴싸해서 잰걸음으로 퍼져나가지만, 여인이 낸 소문은 금세 시들어 자취를 감추는 법이지.
<아가멤논> 485-487-48쪽

코로스장: 내 그대의 말에 압도되었소. 하지만 유감은 없소이다. 노인들도 배울 수 있을 만큼은 항상 젊으니까.
<아가멤논> 582-583-51쪽

캇산드라: 저기 어린아이들이 꿈속의 환영과 흡사한 모습을 하고 집 바로 옆에 앉아 있는 것이 보이지 않으세요? 친족들에게 살해된 어린아이들이네요. 손에는식탁에 올랐던 자신들의 살점을 잔뜩 들었어요. 그리고 그들 아버지가 먹어치운 끔찍한 내장덩어리를 든 모습도 또렷이 보이네요. 그래서 누군가 복수할 음모를 꾸미고 있어요. 어떤 비겁한 사자가 집 안에 도사리고 앉아 침상에서 뒹굴며 돌아오는 주인에게, 내 주인에게 -내가 그분의 멍에를 져야 하니 그분은 내 주인인 셈이지요- 음모를 꾸미고 있단 말예요. 하지만 함대의 사령관이요 트로이아의 정복자인 그분은, 더러운 암캐의 혓바닥이 음흉한 아테처럼 반가운 표정을 지으며 그럴싸한 말을 길게 늘어놓자 악의 축복을 받으며 그녀가 대체 무슨 짓을 저지르려 하는지 모르고 있어요.
<아가멤논> 1217-1230-78쪽

클뤼타이메스트라: 해묵은 불화를 끝내줄 이 결전을 나는 오래전부터 계획하고 있었고 이제 드디어 성취했을 따름이오. 그를 내리친 자리에 나는 서 있소. 일을 끝내고 말이오. 그가 자신의 운명을 피하거나 막지 못하도록 나는 이렇게 해치웠고 부인하고 싶지 않소. 나는 끝없는 그물을 고기잡이 그물처럼 그의 주위에 던졌소. 재앙으로 가득찬 이 옷 말이오. 그러고는 그를 두 번 쳤소. 그러자 두 번 신음 소리를 내고는 그는 그 자리에 사지를 뻗었소. 그가 쓰러지자 세 번째 타격을 가했소. 세 번째 타격은 사자(死者)의 구원자인 지하의 제우스에게는 반가운 제물이었지요. 이렇게 쓰러지며 그는 자신의 목숨을 토해냈소. 그리고 그는 단검처럼 날카롭게 피를 내뿜으며 피이슬의 검은 소나기로 나를 쳤소. 그래서 나는 이삭이 팰 무렵 제우스의 풍성한 비의 축복을 받아 기뻐하는 곡식 못지않게 기뻤소. 일이 이러하니 여기 있는 아르고스의 원로들이여, 기뻐할 테면 기뻐하시오. 나는 이 일을 자랑스럽게 여기오.
<아가멤논> 1377-1394-84쪽

클뤼타이메스트라: 여기 제 아내를 모욕하고 일리온 앞에서 크뤼세이스들을 농락하던 사람이 누워 있소. 그리고 창으로 얻은 그의 포로며 점쟁이며 그의 충실한 첩이었던 여인도 누워 있소. 이 연인은 그의 잠자리 친구였으며 함선 위에서는 나란히 앉아 있었소. 이들은 응분의 보답을 받은 셈이오. 그는 내가 말한 그대로 죽었고, 그의 애인이었던 그녀는 백조처럼 자신의 마지막 만가를 부르고 나서 여기 누웠소. 그리하여 그녀는 나의 성대한 잔치에 맛을 더하는 양념이 된 셈이오.
<아가멤논> 1438-1447-87쪽

코로스: 아아, 이 집안에 뿌리내린 저주여. 재앙이 내리치는 피투성이 채찍의 곡조 없는 노랫소리여. 슬프도다, 참을 수 없는 불행이여. 슬프도다, 가실 줄 모르는 고통이여.
고통을 멎게 할 약은 집 안에 있어요. 바깥의 낯선 사람들이 아니라 집안 사람들만이 피의 불화를 내쫓을 수 있으니까요. 지하의 신들께 이 노래를 바치나이다. 지하에 계신 축복받은 이들이여, 두 남매의 기도를 들으시고 그들이 승리하도록 도움을 보내주소서.
<제주를 바치는 여인들> 466-478-460쪽

다레이오스: 나는 지하의 어둠 속으로 내려갈 것이오. 노인들이여, 잘 있으시오. 비록 재앙을 당했어도 그날그날 즐겁게, 그대들은 마음 편히 지내시오. 부(富)는 죽은 자들에게는 아무 쓸모가 없으니까.
<페르시아인들> 839-842-232쪽

에테오클레스: 우리에게는 그 자의 허풍 역시도 이익이 될 뿐이다. 한 인간이 교만한 허욕으로 가득 차게 되면 다름 아닌 그 자신의 혀가 고발인이 되기 때문이다.
<테바이를 공격하는 일곱 장수> 437-439-264쪽

다나오스: 모르는 무리를 꿰뚫어보자면 시간이 걸린다. 하지만 이주해온 사람은 누구에게나 나쁜 말을 듣게 되고, 모함의 대상이 되기 일쑤다.
<탄원하는 여인들> 993-995-338쪽

프로메테우스: 서로 미워할 경우 적의 손에 고통당하는 것은 치욕이 아니오.
<결박된 프로메테우스> 1041-1042-388쪽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zuaki 2009-03-06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걸로 아이스퀼로스도 끝냈다. ^^
BC472년의 "페르시아인들"부터 458년의 오레스테이아 3부작까지. 전해지는 것은 모두 8편. 소포클레스에 비하면 신들의 역할이 중요한 것이 눈에 띈다. 경건함과 조화와 화해를 지향하는 것도 개인에게 가해지는 부당한 고통이 강조되는 소포클레스와는 다르다.
8작품의 원제는 "Persai", "Hepta epi Thebas", "Hiketides", "Prometheus desmotes", "Agamemnon", "Choephoroi", "Eumenides" 이다.
 
민족주의란 무엇인가
백낙청 지음 / 창비 / 1990년 1월
절판


Hans Kohn "The Idea of Nationalism" (1944)

민족주의는 그 복합적인 성격을 형성함에 있어 인간의 가장 오래되고 원시적인 감정들을 이용하여 성장해왔다. 그것은 사회적 집단을 형성하는 중요한 요소로서 역사를 통틀어 발견되는 감정들이다. 인간에게는 자기의 출생지나 어린 시절 자라던 곳, 그 주변 지역과 기후, 구름과 골짜기와 강과 수풀의 윤곽을 사랑하는 경향을 타고난다. (중략) 인간은 자기 자신의 언어를 자기가 완전히 이해할 수 있는 유일한 언어로 특히 좋아하고 그 안에서 마음 편함을 느끼는데 이것은 쉽사리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그는 자기 고장의 관습과 음식을 낯선 지방의 그것보다도 더 좋아하는데, 낯선 음식은 그로서는 알지도 못할뿐더러 소화도 잘 안될 것같이 보이기까지 한다. 여행을 하다가도 자기 의자와 자기 식탁으로 되돌아오면 안도감이 생기고 다시 집에 돌아왔다는 기쁨에 기분이 양양해지며 외국에 머물면서 외국 사람들과 접촉하던 데서 생기는 긴장감을 벗어나게 된다.
(아래에 계속)
-18-20쪽

(위에서 계속)
그러니 인간이 제고장의 특징을 자랑스럽게 여기고 그 우월성을 쉽사리 믿어버리는 것은 별로 이상한 일이 아니다. 그러한 특징이 자기 같은 문명인들이 편하게 느낄 수 있는 유일한 것처럼 보이는 만큼 그것이 인간에게 적합한 유일한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다른 한편 낯설고 또한 낯설기 때문에 위협적인 것으로 보이는 이방인 및 이국 관습과의 접촉은 모든 낯선 것에 대한 불신감을 일으킨다. (중략)
이러한 감정은 항상 있어 왔다. 그러나 그것은 민족주의를 형성하지 않는다. 그것은 예컨대 영토, 언어, 동일한 혈통같이 우리가 민족주의에서도 발견하는 특정의 사실들과 상응하는 것이다. 그러나 민족주의에서는 그러한 감정들이 전적으로 변모되어 새롭고 다른 감정을 띠게 되고 보다 광범한 맥락 속에 넣어진다. 그것은 민족주의를 구성하는 자연스러운 요소들이지만 민족주의는 자연적인 현상도 아니고 '영원한' 혹은 '자연적인' 법칙의 산물도 아니다. 그것은 어느 역사 단계에서 지적, 사회적 요인의 성장의 산물이다.-18-20쪽

애국심의 핵심으로 간주되는 향토에 대한 이러한 사랑은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라 역사적, 지적 발전의 인위적인 산물이다. 인간이 '자연적'으로 사랑하는 향토란 자기의 고향 마을이나 계곡 혹은 도시이며, 그곳의 모든 세부 사정을 잣힌이 구체적으로 잘 알고 개인적인 추억이 풍부하며 대개의 경우 평생토록 자기의 생활을 영위해온 조그마한 지역인 것이다. 우리가 오늘날 한 민족이라 생각하는 사람들이 사는 영토의 전부는 -이것은 매우 다양한 풍경과 기후를 지닌 경우가 많거니와- 과거에는 보통 사람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교육이나 여행에 의해서만 알려질 수 있는 것이었다. 그리고 교육과 여행은 민족주의 시대 이전에는 극소수에게 한정된 것이었다. 그러한 시대에 살았던 볼떼르는 "조국이라는 것이 커지면 커질수록 그것에 대한 우리의 사랑은 점점 더 작아진다. 왜냐하면 남하고 나눠 가지는 사랑은 약해지게 마련이기 때문이다. 미처 알지도 못할 만큼 수가 많은 가족을 뜨겁게 사랑하기란 불가능한 것이다."라고 말했다.-22쪽

특정 시대에는 한 민족의 가장 본질적인 특성으로 생각되던 것들도 불과 수십년 사이에 변하는 예를 볼 수 있다. 18세기 초 영국인들은 혁명과 변화의 기질이 가장 강한 국민으로 생각되었고 반면 프랑스인들은 가장 견실하고 신경이 무딘 국민으로 보였다. 그때 볼떼르는 "프랑스 사람들은 영국을 통치하는 일은 영국을 에워싸고 있는 바다보다 더 험난하다고 생각하는데, 시실이 정말 그렇다"라고 썼다. 그러나 그로부터 백년 뒤에는 영국인과 프랑스인에 대한 견해가 정반대로 바뀌게 되었다. (중략) 독일 민족에 대한 견해에도 이와 비슷한 변화가 일어났다. 백 년 전의 그들은 대단히 사랑스럽고 비현실적인 민족으로서 형이상학과 음악과 시적인 재능이 있는 반면 근대 산업과 사업에는 적합하지 못하다고 생각되었다. (중략) 민족적 집단의 특성에 관한 관찰자들의 판단은 그때그때의 상황의 정치적 요구와 관찰자들의 정서적 태도에 따라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착색되기도 했다. (중략) 한 민족을 형성하는 데는 극도의 다양한 인간들이 개재하며, 한 민족의 수명이 존속되는 동안 극도로 다양한 영향들이 그 민족에 행사되면서 그 민족을 형성하고 변형하는 것이다.-24-26쪽

비록 민족이 생겨난다 하더라도 보다 크고 새로운 민족에 흡수되어 다시 사라질 수도 있다. 민족은 역사의 살아있는 힘의 산물이고 그렇기 때문에 항상 변동하는 것이며 결코 고정되어 있지 않다. 민족은 그 기원이 대단히 최근인 집단이고 따라서 극히 복잡한 집단이다. 그것은 정확한 정의를 내릴 수가 없다. 그것은 역사적 정치적 개념이요, nation이라든가 nationality라는 낱말은 그 의미가 무척 많은 변화를 겪었다. 단지 최근의 역사에 와서야 인간은 민족(nationality)을 자기의 정치적, 문화적 활동 생활의 중심으로 간주하기 시작했던 것이다. 그러므로 민족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그것을 절대적인 것, 선험적인 객체, 모든 정치적, 문화적 생활의 원천으로 생각하는 것은 큰 잘못이며, 이러한 잘못이야말로 현대의 온갖 극단적 사태들의 대부분을 낳은 발단인 것이다.-29-30쪽

민족의 전능성 앞에서 인류는 하나의 요원한 관념이요 고동치는 붉은 피가 결여된 창백한 이론이나 시인의 꿈처럼 느껴진다. 그리고 사실이 그렇기도 하다. 그러나 역사상의 어떤 시점에서는 프랑스민족이라거나 독일민족이라는 것도 요원한 관념 이상의 아무것도 아니었다. 역사의 온갖 힘들이 장기간의 거대한 투쟁과 격동을 통해 이들 관념에 생명을 부여한 것이다. (중략) 이제 민족주의는 정치적으로나 정서적으로나 새로운 상황을 감당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때 그것은 개인의 자유와 행복을 증진시켰다. 그런데 이제는 그것들을 침해하며, 더 이상 정당화시킬 수 없는 것으로 보이는 자신의 존재를 지속시키는 일을 개인의 자유나 행복에 앞세우고 있다.-42-43쪽

사납고 그칠 줄 모르는 종교전쟁들이 인간의 행복과 문명을 파괴할지도 모르는 위협으로 되었을 때, 1680년경에 시작하여 18세기를 휩쓴 합리주의의 물결이 종교의 비정치화를 가져왔다. 이 과정에서 종교는 그 진정한 존엄성을 잃은 것이 아니다. 그것은 위대한 정신적 힘의 하나로 남아 인간의 영혼을 위로해주고 드높여주었다. 그러나 종교는 여러 세기 동안 종교의 '자연스러운' 일부였던 강제적 측면을 잃었다. 국가 즉 정치적 권위와의 연결이 단절되었고 종교는 개인 양심의 은밀하고 자발적인 세계로 들어앉았다. 종교의 탈정치화 과정은 속도가 느렸다. 로저 윌리엄즈가 1644년에 "양심의 문제로 인한 박해의 피비린내나는 교리-진리와 평화가 만나서 벌인 토론"을 발간한 지 2세기가 지난 뒤에야, 그가 주장하던 대의가 널리 받아들여지게 되었다. 그와 비슷한 민족의 탈정치화도 가능한 일이다. 민족 역시 정치적 조직과의 연대를 잃고, 친밀하고도 감동적인 감정으로 남아있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그러한 날이 도래한다면 그때에는, 여기서 고찰하고 있는 의미에서의 민족주의의 시대는 사라진 뒤일 것이다.-45쪽

E.H.Carr "Nationalism and After" (1945) 각주인용

19세기의 크로아티아 지방의 지주는 자기의 馬를 크로아티아 나라의 일원으로 생각할지언정 자기 영지의 소작농에 대해 그렇게 여기지는 않았다고 말해지고 있다. 19세기 중엽 및 그 이후에 있어서조차도 폴란드의 신사계급과 폴란드어를 사용하는 하층 농민들은 상호간 엄청난 거리를 두고 격리되어 있었으며 그랬기 때문에 하층농민들은 대개가 자신들이 폴란드 민족의 일부분이라고는 생각하지 않고 있었다.

-49쪽

민간인들은 사실상으로 전쟁의 어느 한쪽의 당사자도 아니었다. 18세기에는 수많은 전쟁이 있었다. 그러나 불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던, 유럽 주요 각국의 교양있는 계급들 상호간에는 우호적인 상호교제가 자유롭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이러한 측면에서 본다면 이 시기는 근대 역사에 있어서 가장 '국제주의적'인 시대였다고 하겠다. 주권자들은 서로 전쟁을 벌이고 있는 와중에서도 그 민간인들은 이곳저곳을 통과해서 다닐 수 있었고 또 상호간에 자유롭게 상거래를 하고 사업을 할 수 있었다. 이같은 규범과 관습을 파생시킨 국제관계에 관한 그 당시의 관념이 오늘날 통용되고 있는 개념과 전적으로 그 성질을 달리하는 것이었음은 자명한 일이다.-51쪽

Ernest Gellner "Nationalism" (1964)

통치자가 같은 '민족'이어야 한다는 요구는 자연스러운 것이라거나 그에 거역할 때 즉각 불만과 반발을 낳는 그런 것이 아니다. (중략) 인생이란 어렵고 진지한 과업이다. 굶주림과 불안정으로부터의 보호는 쉽사리 성취되지 않는다. 그 성취를 위해서는 효과적인 통치가 중요한 요인이다. 통치자들의 모국어가 무엇인가라는 질문보다 더 어리석고 더 경박한 고려사항이 있을 수 있을까? 거의 없다. 그리고 사람들은 이런 이해하기 힘든 경박함에 돌릴 시간도 취향도 거의 없었다. 그들이 과거에 실제로 제기했던 질문은 케두리가 그의 저서 마지막에서 천거하고 있는 질문과 비슷한 것이었다. 즉 "새로운 통치자들이 덜 부패하고 탐욕스러운가, 또는 좀더 공정하고 자비로운가?"라는 물음이다.
그러나 근대 세계에 와서는 무언가 큰 변화가 일어났다. 18세기에서 19세기로 넘어올 무렵의 독일 사상가들의 저술 따위보다 훨씬 엄청난 무엇이 일어난 결과, 부패나 자비에 관한 물음은 비교적 경박하게 느껴지고 한때 경박한 것이었던 통치자의 언어나 문화에 관한 질문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느껴지게 되었다.-135쪽

(전통 사회의 친밀한 구조들의) 이러한 잠식작용은 산업사회나 심지어 그 방향으로 변해가고 있는 사회의 규모, 윧홍성 및 일반적 생태와 조직의 불가피한 결과인 것이다. 인간이 사회구조의 한 구석에 틀어박혀 있음으로써 그에 따르는 관계가 그에게 정체성을 부여해주는 그러한 경우가 아닐 때, 그는 그의 행동과 표현의 양식 전부에 걸쳐 자신의 정체성을 갖고 다니지 않으면 안된다. 다시 말해서 그의 '문화'가 곧 그의 정체로 되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을 '문화'에 의해 분류하는 것은 물론 '민족'으로 분류하는 일이다. 그렇기 때문에 오늘날에는 인간이 된다는 것을 곧 어떤 민족적 소속을 갖는다는 것과 동일시하는 일이 자연스러워 보이는 것이다.-140쪽

민족주의란 민족들이 깨어나 자기의식을 갖게 되는 과정이 아니다. 그것은 민족이 없는 곳에서 민족을 발명한다. 다만 발명을 하더라도 애초부터 무언가 남들과 다른 특징이 있어야 써먹을 수 있는데, 물론 이러한 특징은 앞서도 말했듯이 순전히 부정적인 성격일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기득권에의 참여 자격을 박탈당하는 특징일 따름이며, 장차 새로운 '민족'을 형성하게 될 그들 실격자들 간에 그 이상의 아무런 적극적 유사성이 없을 수도 있다.)-153쪽

일반적으로 효과적인 민족운동을 위해서는 인텔리겐차와 프롤레타리아트가 모두 필요하다. 민족적 독립이 달성된 이후에는 그들의 운명이 갈라진다. 지식인들에게는 독립이 즉각적이고 거대한 이익을 의미한다. 직업이, 그것도 굉장히 좋은 직업들이 생기는 것이다. '저개발' 인텔리겐차의 수적 열세가 바로 그 최대의 잇점이 된다. 외국의 인재에게 실질적으로 국경이 봉쇄되는 민족적 단위를 창조함으로써 그들은 자신을 위해 더없이 훌륭한 독점물을 만들어낸다. 반대로 프롤레타리아들에게는 독립이 단기적으로 환멸을 가져오게 마련이다. 생활의 어려움이 제거되지 않을뿐더러, 급격한 개발노력 때문에, 그리고 자기 민족의 정부는 때때로 외국 정부보다 더 무자비해도 괜찮다는 사실 때문에 심지어 더욱 살기 힘들어질 확률이 크다.-154쪽

Anthony D Smith "Theories of Nationalism" (1971)

농민층은 외국인에 대한 일종의 유아론적(唯我論的) 증오심을 견지하는데, 극동의 몇몇 나라들에서 그랬듯이 흔히 이러한 증오심은 메시아적 희망에 의해 민족주의 목표에 대한 지지로 승화되기도 한다.-187쪽

많은 민족주의자들이 어문학 연구에 골몰해온 것은 사실이다. 또한 문예부흥 운동 및 언어의 근대화 운동과 일부 민족주의 운동들 사이에 뚜렷한 상호연관이 있기도 하다.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다름 아니라 이런 언어적 활동이 이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민족감정의 신장을 반영한다는 사실이 아니겠는가. 언어의 개혁자들은 그들의 지적 작업을 통해 자신의 민족주의를 발견하는 것이 아니다. 그들이 모국어를 찬미하고 그것이 유이랗ㄴ 민중의 언어가 되도록 떠받드는 것은 언어의 찬미자들이 이미 민족주의적 성향을 띠게 된 이후의 일이요. 그들이 그러한 자기발견을 했기 때문인 것이다. 언어연구는 역사연구와 마찬가지로 흔히 부지중에 그들의 기존하는 민족주의적 확신을 -남에게뿐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도- 정당화하는 수단이 된다. 발칸반도의 나라들과 오토만제국의 사례가 입증하듯이 언어개혁은 그들의 사회를 혁신하고 그것을 -이상화된 과거의 위대한 시기처럼- 자족적이고 문화적으로 독립되게 만들려는 욕망에 가득찬 사람들이 수행하는 것이다. -218-219쪽

Tom Nairn "Break-up of Britain: Crisis and Neo-nationalism" (1977)

어떠한 종류의 민족주의이건 그것이 실제로 이들 내부적 작용 그 자체의 산물인 것은 아니다.(중략) 진정한 기원은 딴 곳에 있다. 그것은 겨레에 있거나 어떤 식의 온전함 또는 정체성을 희구하는 개인의 억압된 정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세계경제의 작동에 있다. 그러나 경제의 발전과정 그 자체에 -단순히 산업화와 도시화의 불가피한 부수물로서- 있는 것은 아니다. 그것은 그 과정의 좀더 특수한 측면들과 연관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분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이들이 18세기 이래 역사의 '불균등한 발전(uneven development)을 대표한다고 말하는 길이다. 이 불균등성은 하나의 물질적 사실이다. 아니, 이것이야말로 근대사에서 가장 엄연하게 물질적 사실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다. 이렇게 말함으로써 우리는 만족스럽고 거의 역설적인 결론에 도달할 수 있게 된다. 가장 악명높게 주관적이고 관념적인 역사적 현상이 사실은 최근 두 세기 역사의 가장 무자비하고 절망적으로 물질적인 측면의 부산물인 것이다.-228-229쪽

민족주의의 입장은 반드시 민주적인 것으ㅓㄴ 아니나 어김없이 민중주의적이기는 하다. 민중은 그것이 의지할 수 있는 유일한 자산이다. 정말로 가난한 '저개발' 지역의 원형적 상황에서는 민족주의야말로 민족주의자들에게 소용이 닿는 유일한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슷한 이유로 해서 민족주의는 극히 웅변적인 형식을 통해 -이제 싸움에 나서도록 부름을 받고 있는 하층민들에게도 충분히 수용 가능한 정서적 문화를 통해- 작용한다. 계몽사상의 합리주의와는 거리가 먼 낭만주의적 문화가 언제나 민족주의의 전파와 나란히 진행된 것은 그 때문이다. 민족주의의 새로운 중산계급 인텔리겐차는 대중을 역사 속으로 초청해야만 했고 초청장은 그들이 알아듣는 언어로 씌어져야만 했던 것이다.-234쪽

민족주의에는 두 종류가 있다는 이야기이다. 그 중 주가 되고 본질적으로 건전한 종류는 우리가 모잠비크, 인도지나 등 후진국에서 발견하고 박수를 보내느 것이며, 파생적이고 타락한 종류는 예컨대 미국의 노동자들, 프랑스의 골디즘, 칠레의 군사정권 등에서 찾아보며 규탄한다는 것이다. (중략) 그러한 구별들은 하나는 건강하고 하나는 병벅인 두 종류의 민족주의가 존재함을 뜻하지 않는다. 중요한 점은, 가장 초보적인 비교분석을 통해서도 볼 수 있듯이 모든 민족주의는 동시에 건강하면서 병적인 것이다. 진보와 퇴보는 둘다 처음부터 그 유전인자 속에 들어 있다. 이는 민족주의에 관한 구조적 사실이다. 그리고 이것은 예외가 없는 사실이다. 그런 의미에서 민족주의가 그 본성에 있어 양면적이라고 하는 말은 민족주의에 관한 수사학적 발언이 아닌 엄밀한 발언인 것이다.-242-243쪽

민족주의라는 거대한 가족을 검정 고양이와 흰 고양이들, 그리고 몇몇 잡종들로 분류할 수는 없다는 말이다. 전가족이 예외없이 얼룩이들인 것이다. 온갖 형태의 '비합리성'(편견, 감상주의, 집단적 자기중심주의, 침략성 등등)이 그들 모두를 더럽히고 있다.-244쪽

Masao Maruyama(丸山眞男) "Thought and behavior of modern Japanese politics" (1951)

어둠침침한 사회의 저변에 깔려 살아야 했던 대중서민 -"전인민의 머리속에 국가의 사상을 불언허는"일을 평생의 과제로 삼겠다고 후꾸자와 유기찌가 결심하도록 만들 정도로 '국가관념'과는 무관했던 서민대중- 은 바로 이 '의무'화된 국체교육에 의해서 국가적 충성의 정신을 최소한도록 필요한 산업, 군사기술지식과 결합한, 즉 헐스(Hulse)가 지적한 바 '마술적 실천과 과학적 실천'을 아울러 갖춘 제국신민으로까지 성장했다. 그리고 이같이 해서 능률적으로 창출된 국가의식은 잇따른 대외적 전쟁 승리와 제국주의적 영토팽창으로 날이 갈수록 강화되었다. 자아의 감정적 투사(投射)로서의 일본제국의 팽창이 그대로 자아의 확대로 착각됨으로써 열광적으로 지지를 받았다. 그것과 병행해서 시민적 자유의 협소함과 경제생활의 궁핍함에 연유한 서민대중의 실의(失意)는 수단을 가리지 않는 국가의 대외적 발전 속에서 심리적 보상을 찾았다. - (아래에 계속)-284-285쪽

(위에서 계속) 지배층은 끊임없이 대외적 위기감을 부채질함으로써 -때마침 19세기 초부터의 제국주의 시대는 지배자들의 그런 책동에 아주 안성마춤의 배경이 되어 주었다.인류역사상 드물게 보이는 교활한 국가모략에 의해서 이 구ㄱ민감정의 동원에 성공하였다. 그렇게 함으로써 지배자들은 사회적 긴장이나 분열의 낌새만 보여도 그것을 사전에 봉쇄해버렸다. 외국인의 일본연구서가 하나같이 그 첫페이지에 대서특필하기에 이른 이 '일본국민의 정신적 단결'이라는 것은 이같이 해서 만들어진 것이다.-284-285쪽

(사회 밑바닥에 환류한 구(舊)내셔널리즘 감정이) 정치적으로 동원되는 날에는 그것은 그 구조적 원리로 말미암아서 물길을 따라 흐르는 물처럼 과거의 그 반동적인 방향을 그대로 따를 것이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최근 히노마루를 국기로 게양하는 문제, 기미가요가 국가로 부활되는 것, 나아가서는 신사참배 따위와 같은 경향, 그중에서도 국민교육에 낡은 상징이 다시 고개를 치켜드는 문제들이 논란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중략) 그것을 경찰예비대의 설치나 해상보안대의 증가라든가, 일본재무장의 문제 따위의 문맥에서 생각해 보면 거기에 있는 정치적 움직임의 싹을 인정한다고 해서 기우라고 웃어넘길 수만도 없다.-291쪽

Majid Khsdduri "Political Trends in the Arab World" (1970)

제1차 세계대전이 초래한 새로운 사태는 아랍 민족주의의 진로에 큰 영향을 주었고 아랍인들의 목표를 재조정하게 만들었다. 오토만제국이 빠리 제안을 실행하지 않았을 때 몇몇 아랍인들만이 혁명적 견해를 품었을지 모르나 거의 대부분은 차이점이 해소되리라는 희망을 계속 갖고 있었다. 전쟁이 터지자 그들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부당한 처우의 개선을 미룰 용의마저 있었다. 그러나 영국이 터키에 반대하여 아랍인들의 요구를 지지함으로써 혁명적 지도자들이 각광을 받게 되었고 이들은 아랍 민족주의에 그들의 발자취를 남기면서 이를 점진적이고 평화적인 운동으로부터 혁명적이고 분리주의적인 운동으로 변형시켰다. (중략)
아랍 지역 특히 비옥한 초생달 지역이 오토만 주권으로부터 분리되어 외국의 보호 아래 놓이게 되었다. 아랍 민족주의는 그때부터 부정적인 성격을 띠기 시작했다. 외세의 영향으로 믿었던 아랍민족의 통일된 독립의 여망이 꺾이고 그들이 지배하기 쉽게 허약하고 조그만 나라를 여러 개 만들었기 때문이다. -306-308쪽

Hans Kohn "The Idea of Nationalism" (1944)

민족주의는 국민주권 사상의 발전, 즉 통치자와 피치자의 지위 및 계급과 신분제도의 철저한 수정이 없이는 상상도 할 수 없다. 우주와 사회의 양상은 그로티우스와 로크가 이해했던 것과 같은 새로운 자연과학과 자연법칙의 도움으로 세속화될 필요가 있었다. 전통적인 경제활동은 왕실이나 궁정의 문명으로부터 민중의 생활, 언어 및 예술로 눈을 돌리게 된 제3계급의 발생으로 붕괴되어야만 했다. 이 새로운 계급은 귀족이나 성직자보다 전통의 구속을 덜 받았다. 이계급은 새로운 것을 열망하는 새로운 세력을 대표했고 언제라도 과거와는 결별할 자세가 되어 있었으며 실생활에서보다도 그들의 견해에서 더욱 전통이란 것을 우습게 여겼다. 이 게급은 한 새로운 계급과 그 이해 관계뿐만 아니라 전체 민중을 대표하노라고 주장하면서 나타났다. 18세기에 제3계급이 위세를 떨치게 되었던 나라들, 예컨대 영국 프랑스 미국에서는 민족주의가 주로 정치적 경제적 변동으로 -그렇다고 거기에 결코 국한되는 일은 없이- 나타났다. (아래에 계속)-17-18쪽

(위에서 계속) 반면 제3계급이 19세기 초에도 여전히 취약한 초기 단계에 있었던 독일과 이태리 및 슬라브 제민족 사이에서는 주로 문화적인 분야에서 민족주의가 표현되었다. 이들 민족의 민족주의의 주요 관심사가 되었던 것은 애초에는 민족국가(nation-state)보다는 민족정신(Volksgeist)과 문학 민속 모국어 및 역사 등을 통한 그 민족정신의 표현이었다. 19세기가 진행되면서 제3계급의 세력이 성장하고 다수 민중이 정치적 문화적으로 각성함으로써 이 문화적 민족주의는 얼마 안가 민족국가의 형성이라는 방향으로 그 소망을 돌리게 되었다.
(아래에 계속)-17-18쪽

(위에서 계속)
민족주의의 성장은 일반 민중을 공통의 정치적 형식으로 통합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민족주의는 현실로서든 또는 하나의 이상으로서든 경계가 뚜렷하고 규모가 큰 영토를 가진 중앙집권적 정부 형태의 존재를 전제로 한다. 그러한 형태는 근대 민족주의의 선구자였던 절대군주들에 의해 창조되었다. 프랑스혁명은 왕들의 중앙집권적 경향을 계승하였는데, 그러나 그와 동시에 그 중앙조직을 새로운 정신으로 채웠고 그때까지는 알려지지 않았던 응집된 권력을 중앙 조직에 부여했다. 민족주의는 근대국가가 출현하기 이전인 16세기에서 18세기 사이엔 생각할 수 없는 일이다. 민족주의는 그러한 근대 국가의 형태를 받아들이기는 했으나, 새로운 생활감정과 새로운 종교적 정열로 그 형태에 활력을 불어넣어 변모시켰다.-17-18쪽

민족의 형성에 가장 중요한 외적 요소는 공통의 영토, 아니 그보다도 국가(state)이다. 정치적 국경선은 민족을 형성시키는 경향이 있다.-33쪽

비록 이와 같은 객관적 요인 가운데는 민족의 형성에 대단히 중요한 것도 있긴 하지만, 가장 필수적인 요소는 생생하고 적극적인 공동의지이다. 민족은 민족을 형성하려는 결정에 의해 형성된다. 프랑스 민족은 1789년의 의지의 열광적인 표명에 의해 탄생되었다. 프랑스라는 나라, 프랑스왕국의 주민은, 민족의 성립에 필요한 다른 객관적인 여건들이 그러했듯이, 1789년 이전에도 존재했다. 그러나 이 새롭게 각성된 자각과 의지만이 그러한 요소들을 적극적이고 효과적으로 만들었고 거대한 구심력의 원천으로 융합시켰으며 새로운 중요성과 의미들을 부여했다.-33쪽

"민족은 어떤 정치적 실체에 상응하는" 하나의 정신상태이다. 아니면, 적어도 상응하고자 노력하는 정신상태인 것이다. 이 정의는 민족주의와 근대적인 민족의 발생을 반영한다. 근대의 민족은 어떤 정신상태가 일정한 정치적 형태와 융합됨으로써 탄생한 것이다. 마음의 상태, 곧 민족주의의 이념이 그 형태에다 새로운 내용과 의미를 불어넣었고, 형태는 그 이념의 표현과 열망을 조직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도구를 이념에게 제공했다.-40쪽

주권에는 이중의 중요성이 있다. 한 측면은 국가와 그 시민과의 관계에 관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국가 간의 관계에 관한 것이다. 민족주의라는 감정도 이와 유사하게 이중의 얼굴을 하고 있다. 국내적으로 그것은 민족 내부의 모든 동료 성원과의 생생한 공감으로 이어진다. 국제적으로는 민족의 범위 밖에 있는 동료 인간들에 대한 무관심이나 불신, 증오로 표현된다. (중략) 인류의 한 단편에 지나지 않는 민족은 자기 자신을 전부로 세우려는 경향이 있다. -41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