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서의 우리 上 백귀야행(교고쿠도) 시리즈
쿄고쿠 나츠히코 지음, 김소연 옮김 / 손안의책 / 201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

툇마루 가장자리의 거스러미를
관음보살님께 받은 손가락으로
슬적슬적 어루만지네.
수천 부처의 거스러미가
따끔따끔 와서 박히네.
원숭이의 아이라면 산으로 가거라.
게의 아이라면 강으로 가거라.
사람의 아이라면 번뇌의 아궁이에서 불에 타 재가 되어라.
한들한들 그날도 저무는구나.
부처의 아이라면 어떻게 할까.
아버님 어머님 용서해 주세요.
오늘도 거스러미. 내일도 거스러미.-상 137-138쪽

뒷간 옆 삼백초 잎에
달팽이가 느릿느릿 기어와
지장보살님을 먹네.
서방정토의 조촐한 아침에
동그란 머리의 동자승이
땡그랑땡그랑 깨지네.
신의 아이라면 이 세상에 없다.
귀신의 아이라면 이 세상에 둘 수 없다.
사람의 아이라면 번뇌의 통에 넣어 흘려보내라.
사락사락 그날 밤도 밝는구나.
부처의 아이라면 어떻게 할까.
아버님 어머님 용서해 주세요.
오늘도 빙글빙글 내일도 빙글빙글.-상 138쪽

석가의 가르침을 오해하여
수천의 부처가 들끓었다지.
수천의 부처가 거스러미의
가시 끝에서 들끓었다지.
달팽이의 역할은
오늘도 오늘도 그 역할은
껍질을 닫고 모르는 척, 모르는 척.-상 139쪽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izuaki 2011-07-18 19:4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교코쿠도 시리즈 중에 제일 재미있게 읽었다. 물론 다른 시리즈도 다 재미있었지만, 이 <철서의 우리>는 요괴 강의보다는 종교 강의가 많은 것이 신선했다. 수수께끼의 산사에서 일어나는 승려 연속 살인 사건. 일견 에코의 <장미의 이름>을 연상시키지만 암울했던 <장미의 이름>과는 달리 이쪽은 좀 산뜻한 느낌을 준다. 속된 표현으로서의 '젠 스타일'에 가깝다고 해야 할까?

석가에서 마하가섭에게 이어진 선의 전통은 인도 승려 달마가 중국으로 옮겨 선종을 열면서 중국에 이어졌다. 이후 5조 홍인이 유력한 제자 신수를 제치고 6조 혜능을 후계자로 삼음으로서 둘로 나뉘게 된다. 신수의 북종선이 사라진 후에도 혜능의 남종선은 이어져 남악 회양을 이은 임제 의현의 임제종과 청원 행사를 이은 동산 양개, 조산 본적의 이름을 딴 조동종이 일어났다. 이 임제종과 조동종이 12세기에 일본에 전래되어 각자 발전했다는 이야기. 그 뒤 에도 시대 17세기에 임제의 스승 황벽에서 나와 중국에서 발전한 황벽종이 일본에 도입되어 현재 일본 선종은 크게 세 종단으로 되어 있는 듯하다. 물론 선종 외의 불교도 종류가 많고 그들도 나름 역사가 깊다. 이 작품에서 언급된 것은 밀교 계열에서 나온 진언종이지만, 대충 위키에게 물어보니 그 외에도 여러 종파가 있는 모양.

깨달음을 얻기 위한 치열한 싸움, 그것을 둘러싼 인간적인 갈등이 정말 드라마틱했고, 그것을 자기만의 개성으로 받아들이는 교코쿠도 팀(?) 구성원들의 반응이 재미있었다.

지나가다 2015-01-29 19:25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한들한들 그날도 너무는구나-는 오타인 것 같군요.

mizuaki 2015-01-29 19:25   좋아요 0 | URL
`저무는구나`요ㅎ. 오타 찾아주셔서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