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직 박스 - [초특가판]
제시카 랭 출연 / 미디어체인 / 2004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의 영화들을 접할 때는 각오를 해야 한다.
그의 영화가 정치적인 성향이 짙기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감상후에 오는 묵직한 느낌이
머리가 아닌 가슴에서 오랫동안 무엇가가 걸린 듯한 느낌으로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페이퍼에 밝혔듯이 엄청나게 저렴한 가격으로 다시 만나게 된 코스타 가브라스 감독의
`뮤직박스'는 역시나 다보고 나서 명치쪽에 무엇인가가 묵직하게 걸려있는 느낌을 오랜
시간 주고 있는 영화였다.

헝거리 이주민 가족의 단란하고 평화로운 가정이 헝거리 정부의 전범색출 과정에서 오래전
피해자들에게 잊혀지지 않는 상처를 준 가해자의 입장으로써 부각된 아버지와 그를 변호하
는 변호사 딸이 사건이 진행됨에 따라 외면했던 진실에 사정없이 부대끼게 되는 시리어스
그 자체인 영화였다.



법정이 무대인 영화들이 대부분 그러하듯이 재판과정에서 불거져 나오는 검사와 변호사와의
충돌로 야기대는 비열하고 추잡한 법정싸움의 모습은 집에서는 다정한 어머니이며, 사랑스런
딸의 모습이 아닌 지저분한 변호사의 모습으로 이중성을 보여주기도 한다.



정황 증거상 자신의 아버지는 시민권 박탈과 헝거리 본국 송환과 응징의 대상인 그 잔인한
학살자라는 확신이 점점 자리잡으나 확고한 자신의 아버지의 부인과 증인들의 증언을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무기력하게 만듬으로써 혹시라도 있을 의혹을 스스로 잘라버리는 느낌을
주기 시작하는 여주인공의 모습에서 환멸과 저질이라는 단어가 뭉글뭉글 솟아나기 시작했다.

그러나, 최후의 증인을 위해 헝거리로 날라간 후, 거부할 수 없는 진실과 오래전 자신의 아버지
를 협박했다 의문사를 당한 어떤 남자의 유품을 전당포에서 받은 후, 그속에 들어있는 확고한
진실 속에서 절규하는 딸의 모습에서 불과 몇분전에 느꼈던 환멸과는 반대되는 동정이라는
감정이 생기기도 하였다.

자신의 아들에게 유태인 학살은 조작의 역사일 뿐이라고 세뇌를 일삼고, 헝거리 가무단의 공연장
에 난입해 쓰레기를 투척하는 열혈반공주의자인 자신의 아버지의 가면을 벗긴 후, 인정을 하지
않고 반성조차 하지 않는 자신의 아버지를 직접 올가미를 씌우는 딸의 결심에서 의당 느껴야 할
권선징악적인 모습을 결코 느낄 수 없었다.



극 초반부 이혼한 남편이 재판을 준비하는 주인공에게 던지는 말이 의미심장하다.

`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하지만, 그보다 정의가 더 앞서야 하는 거야..'

지금 내가 밟고 있는 이땅의 현실과 너무나도 정확히게 맞아떨어지는 16년전 영화가 아니였나
싶다. 영화를 감상한지 48시간이 지났건만, 내 가슴은 아직까지도 답답하기 그지없다.

뱀꼬리 : 딸의 역활을 맡은 제시카 랭의 연기는 완벽 그 자체가 아니였나 싶다.
아버지를 살리기 위한 모습, 진실에 접근하는 모습, 외면할 수 없는 진실에 마주친 후 고뇌하는
모습...120분이 넘는 동안 끊임없이 그녀는 빛을 내뿜고 있었다.



다시 만난 영화였지만...역시 최고의 영화가 아니였나 싶다.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6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반딧불,, 2006-06-13 13: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기 초특가 만나시면 저도====3333333!!!

Mephistopheles 2006-06-13 13: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반딧불님 // 이상하게 귀하게 구한 건 재고가 없더군요..=3=3=3
별님 // 들. 켰. 다..!!!

건우와 연우 2006-06-13 15:5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피는 물보다 진하다고 하지만 그보다 정의가 더 앞서야 하는거야... 사실 내가 아닌 타인에게는 분명한 당위건만 그것이 내 핏줄의 문제로 다가올때 저는 자신이 없네요. 그부분을 어떻게 표현해냈는지 제시카랭의 연기가 보고싶네요.

Mephistopheles 2006-06-13 16:0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영화 거의 끝부분에서 제시카 랭이 모든 진실을 알고 아버지와 독대를 해요.
그런데 그 자리에서 조차도 아버지는 자신의 과거를 인정 안하더군요.
쉽게 말해 자신의 과거는 결코 부끄럽거나 악한것이 아니라는 인상을 풍깁니다.
결국 결정적인 사진자료를 상대 검사에게 보내고 다음날 아침 상황 역전되고
제시카 랭이 어린 자기 아들을 안고 슬픔에 잠깁니다.
헝거리 송환, 처벌이 아닌 아버지와의 의절로 끝낼려던 딸이 아버지의 바닥
깊숙한 곳의 추악한 모습을 봐버린 거죠...^^

sayonara 2006-06-13 19:3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근 애슐리 쥬드의 '하이 크라임'을 보니까, 이 영화가 가장 먼저 생각나더라구요.
감독과 각본가, 배우의 재능에 따라서 비슷한 소재의 작품이 어떻게 차이가 나는지 잘 생각해 본 계기였다고나... ㅋㄷ

반딧불,, 2006-06-14 02: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거 본 기억이 났어요. 끝부분 말씀하시니 무슨 내용인지 기억났어요.
스치듯 티비에서만 봤죠. 대단했어요.
그나저나 정말 강력지름질이십니다.

비로그인 2006-06-14 08: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드디어 반딧불님처럼 본 기억이 나요 아니 나는거 같아요..흑흑
제시카랭 정말 대단한 배우란 생각 하긴 아민뮐러슈탈(맞나?)도 마찬가지죠..^^

Mephistopheles 2006-06-14 11: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사요나라님 // 우와..역시..맞어요..하이 크라임의 경우 애슐리 쥬드와 모건 프리먼이라는 배우를 썼음에도 불구하고 별 감흥이 없었던 기억이 나네요..^^
반딧불님 // 저는 절대 삐끼가..아니랍니다.....씨익....
사야님 // 아버지 역을 맡은 배우 맞습니다..^^ 아민 뮐러-슈탈....^^

날개 2006-06-15 17: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영화..!
예전에 본 영화군요.. 매우매우 감명깊게~^^

Mephistopheles 2006-06-15 18: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옛날에 한번 보고 엄청 감동 받았는데....최근에 다시 봤는데 그 감동이
여전하더라구요..^^

로드무비 2006-06-17 13:2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우리나라 친일인사의 자제들이 요직을 꿰차고 앉아
자신의 아버지의 행적을 변호하고 미화하는 것과는
다르게.^^

Mephistopheles 2006-06-17 13: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렇죠..우리나라의 현실과는 너무 대조되잖아요..
특히나 대선에 출마한다는 박XX씨도 마찬가지고요...

비로그인 2006-06-22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현실과는 다른 내 안의 이데아를 꿈꾸는 영화.. 그래서 서글픕니다.

프레이야 2006-07-10 17: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다시 보고싶어지네요. 메피스토님, 바지림님 벤트에 이거 내실 것을 강력히 추천하는 바이옵니다.^^ 호호호

Mephistopheles 2006-07-10 17: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패쇄된 서재님 // 답글이 늦어서 죄송합니다.(보실려나 모르겠어요..^^)
맞아요 제가 저 위치라면 저 주인공처럼 행동할 순 없을 듯 합니다...
배혜경님 // 어쩌죠 이미 다른 웃기는 페이퍼로 내버렸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