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아주 간만에 위크샵을 빙자한 주지육림의 세계는 시작부터 꼬임이었다.
1.
일단 신촌에서 출발한다는 한 시간 배차간격의 강화도행 직행 좌석버스는 소장마마가 정류장 앞 편의점에서 아이스 아메리카노 제조하다 놓쳐버렸다. 예정대로라면 9시 버스를 타야 하는데 그걸 놓쳐버렸으니 한 시간 길바닥에서 기다릴 바 완행버스 타고 강화도 진입으로 예정이 변경되었다.
2.
완행이다 보니 정차하는 정거장도 많고 더불어 시간이 시간대라 노선에 걸쳐있는 모 대학 학생들이 우글우글 했는데 하필 내 뒷자리엔 하의 실종 패션을 뽐내시는 여대생 두 명이 타버렸다. 난 아침에 모자란 잠을 버스에서 보충하고자 했지만 그 여대생들의 한 시간이 넘어가는 수다 퍼레이드 때문에 멍하니 창밖 풍경을 볼 수밖에 없었다. 근데 웬 여대생들 수다 내용이 술 먹고 주사부린 이야기부터 시작해 존으로 시작해 나로 끝나는지....참 괴롭더라는.
3.
해변 길을 걷는 강화도 나들길은 좋았다. 첫날 7코스 절반과 7-1코스를 완주하고 여정을 풀고 다음 날(토요일) 8코스를 걸었다. 하지만 마지막 반전은 코스의 20%를 남긴 시점에서 발생한다. 실장님 전화기가 울린다. 가끔 가격대 성능비 제대로 못하는 갑 사무실 전화다. 결국 우린 남은 20% 완주를 못하고 택시타고 이동하여 버스타고 부지런히 서울로 돌아왔다. 우린 남은 일정 포기하고 다음날(일요일) 출근하여 밤 9시에 퇴근했다.
4.
갑 이니까 의당 그러려니 이해를 해주고 싶어도 어쩔 수 없는 비교가 되는 부분이다. 우린 여러 건설사나 다른 사무실과 계약을 맺고 일을 하곤 한다. 그런데 이번 갑 사무실은 그 정도가 점점 심해진다.
우리 쪽 일은 아주 큰 변수가 없는 한 일반적인 법적 사항과 기본적인 계획은 크게 변하지 않는데 그들이 보내주는 모든 기본 초안은 이런 기본적인 사항조차 전혀 반영하지 않는 모습을 종종 보여준다. 더불어 원청자와의 협의과정에선 프로젝트의 내용을 파악하지 못하다 보니 “예”만 남발하고 돌아오는 모습을 종종 목격한다. 대학원까지 졸업하고 30대 중반의 경력자들이 가장 기본이 되는 실의 조닝과 동선조차 모를까. 어떻게 실을 이용하는 관리자들이 기거하는 숙직실이라는 공간보다 창고의 크기가 4배나 크냔 말이다. 목에 힘 만주고 있지 말고 실력과 경력에 걸 맞는 지식으로 일을 진행해 나가길 바라는 건 큰 욕심일지도 모르겠다.
내 알바 아니지만 그렇게 일하다 보면 다른 사무실로 이직은 꿈도 못 꿀것이다. 한 방에 뽀록나고 바로 제명이 됐어요~.꼴 난다. 올해 입사한 대졸 신입 우리 막내가 댁들보단 많이 알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