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한그릇을 돈을 주고 사먹더라도 수저를 던지고 싶을 정도의 모욕감이 느껴지는 장소가 있는 반면 깨끗히 싹싹 비우고 나가면서 잘먹고 갑니다 라는 우렁찬 감사표현을 하는 장소도 존재한다.

전자는 내가 밥값이라고 낸 돈이 아까워 미칠 지경이며 다시는 두번째 발걸음이 만들어지지 않는 곳이 될 것이고 후자는 생각날때마다 입에 군침이 고이는 일종의 파플로의 개 꼴이 되기 쉽상이다.

돈을 주고 사먹는 밥이 아닌 어느 친한 지인의 집에 초대되어 맛없는 음식을 먹었을 때가 제일 난감하다. 분명 열심히 정성을 들여 만들었다는 짐작이 되고도 남을 벌겋게 상기된 얼굴과 이마의 몇마디 땀방울 때문이라도 차마 표정이 이그러지거나 입에서 겉도는 체류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며 식도로 전이시키는 과정 후 비교적 티안나게 "맛있네요"라는 접대성 발언까지 해야 하는 상황이니 말이다.

그와 반대로 탁월한 음식 솜씨로 인해 초대된 손님의 입장을 망각하고 주방에 달려가 레시피를 구걸 하는 파렴치를 저지를 정도의 행동을 보였던 적도 종종 있었다. 대나무향이 그윽한 이빨사이에도 끼지 않는 부드러운 갈비찜, 무슨 향신료를 넣었길래 독특한 향이 시각의 소박함을 후각의 사치스러움으로 완벽하게 완골탈퇴한 김치볶음밥, 한입 베어 물었을 때 전혀 질리지 않은 단맛이 가득 퍼지는 수제 찐빵 등등..

문제는 꼼꼼히 적은 레시피대로 만든다 손 치더라도 절대 그 맛이 나오지 않는다는 극복할 수 없는 차이점에 한계를 느끼지만서도...





색색의 고명이 얹혀진 맑은 자라스프 + 아몬틸라도





블리스 데미토프 + 1860년산 뷰브 클리콰트 샴페인





카시 엉 사코파즈 + 1845년산 클로스 드 보가트


맛볼 수 없는 그림의 떡 같은 만찬메뉴겠지만, 현실이라면 아마도 주방으로 달려가 바베트의 치마자락을 붙잡고 레시피를 알려달라고 할 엄두도 나지 않았을 듯 싶다.

바베트의 만찬 (Babette's Feast, Babettes Gaestebud, 1987)

뱀꼬리 : 이정도면 음식도 예술이다. 침 고이면서 봤던 몇 안되는 영화.


댓글(16)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바람돌이 2007-09-29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식으로 세계평화가 이룩될지도 모른다는 착각을 하면서 봤던 영화! ㅎㅎ

Mephistopheles 2007-09-29 21:38   좋아요 0 | URL
전혀 불가능하지만은 않을꺼라고 생각하고 있다죠..^^

로렌초의시종 2007-09-29 00: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작품도 역시 영화 보고 반해서 원작 소설 구한 작품 중 하나였죠.ㅎㅎ 그런데 아직도 못 읽고 있다는;;; 이 영화 한번 더 보고 나면 소설도 조만간에 읽게되려나요? 영화-소설 라인 생각하다보니 근 몇년째 다시 한번 보려고 생각한 아마데우스도 생각나네요. 느닷없이^^;;

Mephistopheles 2007-09-29 21:39   좋아요 0 | URL
이야기를 들어보면 책보다는 영화가..낫다..라고 하더군요..
저도 책은 조만간 읽어보게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아마데우스 고등학교때 단체관람으로 극장에서 봤던 기억이 납니다.^^

마늘빵 2007-09-29 01: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님 저 숙제 냈어요. 도장 찍어주세요. ㅋㅋㅋ

Mephistopheles 2007-09-29 21:39   좋아요 0 | URL
참 잘했어요 도장이 어디갔더라..??

라로 2007-09-29 01: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식도가 아니라 음식은 예술이에요,,,,제 생각,,,ㅠㅠ

Mephistopheles 2007-09-29 21:40   좋아요 0 | URL
영화 마지막에 바베트가 자신은 음식을 만드는 행위를 예술이라고 말을 합니다. 아울러 바베트의 전직이 만찬에 초대받은 장군이 언급한 파리의 최고급 레스토랑의 수석조리장과 동일인물이라는 사실도 밝혀지고요..^^

BRINY 2007-09-29 13: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카시 엉 사코파즈?? 저, 저건 작은 새 한마리 통구이??

Mephistopheles 2007-09-29 21:42   좋아요 0 | URL
메추리에다가 푸아그라와 트뤼프를 저며넣고 페스츄리 위에다 얹혀서 굽더군요 소스는 와인으로 만드는 듯 하고요..^^

nada 2007-09-30 00:2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 메츄린지 먼지는 무섭잖아요. >.<
전 뭘 먹어도 우렁차게 감사할 자신 있으니 좀 사줘 봐요. 쫌.
뭣보다 저 거품 보글거리는 샴페인이 참으로 탐나는 밤입니다.
(왜 이리 목이 타냐...허허.)

Mephistopheles 2007-10-01 00:07   좋아요 0 | URL
어 그래도 영화속에서 만찬에 초대된 장군(한번 먹어본 적이 있는)은 저 머리부분부터(분리되어 있음) 양손으로 살포시 잡고 머리뼈를 아삭 앞니로 깨서 골수를 쪽쪽 빨아먹는걸로 시작하면서 그 맛에 감탄을 하던걸요.?
그런데 뭘 사드려야 하나..?? 설마 황후의 밥 걸인의 찬...이라도..?

토트 2007-09-30 0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이 시간에 이걸 보다니요. ㅠㅠ

Mephistopheles 2007-09-30 23:15   좋아요 0 | URL
저도 영화를 야심한 시각에 보긴 했지만..워낙 그림의 떡스러운 요리들이기에 그냥..침만 삼키고 말았죠..^^

비로그인 2007-09-30 15: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자크 디네센 소설이 원작 아닌가요? ^^
소설은 얼마전에 봤는데, 영화는 어떤지 모르겠어요.
동화같은 느낌을 주는 소설이더군요.. ^^


Mephistopheles 2007-09-30 23:16   좋아요 0 | URL
안녕하세요 알리샤님..^^
예 맞습니다. 아웃 오브 아프리카로 유명한 그 작가의 원작입니다.
그런데 평을 여기저기서 들어보니 책보단 영화가 낫다고 하는 분들이 더 많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