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도 버린 사람들
나렌드라 자다브 지음, 강수정 옮김 / 김영사 / 200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세한 사람, 잘난 사람의 자양분을 분석해 보면 분명 그에게 크나큰 영감과 영향을 줬던 인물 혹은 사상, 대상이 있다. 그것이 몇 줄짜리 시일수도 있고 한 권의 책 혹은 한편의 영화일수도 있다. 아니면 심장이 펄떡펄떡 뛰며 뜨거운 피가 온몸을 도는 한명의 인간일수도 있을 것이다. 더불어 가장 가깝게 근접해 있는 가족구성원에도 존재할 가능성도 높을 것이다.



극악의 환경을 태어날 때부터 짊어진 이 책의 저자는 누가 봐도 출중한 출세의 경지에 올랐다. 인도의 4대카스트에도 들지 못하는 불가촉천민 태생으로 지금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거쳐 왔던 일반적이지 않으며 오히려 최악의 주변상황을 책 속에서 풀어주고 있다. 자신의 이야기가 2할이라면 나머지 8할은 지금의 자기를 있게 해준 존경하는 인물 "부모님"에 대한 부분을 할애하면서 자칫 오만스럽게 보일수도 있을 살아있는 사람의 자서전의 성격을 희석시켜준다.

아울러 간디와 네루로 대표되는 인도의 근대사의 또 다른 현자인 "암베드카르"라는 인물에 대해서도 설명해주고 있다. 불가촉천민의 대변자이며 아버지로 추앙받는 그가 인도의 역사에 끼친 영향과 성자라고만 알려졌던 간디와의 대립과 부정적인 시각은 그들 역사의 또 다른 시점의 존재를 일깨워 준다.



정규교육이라곤 어떠한 교육도 받을 수도 없었던 그의 아버지는 단지 남들보다 똑똑하고 사상이 깨어있는 불가촉천민 이였을지도 모른다. 어쩌면 당시의 사상운동가 암베드카르 박사의 맹목적인 추종자라고 보일 수도 있을 것이다. 자신의 출신을 부정하고 신분상승과 보다 많은 권리를 주장하는 그 당시 시대의 조류에 몸을 맡겼을지도 모른다. 이러한 표면적인 모습은 이 책의 초반부에 지루하다시피 "소누"와 "다무"라는 부모님의 실명을 통해 양자의 시점을 번갈아가면서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책의 내용을 통해 감동을 받는 부분은 뒤로 갈수록 축척되어진다.
소누와 다무가 자신들이 받은 사회적인 계몽 영향을 자식들에게 "교육"이라는 부분을 통해 싹이 피는 모습을 보여주기 시작한다. 8할의 책을 읽은 후 마치 혹독한 기후에도 굴하지 않고 농작물을 일궈낸 농부가 결국 풍족하고 만족스런 수확물을 거둬들이듯 책은 저자인 나렌드라 자다브의 시점에서 꽃을 피운다.



초등학교 시절 담임선생님의 단골 질문 중에 하나는 "존경하는 인물이 누구 인가요" 이었다
답변은 가지각색으로 나왔던 기억이 난다. 세종대왕부터 시작하여 이순신장군 에디슨까지...그때 당시는 몰랐으나 지금 생각해보면 후딱 깨는 인물인 박정희대통령각하도 나왔었다. 그 중 내 짝은 조용하게 "부모님이요"라는 조금은 소심한 답변이 나왔었다. 분명 역사책에 기록되는 위인들과는 비교하는데 많은 난점이 있는 부모님이 나왔기에 반 아이들 몇몇은 살짝 입을 가리고 킥킥대는 소리도 들렸다. 하지만 담임선생님은 꽤나 내 짝을 대견하게 바라보셨다.

세월이 흘러 그 어린 시절 내 짝이 언급한 존경하는 인물이 누군가라는 질문에 부모님이라는 답변이 얼마나 대단한 현답 이였는지 알게 된다. 자식에게 존경받는 부모와 부모를 존경하는 자식은 아직도 내가 생각하는 이상적인 가족관계이기에...

집사람은 시시때때로 이런 말을 한다. 다른 건 필요 없고 내가 존경할 수 있는 남편이 되어 준다면 자기는 만족한다고...아울러 6살배기 아들에게도 존경받는 아버지가 되는 것 또한 노력해 달라고... 제법 어려운 주문이긴 하지만 열심히 이행하고자 노력할 뿐이다.

책 속의 아버지, 어머니였던 "다무"와 "소누" 처럼...


댓글(15) 먼댓글(0) 좋아요(1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노아 2007-08-23 02: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쩐지 뭉클해지는 리뷰였어요. 제가 다 주니어가 보고 싶어지네요^^;;;

Mephistopheles 2007-08-24 02:54   좋아요 0 | URL
그것도 그것이지만 나이들고 아버지가 되었다는 아주 약간의 중압감 무시할 순 없다죠..^^

마늘빵 2007-08-23 08: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요새도 그런 질문에 박정희 대통령이 나오더라고요. '각하'는 아니지만.
누군가에게 존경받는 삶을 살기란 쉬운 일은 아닌 듯 합니다. :)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던히 노력해야겠지요.

Mephistopheles 2007-08-24 02:55   좋아요 0 | URL
전사모의 존재도 엄연한 이시대의 현실이라면 현실이겠죠..말은 쉬워도 보통 어려운게 아닐 껍니다 존경받는 삶...^^

프레이야 2007-08-23 0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존경의 대상이 되는 건, 무지 어려워요.. 전 그냥 나쁘지만 않아도 좋겠다 싶은
소심한 사람입니다.^^ 주니어 보고파하는 메피님의 마음이 다 보여요^^

Mephistopheles 2007-08-24 02:55   좋아요 0 | URL
그래도 그래도 열심히 노력하면 근처까지 가진 않을까 싶습니다.^^

nada 2007-08-23 10:3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가장 존경하는 인물이 부모님이라는 답변은 현답 중의 현답이라고 생각해요.
그렇게 말할 수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겠죠.

비로그인 2007-08-23 13:15   좋아요 0 | URL
저요 ^^/

Mephistopheles 2007-08-24 02:57   좋아요 0 | URL
저역시 저 답변이 이 나이가 들어서까지 쉽게 나오진 않아요...^^

향기로운 2007-08-23 15:1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스토펠레스님 리뷰 잘 읽었습니다. 메피스토님의 마님과 쥬니어에게 존경받는 남편, 그리고 아빠가 되실거라 믿어요^^

Mephistopheles 2007-08-24 02:57   좋아요 0 | URL
리뷰에는 저리 써놓았어도 그게 참....힘들긴 하더군요.^^

미즈행복 2007-08-23 2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성질이 그지같아서 존경은 커녕 미움이나 안 받는 엄마가 되고파요. -너무 처절하네-
근데 이 성질을 도체 죽이지를 못하니... 흑흑...

Mephistopheles 2007-08-24 02:58   좋아요 0 | URL
변함없는 미즈행복님이신 겁니다...(너무 미화했나요 ^^)

짱꿀라 2007-08-23 2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메피님의 리뷰 읽어보니 읽어보고 싶은 충동이 일어날라고 그러네요. 감사합니다.
보관함 속으로 들어갑니다.

Mephistopheles 2007-08-24 03:00   좋아요 0 | URL
책속의 아버지는 분명 교육을 못받은 불가촉천민이긴 하지만 생각만큼은 아니였나 봅니다. "노동이 곧 종교다"부터 "학위는 운전면허와 같은 것이기 때문에 계속해서 굴려주고 써줘야 한다"는 말까지..위대한 인물에게는 역시 영향을 주는 부모가 있다는 사실은 부정할 수 없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