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화요일날 출장길 버스를 타면서 2시간은 걸린다니 늘어지게 잠이나 자보자라는 생각을 했었다.
뒷자리에 자리잡으신 연세가 지긋하신 세분의 어르신들만 없었다면 말이다.

비교적 큰 목소리로 대화를 나누시는 그분들의 주요 관심사는 집.부동산...그리고 좋게 말해 투자..
나쁘게 말하면 투기였었다.

나와 같은 목적지에 똑같은 관심대상으로 가시는 듯...하지만 난 일때문에 아파트를 찾았지만 그분들
은 투자의 대상으로 아파트를 찾으시는 듯 했다.

세금문제부터 시작해서 은행대출까지... 그 연세에 어쩌면 1시간여동안 쉬지도 않고 우렁차게 투자에
대한 열변을 토하시는지...난 결국 퀸과 트레비스. 킨, 후바스탱크, 콜드플레이의 힘을 빌려 겨우겨우
버스안에서 모자란 잠을 청할 수 있었다.

2.
서산에 도착한 후 목적지로 가기 위해 택시를 탔고 그곳에 있는 W은행 앞을 지나게 되었다.
은행건물의 한쪽 벽면을 차지하고 있는 커다란 플랭카드...
초저금리로 아파트 구입을 위한 담보대출을 해주고 있다고 한다.
비록 서산뿐만이 아니라 보름에 한벌 꼴로 내 핸드폰은 은행에서 대출받으라고 귄유하는 전화가 온다.
내 신용상태가 그리도 좋았단 말인가..??

3.
사무실에 좋은 땅 있으니까 투자하라고 호객행위를 하는 제법 성가신 전화들이 자주 걸려온다.
주로 사장님~ 으로 시작하는 이런 종류의 전화는 제법 끈질기까지 하다. 자주 접하다 보니 이제
자연스럽게 상대하는 방법을 터득해버렸다.

"그렇게 좋은 땅을 왜 저에게 알려주시나요...댁이 사시면 되죠...요즘 은행대출도 잘해주고
최민식씨나 김하늘씨나 최수종씨를 만나시면 되는데 말이죠....뚝!(전화기 끊는 소리)"

 

버스에서 혹은 공공장소나 사람들이 모여서 떠드는 소리를 유심히 들어보고 있으면 집값 어쩌구....
대출 어쩌구... 투자...어쩌구..가 제법 많이들 들려온다. 이런 소리를 듣다 보면 왠지 모르게 걱정이
앞서게 된다.

미국의 어느 수완좋은 금융인이 어느순간 자신의 금융일선에서 손을 놓고 활동중지를 선언한 적이
있다고 한다. 지인들이 그렇게 잘나가면서 왜 그만두고 활동중단을 선언했는지 물어봤다고 한다.
그가 말하길 증권거래소 앞에서 구두를 닦는 어느 소년이 구두약이 묻은 손으로 주식을 사가는 모습을
보고 조만간 큰 위기가 올것이라고 예상하고 일선에서 발을 뺀 것이라 농담조로 이유를 설명했다고 한다.
반년이 채 되기도 전에 미국엔 대공항이 몰아닥쳤다

내년엔 상황이 더 악화될지도 모른다고 하던데...
짙은 안개속에 갇히게 되면 길을 헤쳐나갈 촉수가 높은 안개등을 장비하던지..
아님 그 자리에 꼼짝말고 있어야 하던지...
섣불리 움직였다간 길을 잃는 건 기본이고 끝장이 날 판국이니까..

뱀꼬리 : 펀드가 마이너스다..!!! 에이 댄장...!!


댓글(1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깍두기 2006-12-15 19: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구두닦는 소년 얘기는 참 시사적인데요.
너도 나도 부동산 부동산 하는데, 돈도 없지만 막차 타다 헛디뎌 추락할까봐
삼가고 있는 면도 있는데.
빚내서 집사면 안되겠죠?
전문가의 의견은?
(아파트를 지으시니 부동산 전문가....라고 생각하는....^^)

Mephistopheles 2006-12-15 19: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허억...부동산...전문가는 절대 아닌데요...^^
그냥 전...빚까지 내서 집을 사고 싶진 않지만..사는 사람들 이해는 가요...^^

날개 2006-12-15 19: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빚내는건 절대 안된다고 봐요.. 지금 정책이 금리를 서서히 올려나가는 거라, 빚내면 결국 이자에 치여 집을 헐값에 넘기는 사태가 올겁니다..
근데, 최수종도 대출광고 찍었어요? +.+

비로그인 2006-12-15 2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빚을 내서 집을 샀는데 몇 배로 오르는 사람들을 주위에서 많이 보면 자연스레 대출받아 집 사고 싶은 생각이 들겠지요.
제가 살고 있는 집이 6개월만에 2배가 넘었는데 그 집에 전세사는 저는 그 상황을 손놓고 지켜봐야 하고 내년 가을에는 전세대금 대기가 막막하니 저같은 사람이 어디 한 둘이겠어요?

건우와 연우 2006-12-15 20:5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지금 대한민국은 부동산공황같아요....

무스탕 2006-12-15 2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제가 살고 있는 동네가 많이 올랐다고 요즘 뉴스에 종종 나옵니다.
그런데 정작 오르면 뭐해요? 당장 팔아서 손에 쥐지 않는한 그림에 떡이구만요..
저 같이 그저 단순주거목적으로 새집(버드하우스)같은거 하나 갖고 있는사람한텐 그닥 좋은 호재는 아니에요.
돈 좀 불었다고 당장 팔아서 큰 집으로 갈수 있는것도 아니고..
서민들은 이래도 불안하고 저래도 불안합니다 -_-

2006-12-15 23:00   URL
비밀 댓글입니다.

짱꿀라 2006-12-15 23: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몇해 전 아파트에서 어머님이 살던 집으로 이사를 오게 되었는데..... 정말 집을 사기가 요즘 같으면 너무 어렵네요. 부동산 정책을 어떻게 하는지 원!!!! 서민들만 살기가 더 대근해진 것 같아서 마음이 씁쓸해집니다. 잘 읽고 갑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짱구아빠 2006-12-16 02: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울 회사 직원들도 삼삼오오 모이면 누구는 목동에 몇평짜리 아파트를 샀는데 그게 지금 8억 간다더라,나는 이번에 대출끼고 5억 주고 집샀다 등등의 이야기를 많이 듣습니다.
저 같이 고수익보다는 리스크 회피에 더 많이 신경을 쓰는 사람은 이 참에 화악 지르기보다 포트폴리오를 조정하는 방향으로 나가는데, 3~4억은 우습게 대출받는 이들도 제법 많더군요. 매월 갚아야할 금융비용도 상당한데...벤처 주식 투자바람이 불다가 한방에 꺼져버리고,최대의 호황을 누리던 카드시장도 한방에 간 경험을 몸으로 체험한 바가 있어 지금과 같은 시장 상황은 자못 걱정스럽습니다. 시장이 패닉상태에 빠지면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것은 부자들이 아니고 소위 중산층 내지 빈곤층이라는 게 이제는 너무나 분명해 졌거든요...

Kitty 2006-12-16 05:3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디 딴 세상 얘기같은;;;;
저도 여기 오래살다보니 집을 하나 살 때는 되었는데 -_-;
원체 머리 복잡한 걸 싫어하다보니
그냥 달달이 돈내는 아파트에 아주 만족하며 산다는;;;
생각해보면 매달마다 내는 돈이 아깝기는 한데 말이죠;

Mephistopheles 2006-12-17 14:1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날개님 // 예 최수종씨 마저도 케이블 대출광고 찍었습니다..^^
승연님 // 아마...그러한 현상과 괴라감은 지금 이상태라면 갈수록 심해질꺼라고 보여집니다..쩝..
건우와연우님 // 일본의 버블경제때의 모습과 너무나 비슷하기에 겁이 납니다..
무스탕님 // 땅값이 오르면 집값이 오르고 집값 오르면 전세 월세값이 덩달아 뛰고..
이래저래 서민들만 쥐여짜는 느낌밖에 안들어요...
속삭이신 M동네 소속이신 분 // 잘알겠습니다..^^ M은 문학이겠죠..??
산타님 // 얼마전 뉴스 프로그램에서 연봉 1억인 의사가 불안해서 아파트를 구입했다고 하더군요..연봉이 1억임에도 불구하고 대출금갚느라고 등골이 휜다고 하더군요..저정도의 고액연봉자가 등골이 휘니..그보다 연봉이 적은 일반 셀러리맨들은 목에다 밧줄걸고 다니는 기분일 것 같아요..
짱구아빠님 // 이게..이대로 가다간 빈익빈부익부 계속 심화될 것이고...정부는 반값 아파트라는 말도 안되는 정책에...모 대선주자는 한가구 한아파트를 공약처럼 떠들고 있는 걸 보면 답답할 뿐입니다...
키티님 // 우리나라사람들이..워낙에 집...차..그런 눈에 보이는 물질적인 것에 대한 집착이 강하다잖아요...그래서 미국 교포들도 일단 집과 차만큼은 좋고 비싼걸로 산다고 하더라구요...쩝..
저도 마이너스라고 속삭이신 분 // 혹시라도 가입한 기간이 오래되셨다면..+ 되는 순간 해지하시고 다른걸로 갈아타도록 하세요...베트남펀드나 차이나펀드 같은 걸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