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讀書記錄 170922

 

철학하는 여자

 

내가 알라딘에 페이퍼를 포스팅했는데, cyrus 님이 댓글을 남겼다.

 

* 身邊雜記 170919 신문읽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9604827

 

cyrus 님의 댓글 ; * 장교 부인, 여성이 공관병 남성에게 권력 행사를 한 것이다. 최소한 권력에서 남녀 불균형은 완화된 현상으로 파악하다. (마립간님의 주장)

저는 이 주장에 대해선 다르게 봅니다. 여성이 가부장제 안에서 동화한 상황이라고 봅니다. 가부장제에 갇혀 살면서도 자신의 권위를 향상하고, 목소리를 가지기 위해 가부장제의 관행(남편의 행동)을 모방하게 된 거죠. 이렇다 보니 가부장제는 유지되고, 이 아내는 남성화된 부인이 됩니다.

 

흥미로운 것은 가부장제 안에서 동화한 상황’, ‘남성화된 부인이라는 어구다.

 

p192 여자는 더 도덕적이고 권력을 원하지 않는다?

p192 리먼 브러더스가 리먼 시스터스의 한 부서였더라면 세계 금융위기는 없었을 것이다. 이더서나 여자들이 꼭대기 자리를 차지해야 한다. 여자들이 뭔가 더 도덕적인 성별이 아닌가?

 

이 책을 읽지 않은 분들 위해 이 문장을 설명하면 반의법 문장이다. 여자는 남자보다 더 도덕적이지 않고 권력도 원한다.

 

p193 상대의 마음을 잘 알아준다고 해서 ... 그것이 도덕의 증거는 아니다.

 

이 책의 백미라고 할 수 있는 캐롤 길리건 Carol Gilligan에 대한 언급이다. 남성 주의 도덕관에 대해 보살핌의 윤리라는 여성 중심 도덕관을 세워 심리학자 즉 과학자이지만, 페미니즘에서 자주 페미니스트로 언급되는 인물이다.

 

p195 보살핌의 윤리 care ehtics를 설파한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도덕철학자 캐롤 길리건 Carol Gilligan의 대표작 다른 목소리로 In a different voice역시 다르지 않다. 길리건은 (남성적) “정의 도덕의 추상적-보편적 원칙 대신 - 여성의 도덕의식을 이미 오래도록 지배해 온 - 타인에 대한 구체적이고 개별적인 보살핌을 윤리적 결정의 기초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따라서 보살핌의 윤리는 전통적인 페미니즘과 달리 단순히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는 데에서 그치지 않고 보살피는 주부, 엄마의 모범 기능과 전 사회적 의미를 강조한다.

 

이 책의 주장은 여성은 남성과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여성이 남성과 다르지 않음에도 여성을 도덕적으로, 또는 보살핌의 윤리로 포장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남성과의 권력 투쟁에서 밀리게 된다는 것이다. 내 의견은 ; 남녀는 인간으로 동등하고 남녀로서 차이를 갖는다.

 

이 관점은 새로운 것이 아니다. 동등에 무게를 둔 자유주의 페미니즘 (기회의 동등)과 차이에 무게를 문화주의 페미니즘 (실질적 평등)의 대립의 재현이다.

 

문제의 논점으로 들어가 보자.

cyrus 님은 장군 부인의 공관병에 대한 갑질을 가부장제의 동화 및 남성화된 여성의 표현으로 갑질 (즉 사회적 폭력)은 여성의 본성이 아니라 말한다. 반면 레베카 라인하르트 철학하는 여자에서는 이런 식으로 남성보다 여성이 선 하다는 사회적 생각이 여성의 굴레를 만든다는 것이다. 그리고 권력 투쟁에서 밀리게 만든다는 것이다.

 

궁금증] 여성은 남성만큼 비도덕적이며 폭력적인가? ;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여성의 의견을 존중하겠다.

 

또 다른 논점은 ; 이 책의 주장을 긍정할 때, 자연주의 오류에서 벗어나느냐 하는 것이다. 남성에게 폭력적인 본성이 자연적이라고 해서 윤리적이지 않다. 여성의 모성 본능이 사회적으로 형성된 것이고 남성과 같이 폭력적이라고 해서, 본성의 폭력으로 돌아가는 타당하다고 생각한다면 이 역시 자연주의 오류이지 않을까?

 

여성이 모성 본능, 보살핌의 윤리를 사회적 환경에 의해 갖게 되는 것은 비윤리적인가?

 

* 身邊雜記 170922 신문읽기

http://blog.aladin.co.kr/maripkahn/9611396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cyrus 2017-09-22 20:4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잠깐만요, 마립간님.

제 댓글의 ‘남성화된 여성‘이 ‘갑질은 여성의 본성이 아니다‘라는 의미로 표현한 것이 아닙니다. ‘남성화‘에 대한 제 설명이 미흡했군요. 제가 말한 ‘남성화‘의 ‘남성‘은 ‘가부장제 문화에 익숙한 권위주의적 남성을 의미합니다. 여성은 가부장제 문화에 억압받으면서도 남편의 권위적인 지배가 정당하다고 생각할 때가 있습니다. 그러면 자발적으로 가부장제 문화에 동화됩니다.

마립간 2017-09-23 06:17   좋아요 0 | URL
저와 cyrus 님의 대화에서 언급되는 남녀가 평균적인 또는 중위에 있는 사람들을 뜻하기 때문에, 남성의 단어가 생물학적 남성, 남성의 가치관, 구체적으로는 가부장제 문화에 익숙한 남성을 다의적으로 표현하고 상당한 상관관계가 있기 때문에 표현에 문제는 없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