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병원 괴담?
학생시절, 병원실습을 하던 때였습니다. 화상센터에서 다른 의사 선생님들을 도와 화상 환자들에게 드레싱dressing을 포함하여 환자 치료에 참가하고 있었습니다. 화제가 삶에 질Quality of life에 관한 것으로 옮겨 갔습니다.
선배 한분이 ‘마립간, 네 생각에 삶에 질을 따지는 사람이 부자인 사람이 많을까, 가난한 사람이 많을까?’라고 물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가난한 사람이 뭐 삶의 질을 따지겠어. 부자가 이것, 저것 따지겠지.’라고 생각하며... ‘부자요.’ 선배가 하시는 말씀. ‘그런데 그것이 반드시 그렇지 않아. 이 병원에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인데...’
이야기의 내용은 이렇습니다. 한 가족이 있었는데, 부모, 형제가 살았는데 형은 결혼해서 처자식이 있고 성실한 성격으로 착실하게 일하며 돈을 모아 집도 사고, 부모님을 잘 모시고 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동생은 망나니였습니다. 뭐 변변히 제대로 하는 것 없이. 그러던 중 아버지와 형에게 장사를 하겠다고 장사 밑천을 대달고 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버지와 형은 어이없어 하여 동생을 야단쳤습니다. 동생은 홧김에 몸에 휘발유를 뿌리고 불을 질러 화상을 입고 병원에 입원하였습니다. 체표면의 80%에 화상을 입어 거의 사망이 확실시 되었습니다. 아버지와 형을 포함한 가족들은 돈이 무엇이기에, 돈 때문에 동생을 죽인다 말인가. 가족들은 담당 의사에 간곡히 부탁하며 전후 사정을 이야기한 후 동생을 꼭 달려달라고 부탁했습니다. 가족들의 지성이었는지 가족의 부탁을 듣게 된 의사가 환자를 열심히 보았는지, 몇 달 후 담담의사는 가족들에게 환자가 죽음의 고비는 넘긴 것 같다고 이야기를 하게 되었습니다. 가족들은 너무 기뻐하였습니다. 그러나 그 이야기를 듣게 된 얼마 후부터는 환자의 가족들이 의사에게 동생이 퇴원 후 사람다운 삶을 살수 있냐고 계속해서 묻는 것이었습니다. 담당 의사는 그거야 치료를 해 봐야지 알 수 있다고 대답을 하면서 왜 계속해서 삶의 질에 관해서 질문을 하는지 몰랐습니다. 그러던 중 듣게 된 이야기가 동생의 치료비를 대면서 집도 팔고, 전세, 월세로 옮기면서 나머지 가족생활이 말이 아니게 망가져 버렸습니다. 동생이 살게 되었다는 이야기를 들은 후 자신들의 생활을 돌아본 것입니다.
괴담으로 제목을 잡은 이유는 위의 이야기가 정말 사실인지 확인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실제 성인이 체표의 80%화상으로 살아남기는 매우 힘듭니다. (40%이상의 화상이면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합니다.) 이야기는 여기까지만 알고 이후 환자가 어떻게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위의 이야기를 읽고 의사나 의료 관계자를 비난할 분이 계실 줄 모르겠으나,) 학생이었던 제가 느꼈던 점은 ‘현대 의료는 돈과 시간의 싸움이구나!’였습니다. 실제 위와 같은 경우(또는 고민되는 경우)가 드물지 않게 일어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