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 좌파를 위한 이론 가이드>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 리뷰가 아닌 페이퍼인 서평
지난 주 겨우 다 읽었습니다. ‘인문’과 ‘좌파’라는 단어의 조합은 ‘호기심’을 자극하기에 충분했습니다. (혹시 별 5개짜리 도서?) 하지만 읽으면서 당혹감을 느꼈습니다. 사용된 단어들이 낯설었습니다. 언급된 철학자를 인터넷 사전에서 찾아보고 메모지를 붙이면서 읽었지만 역시 책 뒷부분으로 진행하면서 앞부분에 내용을 잊어버렸습니다.
제가 수학을 자주 언급하지만 고등학교 수학정도의 실력입니다. (20년 전에 배운 것들.) 스스로 평가하자면 <화이트헤드의 수학이란 무엇인가>, <수학의 약점>을 이해하는 정도입니다. <화이트헤드의 수학이란 무엇인가>의 원제는 <An Introduction to Mathematics>입니다. 저는 고등학교 때까지의 수학 공부를 통해 이제 (진짜) 수학 공부를 할 소양을 갖추었구나 생각합니다.
저의 철학의 수준은 <철학이야기> (강영계 저), <철학 vs 철학>, <유쾌한 철학, 소소한 일상에게 말을 걸다>정도입니다. 이름만 들어 봤던 마르크스, 아감벤, 벤야민, 헤겔, 라캉 등의 이론이 서술된 책을 읽으면서 저의 무식함과 책의 어려움을 느꼈습니다.
그러나 위안은 됩니다. 총론은 서론도 될 수 있지만 결론도 될 수 있습니다. 이 책을 쉽게 완벽하게 이해하며 공감을 형성했다면 철학을 직업을 선택해도 되었을 것이라고.
처음 책을 읽을 때, 저의 기대는 아래 리스트에 새로운 용어를 추가할까 하는 기대감이 있었습니다.
* 마립간의 철학적 관점을 설명하는 핵심어들
(http://blog.aladin.co.kr/maripkahn/3459932)
그 기대감으로 이 책을 다시 분석하려 합니다.
이 책을 읽으면서 가장 곤란했던 것은 용어의 정의입니다.
‘설사’를 예로 들겠습니다.
환자가 변이 묽다고 ‘설사’를 했다고 합니다.
내과 의사가 학생 의사에게 저 환자는 설사를 했는가? 묻습니다.
언뜻 보기에 ‘설사’라는 용어를 같이 사용했지만 다른 의미입니다. 환자의 설사의 사회적으로 통용되는 통상 용어인 반면 의사가 언급한 설사는 과학적 정의(scientific definition)가 있는 용어입니다. (과학적 정의 설사 200g/일)
이 책에 번역되지 않은 용어 ‘주이상스jouissance’는 통상적 용어가 아닌 철학적 용어로 사용될 때, 조금 더 복잡한 의미를 갖습니다.
주이상스의 번역에 대하여 (http://blog.aladin.co.kr/mramor/234347)
따라서 제가 읽은 것이 제대로 읽은 것인지 의문스럽습니다. ; 추후 각론 페이로 정리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