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빵과자유를위한정치>를 읽고 리뷰를 남겨주세요.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 MB를 넘어, 김대중과 노무현을 넘어
손호철 지음 / 해피스토리 / 2010년 2월
평점 :
품절


* 어떤 이의 정치적 관점

- 알라디너의 평가가 궁금하다.

 알라딘 신간 평가단에서 <역사의 공간> 596쪽의 책이 두꺼워 읽는데, 오랜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는데, 아직 다 못 읽었습니다. 그에 비해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 376쪽의 책은 하루 만에 읽었습니다. 책의 두께보다 내용이 문제겠지요.

 저의 정치적 관점의 수준은 <후불제 민주주의>에서 써진 정도라고 평했는데, 역시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를 읽으면서 비슷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제가 호평한 <후불제 민주주의>는 알라디너의 몇 분들에게 혹평을 받았는데,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는 어떤 평을 받게 될까 궁금합니다.

 플라톤과 뉴턴을 좋아하지만 저에게는 무언인가 부족했습니다. 그것을 설명되지 않는 현상이 있기 때문입니다.

 <철학 vs 철학>
“이치理는 사물 속에 내재해 있다. 이치理를 얻고 싶다면 사물을 탐구하라” 주희

 이 글의 주제, 논점 등에 반론이 없습니다. 그런데, 제가 궁금한 것은 ‘왜 우리나라의 현실은 이 모양에서 발전이 없는 것인가?’하는 것입니다. 그에 대한 대답은 보이지 않습니다. 제가 임시로 갖고 있는 답은 ; 궁극의 목적이 존재한다면  ‘문화 유전 공진화’가 충분하지 않았고 설명합니다.

- 새로 정리된 문제들 7번, 궁극의 목적(윤리를 포함하여)은 존재하는가?  (http://blog.aladin.co.kr/maripkahn/3287045)

 이 책을 읽으면서 받은 또 하나의 느낌을 이야기하면,
 경제학자를 비판할 때 ‘이미 일어난 일에 대한 해석은 잘하는데, 미래에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모른다.’고 합니다. 어느 경제부처 고위 공무원은 자신의 일을 하면서 KTX를 역방향으로 타고 가는 것 같았다고 이야기 합니다.

 몇 이야기들은 글을 쓴 당시가 수년전이고 예전에 쓴 글들이 현재를 잘 설명한다는 느낌을 주지만 이것은 편집된 이야기입니다. 앞으로 2010년 이후를 바라볼 수 있는 이야기는 많지 않네요.

 (알라딘 신간 평가단 도서 서평입니다.)

* 밑줄 긋기
p 65
진보와 보수를 이해하는 다양한 방식 ; 4가지
p 80
“낡은 것은 죽어가고 있는데 새로운 것은 아직 태어나지 않은 상태”
p 86
개인적으로 반MB 연대에 무조건 반대하지도 않지만 이를 무조건 지지한지도 않는 입장이다. (중략) 이 둘을 모두 경계한다는 것이 나의 생각이다. ; 마립간 의견 - 그렇다면 행동적 선택은?
p 92
천관우의 연탄가스 중독론이 떠오른다. ; 슬픈 예감2 (http://blog.aladin.co.kr/maripkahn/3402849), 무인도 (http://blog.aladin.co.kr/maripkahn/908532)
p 95
“촛불시위보다 투표를 제대로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p 117
열린 우리당이 과반수 의석 ; 마립간 의견 - 그 당시 4대 악법 개혁 보다 투표제의 개혁을 시도하는 것이 어떠했을까? 이 책에서 주장하는 독일식 정당 명부 비례 대표제 같은 것.
p 107
‘노가다 정치’ ; 역사는 선형적인가? 순환적인가?
p 187
“만인의 만인에 대한 경쟁”인 신자유주의 ; 게임의 이론
p 236
불행과 고통은 역사의 진보가 가능하도록 역사가 설치해 놓은 역사의 간지 ; 신석기 혁명, 농경사회로 전환 (http://blog.aladin.co.kr/maripkahn/7281)


댓글(2)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saint236 2010-02-17 08: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책을 먼저 읽으셨군요. 전 역사의 공간을 오늘 아침에 다 읽고 서평까지 올렸습니다. 이제부터 읽기 시작하려고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마립간 2010-02-17 15:36   좋아요 0 | URL
저는 <빵과 자유를 위한 정치>를 읽고 나니 <역사의 광장>도 빨리 읽게 되더라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