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해군 - 역사인물 다시 읽기
한명기 지음 / 역사비평사 / 2000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책을 읽다가, 한명기씨의 '광해군'을 참고도서로 적은 것을 보고 이 책에 관심을 갖게 되었다.
웃긴 것은, 그 어떤 책이 정말 '어떤' 책인지 지금은 기억이 나지 않는 것...;;; 주객이 전도되어 버렸다....;;;
광해군을 떠올리면 늘 뭔가 안쓰러웠다. 그가 채 이루지 못한 것들이 아쉬웠고, 그의 이름이 매도되어버린 지난 시간이 많이 안타까웠다.
지금이야 광해군을 재조명해보는 시각이 오히려 지배적이지만, 과거야 어디 그랬는가.
생각해 보면, 내가 스물 한 살 시절 구청에서 공공근로로 아르바이트를 한 적이 있었는데, 당시 내 위의 직원이 유독 역사를 좋아라 했었다. 당시 나는 역사교육과로 전과하기 전이었는데, 그래도 나름 역사에 관심이 있었던 터여서 역사인물 중 누구를 가장 존경하느냐고 물었었다. 그렇게 물었던 까닭은, 그 무렵 어느 기사에서 어린 학생들일 수록 '세종대왕'이 많이 나오고, 대학생 정도가 되면 '조광조' 이렇게 대답한다는 내용을 보았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분의 대답은 모두 빗나갔다. "광해군"이라고 한 것이다.
광해군... 상당히 뜻밖이었다. 물론, 나중의 나 역시 조광조가 존경스럽다느니... 이런 말은 하지 않았지만, 그래도 광해군은 많이 의외였다. 지금은 잘 이해가 되지만. ^^
광해군이 얼마나 어렵게 지존의 자리에 올랐는지, 그 자리를 지켜나가는 것이 얼마나 힘에 부쳤는지, 그 무렵 조선의 현실이 얼마나 참혹했는지, 이 책은 꽤 적나라하게 묘사하고 있다. 다만 다른 책에서 보지 못했던 시각은 광해군의 성격을 몹시 '소심'하다고 표현한 것이다.
중립외교정책, 조선의 현실을 감안할 때 최선의 선택이었다던 그의 외교술, 그런 것들을 떠올리면 카리스마가 연상되어지는데, 사료를 분석한 결과 나온 저자의 판단은 '소심'하다는 것이었다.
뭐, 불멸의 이순신 등에서 나온 배우의 유약하면서 곧은 이미지하고도 또 다르지만, 아무튼 소심하다는 것은 장점보다 단점으로 많이 느껴지는 우리인지라 좀 많이 어리둥절했던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소심하지 말란 법은 또 어디 있는가, 그 역시 선입견인 것을.. ^^
그런데 책의 표지는 아주 정열적인 빨강이다. 마치 광해군이 처했던 위기만큼, 그의 소망만큼, 그의 억울함 만큼.
이덕일씨를 연상시킬 만한 이야기 솜씨는 없었지만, 그래도 일반 역사책보다는 훨씬 부드럽게 읽혔다. 이 책과 임진왜란과 한중관계를 같이 보았는데, 함께 보면 더 많이 도움이 된다.
문득 든 생각. FTA가 한참 시끄러운 요즘, 광해군 같은 균형 감각을 지닌 사람이 우리 대한민국에 필요한 것이 아닐까. 이번에도 월드컵 열기에 그냥 묻혀질까. 미순이 효순이가 그랬던 것처럼... 우... 갑자기 우울해진다...ㅡ.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