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 히로부미 안중근을 쏘다
김성민 글, 이태진.조동성 글 / IWELL(아이웰) / 2009년 10월
평점 :
절판
1909년 10월 26일
안중근,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다.
1939년 10월 16일
안중근의 아들 안준생, 박문사에서 이토 히로부미의 아들 이토 히로쿠니에게 사죄한다.
제목이 주는 섬뜩함이 있었다. 안중근이 죽인 이토히로부미가 안중근을 쏘았다? 호감이 갈 법하다.
이 책은 굉장히 짧은 역사소설이다. 폰트도 아주 커서 15분이면 다 읽을 수 있는 분량이다.
안중근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했다. 이토는 죽었고, 안중근도 사형 당했다. 그는 나라 잃은 조국에 큰 획을 그으며 영웅의 이름으로 잠들었지만 남겨진 가족의 생은 분명 서러웠을 것이다. 안중근의 어머니는 아들 못지 않게 담대하시고 큰 배포를 가지셨지만, 안중근의 아내와 어린 자식들도 그럴 수 있었을까? 큰 아들은 일곱살 어린 나이에 독이 든 과자를 먹고 죽어버렸다. 낯선 사람이 준 과자였다. 배고팠던 아이가 허겁지겁 삼켰을 과자에 발라져 있던 독. 끔찍하다. 그러니 그 어미가, 남은 아들과 어떤 삶을 살았을지는 불을 보듯 뻔하다. 이 책은 바로 그 둘째 아들 준생의 힘겨운 성장과정을 극화시켜서 독자에게 보여주었다. 심지어 임시정부가 습격을 당할 때 안중근의 유가족을 챙기지 못해서 김구 선생이 진노한 이야기도 소개되었다. 어쩌면 준생은 버림 받았다고 여겼을지도 모르겠다. 아버지는 민족의 영웅이고 조국의 영웅이지만, 그에게는 처자식을 버린 아버지일 수도 있다. 그러니 그가 모진 세월을 견디면서 아버지에게 원망의 마음을 품었을 수도 있다고 여긴다.
그러나. 그것을 이해한다고 해서 그가 이토히로부미의 아들에게 사죄하며 전국을 순회한 일을 용납할 수는 없다. 그의 행위는 아버지를 배신한 것뿐 아니라 조국과 민족을 배신한 행위였다. 한 사람이 견디기에는 가혹한 시간을 보냈다는 것을 알지만, 그래도 이건 아니었다.
장준하 선생님의 아들 장호권 씨의 인터뷰를 보면 민족의 큰 발자국을 남긴 거대한 아버지를 둔 아들의 비애가 잘 느껴졌다. 가족은 돌보지 못하고 조국과 민족만 생각했던 아버지. 그 아버지가 비명에 가시고 남겨진 가족도 테러를 당하며 험한 세월을 보냈다. 그러나 그는 아버지로서 원망이 드는 것과 별개로 인간 장준하를 존경했다. 아버지가 남긴 족적의 의미를 부정하지 않았다. 오히려 아버지의 유지를 받들며 살기 위해서 애를 쓰고 있다.
안준생도 그래야 했다. 그게 쉬운 일도 아니고, 당장 입에 풀칠하며 살기도 어려울 때에 보통의 결심과 각오로 되지 않는 일이라는 것도 분명히 인정한다. 그러나, 그럼에도 역시... 이건 아니었다. 호부 아래 견자가 나온 꼴이니... 아버지는 물론 그에게도, 또 나라 전체에도 비극적인 행보였다.
이 책은 안준생의 입장을 많이 옹호하는 느낌으로 쓰여졌다. 역사 소설이라고 이미 밝혔지만, 안준생의 입장에 지나치게 감정이입을 한 것은 아닌지, 다소 위험하다는 느낌마저도 들었다. 이게 다 친일 청산이 제대로 되지 않은 역사를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싶어 입맛이 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