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 - 진시황과 이사 - 고독한 권력 ㅣ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 1
김태권 글.그림 / 비아북 / 2010년 4월
평점 :
역사 만화에 완전 열광한다. 역사도 좋고 만화도 좋으니, 둘이 붙은 역사 만화는 더 좋은 것이다.
김태권의 한나라 이야기는 평소 접하던 역사 만화와는 스타일이 꽤 다르다. 고우영 화백의 역사극과 박시백 화백의 역사극도 모두 유머를 잃지 않는 가운데 빽빽한 이야기가 있는데 이 책은 앞의 책들보다 덜 유머러스하지만 조금 더 성긴 줄거리를 갖고 있다. 그렇다고 대충 넘어가거나 터무니없이 이야기를 널뛴다는 의미가 아니라 설명하기 힘든 여백의 미가 있다. 그래서 진시황의 이야기를 전혀 알지 못하는 사람이 맨 처음 접하는 역사책으로는 별로 추천하고 싶지 않다. 일단의 이야기들을 대강은 알고 있는 사람이 본다면 훨씬 더 즐길 수 있는 그런 책이다.
모든 장면마다 주석이 달려 있다. 내용에 관한 부연 설명이나 출처, 혹은 의심스러운 부분에 대한 이의 제기도 들어가 있고, 사용한 의복이나 장신구를 출처도 밝히고 있다. 배경에 등장하는 검은 문양들은 가능하면 당대의 자료를, 아니라면 비슷한 시기의 자료를 참고해서 그려넣었다. 황제가 되고 나서는 면류관의 줄이 제후의 7개가 아니라 12줄로 바뀐 부분도 세세하게 그려넣었다. 때로 집착에 가까울만큼 배경 그림과 옷의 무늬, 두건의 모양새 등을 설명하고 있기는 한데 자꾸 보다 보니 은근히 즐기게 된다.
그림체가 워낙 정적이다. 그래서 종이 인형을 보는 느낌이고 '입체감'은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그게 꼭 나쁘지는 않다. 특유의 스타일로 받아들여진다. 다만 인물들이 동양 사람이기 보다는 코 높고 눈 부리부리한 서양 사람으로 느껴진다. 위에 눈 부릅뜬 인물은 이사고, 그 옆에 장난끼 어린 표정의 인물은 한비다. 출세에 대한 이사의 집착은 몰입도가 더 높았는데 권력을 잡기 위해서 두 주먹 불끈 쥔 모습을 연상시키는 연출이었다.
분서갱유. 책을 태우고 유학자를 생매장한다는 무서운 말이죠.
이사와 진시황제는 '분서'라는 만행을 저질렀어요. 그러나 '갱유'도 그들의 소행일까요?
앞에서 보셨다시피 <사기> '진시황본기'에는 갱유라는 말조차 나오지 않습니다.
문맥을 읽어보면, 처형당한 사람 대부분이 방술사였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방술사들은 불로불사에 대한 황제의 고나심을 이용하여 사기에 가까운 사업들을 벌입니다.
"막대한 금액을 낭비하고도" 성과가 나오지 않았지요. 방술사 몇 명이 곤욕을 치르고
끝날 일이었는데 사태가 걷잡을 수 없이 커진 것은 그들이 황제를 비난하였기 때문입니다.
(...)
사건은 체제 비판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숙청으로 비화합니다.
'진시황본기'에는 갱제생, 즉 여러 유파의 지식인들을 파묻었다고 나옵니다.
뒤이은 부소의 발언을 보건대, 그 가운데 유가 지식인들도 몇몇 끼여 있었던 것 같긴 해요.
하지만 갱유라니, 너무 유학자들 입장에 치우친 표현 아닐까요? -191쪽
작품은 진왕 정이 친정을 시작할 무렵부터 진행된다. 여불위를 숙청하고, 한나라 출신 이사를 영입하고, 한비가 죽고, 암살 위험을 넘기고 중원을 통일하고 순행하는 일단의 이야기들을 징검다리 건너듯 전개한다.
하나의 장이 끝나면 쉬어가는 페이지처럼 등장 인물과 어떤 사건에 대한 심층분석을 담아낸다. 상반대 되는 의견을 같이 제시하면서 미스테리할 수밖에 없음을 설명하며 물음표로 끝나기도 한다.
오른쪽의 태산 각석은 당시 상형 문자 수준의 한자가 오늘날의 한자와 닮게 변화된 모습을 비교하느라 찍어봤다.
진시황은 자신의 이름을 새로운 통일제국의 공식 문자로 기록해 자신이 지배하는 세계에 공표했다. 통일 후 천하를 순수하면서 자신의 업적을 새긴 각석을 일곱 개 세웠는데 현재는 조각으로나마 두 개가 전해진다. 그중 하나가 태산 각석이다. 태산 각석의 일부인 '시황제'라고 쓰인 부분을 보자.(정확하게는 2세 황제 때 새겨졌다.) 글씨는 통일 진 제국의 공식 서체인 소전체다. 소전체가 이전의 글씨와 근본적으로 다른 점은 문자의 기호성이 드디어 원래 가리키는 사물을 떠나 독립되었다는 점이다. 그림 문자적 상형성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던 갑골문이나 금문과는 본질적으로 다르다. (...) 한자는 소전체에서 진정한 문자가 되었다. (...) 시황제는 이 문자와 함께 자신의 권위를 외부에서 빌리지 않고 통일제국의 오롯한 지배자로 세계 앞에 우뚝 섰던 것이다. -248쪽
대학때 읽었던 '위대한 폭군, 진시황'이 떠오른다. 저자가 서문에서 밝혔듯이 진시황은 이룬 업적에 비해서 '폭군'의 이미지가 너무 강한 것도 사실이다. 작품 속에서 병들어 쇠해가는 몸으로 자신이 해놓은 일과, 그럼에도 알아주지 않는 백성에 대한 원망, 고독한 절대 권력자의 심상 등이 꽤 가깝에 와 닿는다. 그의 말은 거의 사실일 것이다. 그는 해놓은 일이 참 많았고, 성실한 군주였다. 짧은 시기에 역사에 큰 획을 그어놓은 대단한 인물인 것은 분명하다. 하지만 언제나 지나치면 모자람만 못해서, 그의 모든 성과가 백성들의 가혹한 삶에 대한 면죄부가 되어주질 않는다. 그런데 또 그가 해놓은 많은 것들이 오늘날 중국의 관광 수입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을 터이니 그것도 역사의 아이러니다. 어느 나라인들 아니 그럴까. 백성을 짓누른 토목공사는 모두 후대인들의 좋은 구경거리가 되어 있으니...
동양과 서양의 비슷한 시기 사건들을 연표로 정리해 놓았고, 참고 문헌도 구어체로 쉽게정리해 놓았다. 딱딱하지 않아서 참고문헌 읽는 것도 재밌었다.
전체 이야기가 10권 분량이라고 한다. 마지막 권은 조조와 유비편. 그러니까 이 책은 그 중 첫 부분에 해당하는 내용인데 무척 재밌게 읽었다. 한나라에 접어들면 더 재밌을 것 같다.
유일한 흠이라면 오타 몇 개 정도?
36쪽 주석에 진나라과>>진나라와
146쪽 본문에 불과했하였습니다>>>불과했습니다
246쪽 밑에서 5줄. 체제을 부정했다>>>체제를 부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