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모기가 더 늘어난 이유는? [제 973 호/2009-09-23]


여름이 끝났는데도 각종 해충이 줄어들기는커녕 점점 늘어난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다. 모기와 더불어 집집마다 숨어있는 바퀴벌레나 개미들도 한층 눈에 띈다는 불평도 늘어간다. 모기는 장마가 지나면 크게 늘어나고, 개미와 바퀴벌레는 가을에 더 활발하게 활동하기 때문이다.

우리가 보는 모기는 빨간집모기와 지하집모기 두 종류인데, 지하집모기는 고인 물에 알을 낳고 온도만 유지된다면 사시사철 번식한다. 계절의 영향을 받는 것은 빨간집모기로, 하천 등에 알을 낳기 때문에 장마 때는 알이 물에 씻겨 나가 크게 숫자가 늘지 않지 않지만 장마가 끝나고 더위가 시작되면 수가 급증한다. 더구나 건물의 따뜻한 실내 환경 덕분에 도시에선 날씨가 추워진다고 쉽게 숫자가 줄지 않는다. 그렇다면 가을 모기가 더 독하다는 말은 진짜일까. 심이현 질병관리본부 연구관은 “가을모기가 더 독하다, 물리면 더 많이 가렵다는 말은 통념일 뿐 과학적 근거는 없다”며 “그러나 가을에 모기의 체감 개체수가 더 늘어나는 것은 사실”이라고 말했다.

가을은 모기뿐 아니라 여러 해충이 왕성하게 활동하는 시기다. 바퀴벌레나 개미는 한여름엔 오히려 활동이 둔화되고 봄, 가을에 활발히 움직이는데, 번식온도가 섭씨 25도 정도로 가을에 더 알맞기 때문이다. 특히 개미는 바퀴벌레보다 계절의 영향을 더 많이 받아 봄에 낳은 알이 가을에 성충이 되어 활발하게 돌아다닌다. 겨울나기를 위한 먹이를 찾는 것이므로 당연히 집에서도 많이 발견된다. 인공건물에 사는 해충은 정도의 차이가 있을 뿐 사계절 내내 번식하는 편이고 번식력도 엄청나다. 바퀴벌레는 암컷 한 마리가 1년에 10만 마리까지 늘어나며, 개미도 여왕개미 1마리만 있으면 8만 마리까지 늘어난다.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머큐리 2009-09-28 14: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제 모기와 사투(?)를...졸린 1인입니다. 모기랑 4대 1로 싸웠더니 힘드네요..ㅎㅎ

마노아 2009-09-29 00:07   좋아요 0 | URL
오, 그래서 끝내 이기셨나요? 오늘도 분투를!!

카스피 2009-09-28 21: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을 모기 정말 끈덕집니다.어제도 4마리 잡았지만 어디서 계속 나오는지 정말 미치겠네요 ㅠ.ㅠ

마노아 2009-09-29 00:07   좋아요 0 | URL
카스피님까지 4대 1이었군요! 독한 넘들입니다.ㅜ.ㅜ

같은하늘 2009-09-29 00: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우리 큰아이도 그저께 밤에 세군대나 물렸어요. ㅜㅜ
여름에도 못 보던 모기를~~~ 현관도 안열고 얼마나 조심하는데...

마노아 2009-09-29 14:28   좋아요 0 | URL
여름 지나가서 방심한 틈을 타 맹공격을 하나 봐요.ㅜ.ㅜ

후애(厚愛) 2009-09-29 18:4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늘 아침에 모기 한마리 때려 잡았아요. ㅎㅎㅎ
피가 나오는 걸 본 옆지기가 자기 피라고 말하는 말에 웃었어요.^^ㅋㅋㅋ

마노아 2009-09-29 21:24   좋아요 0 | URL
국산 모기도 반가울까요? 모기는 어디 출신이든 불청객이에요.^^;;;

꿈꾸는섬 2009-09-30 01: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전 모기 너무 무서워요.ㅠ.ㅠ

마노아 2009-09-30 09:46   좋아요 0 | URL
영화 내사랑내곁에를 보면 모기 한 마리가 사람을 얼마나 비참하게 만드는 지가 절절하게 묘사되었어요. 크흑...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