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화차
미야베 미유키 지음, 박영난 옮김 / 시아출판사 / 2006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때로 명성이 너무 자자한 작가의 책을 만나게 되면 기대가 너무 커서 작품의 참맛을 다 느끼기도 전에 질릴 때가 있다. 그렇지만 명성이 있는 작가의 작품을 만나게 되면 그 명성이 절로 얻어진 것이 아니라는 것을 저절로 깨달을 때도 있다. 미미 여사가 내게 그랬다.
추리 소설, 미스테리 스릴러, 서스펜스 등등. 이런 종류의 책과 영화를 멀리한다. 워낙에 겁이 많아서 뒷감당이 힘들고, 진짜 재밌는 추리물을 만나면 거기에 빠져서 헤어나지 못할까봐 제어장치가 필요했다. 그랬던 나에게도 미미 여사는 피해갈 수 없는 관문이었나 보다. 실은 작년 말 비연님 생일 이벤트 당첨 선물이었는데 내내 미루다가 오늘에서야 빼들었다.
엄마의 병원 진료일이었고 여차하면 장의 용종 제거 수술에 들어가야 할 판이었으므로, 하루종일 병원에 있을 각오로 두꺼운 책을 골라갔던 것이다. 정말 다행으로, 엄마의 건강이 생각보다 나쁘지 않아 수술은 피해갔고, 병원에서 읽어온 분량은 책의 1/3 정도였다. 그리고 나서 볼쇼이 아이스 쇼에 엄마와 함께 다녀오는 길인데, 어무이 심심한 것은 제쳐두고 이 책 읽느라 내내 정신이 없었다. 그렇게 하루 종일 붙들고 있어서 461페이지의 책을 결국 당일치기로 다 읽었다. 다 읽은 감상은? 아, 섬뜩하다! 내가 괴물을 만났구나... 이 정도면 설명이 될까?
작품의 배경이 90년대 초반이다. 십수 년이 지난 일본 사회를 배경으로 하고 있지만, 사회의 진행 흐름을 보건대 오늘날 대한민국의 상황과 바로 대입해도 별로 문제가 되지 않을 설정이다.
한 여자가 실종되었다. 처조카로부터 그 여자의 행방을 찾아달라는 부탁을 받은 휴직 중인 경찰관. 여자의 흔적을 뒤따라가다 보니, 무섭고 끔찍한 사건의 끄트머리를 밟게 된다. 이 여자, 처조카가 알고 있는 그 여자가 아니다. 다른 사람의 인생을 훔쳐서 살고 있던 여자, 그녀는 대체 누구인가?
사건의 발달은 '빚'이었다. 베일 속에 감춰진 등장인물들의 인생을 그렇게 비참하게 바꿔버린 것은 부채였다. 그것이 주택담보 대출금이든, 소소한 쇼핑의 결과물이든, 어쨌든 빚이란 것은 제 속성을 감추지 않고 눈덩이처럼 불어났으며 마침내 사람을, 인생을, 윤리를, 그리고 행복을 모조리 삼켜버렸다.
여기에는 단지 채무자의 나태함과 게으름, 무분별한 경제 행위에만 책임이 있는 것이 아니었다. 그들을 그런 자리로 몰아가게 만든 사회 구조. 즉, 빚 권하는 사회의 음모가 뒷받침 되어 있는 것이다. 생각 없이 제2 금융권 광고를 하는 스타들이 괜히 욕을 먹는 것이 아니다. 자신들 손에 쥐어지는 그 돈을 위해 다른 사람의 인생을 파멸로 몰아가는 몰이꾼 역할을 해버린 것이니까.
대한민국은 사채시장의 천국이다. 지난 해 몹시 인기를 끌었던 '쩐의 전쟁'을 기억할 것이다. 첫 회에서 금나라는 사채 잘못 써서 아버지 자살하고 어머니 홧병 나 돌아가시고 동생 결혼 망치고를 몽땅 당했다. 제2 금융권의 법정 금리가 69%다. 상상이 가는가? 100만원 빌려서 일년 이자가 69만원이다. 그걸 일년 내에 상환하지 못한다면? 법정으로 69%지만 그것은 얼마든지 200%, 그리고 1000%까지 올라갈 수 있다. '합법적으로' 말이다. 그러니 완전 음성인 '사채'는 오죽할까?
김대중 정권 시절, 정말 무분별하게 신용카드 발급을 허용해 주었다. 길거리 가다가도 핫도그 하나 사먹는 것처럼 가볍게 신용카드를 만들 수 있었던 시절이었다. 그렇게 해서 늘어난 카드로 무엇을 해주길 바랬던가? '소비'를 원했다. 당장 눈앞에서 경제가 살아나는 것처럼 보였을 것이다. 그 다음은? 빚에 찌들린 사람들이 사회의 악으로, 쓰레기로 전락하는 과정을 보아야 했다. 누군가는 악착같이 갚으면서 독기만 남았을 것이고, 누군가는 파산 신청을 하며 드러누웠을 것이고, 누군가는 그 빚을 감당하지 못해 야반도주를 하던가 일가족이 동반 자살을 하였다. 그 후로 십년이다. 올바른 소비 패턴을 지킬 수 있다면 무엇보다도 편한 것이 신용카드이지만, 그 신용카드로 패가 망신한 사람을 얼마나 많이 볼 수 있었던가.
휴직 중인 경찰관 혼마가 사건을 캐면서 밟아가는 두 여자의 삶은, 한꺼풀 한꺼풀 벗겨질수록 끔찍함에 혀를 내둘러야 했다. 그 살벌한 긴장감과 그 지독한 외로움의 균형이라니!
신조 교코는 남의 인생을 훔쳐서라도 새 사람으로 살고 싶었지만, 그녀의 과거가 그녀를 놓아주지 않았다. 급기야는 그녀 자신의 인생도 도난 당하도록 만드는 비극의 악순환.
작가가 얼마나 능숙하고도 매력적으로 작품을 완결했는지, 마지막 장면의 그 씬은 영화로 따진다면 '최고의 엔딩' 그랑프리감이었다. 이 작품이 워낙 인기가 좋았으니 혹 영화로도 제작된 것은 아닐까 궁금해지는데 아직 찾아보진 않았다. 만약 만들어졌다면 최고의 공포 서스펜스 심리 추리물이 되지 않았을까? 사람들이 미미 여사의 신간이 나오면 그토록 열광하는 이유를 정말 제대로 뒷북치며 공감할 수 있게 되었다.
사실, 읽으면서 나는 많이 슬펐다. 작품 속 그녀들의 파란만장한 삶이 가여워서만은 아니었다. 내가 가여웠던 사람은 다른 사람이었다. 내가 아는 그녀도 이 작품 속 여자들과 비슷한 길을 걸었다. 단지 '행복'해지고 싶어서 소비했던 것들이 그녀에게 되돌려준 것은 칼이었고, 독이었고, 덫이었다. 그리하여서 그녀가 갖게 된 것은 몰상식, 비윤리, 민폐의 연속...
우리 사회가, 우리의 교육이, 오렌지를 어륀지~라 발음하라 가르칠 것이 아니라, 사회 생활을 하면서 기본으로 지켜야 할 최소한의 경제 관념과 윤리의식에 더 힘쓴다면, 적어도 이 사회의 경제가, 또 미래가 조금은 더 밝아지지 않을까? 우리가 당연히 알고 있을 거라고 여기는 많은 것들은 당연히 모를 때가 있다. 현명한 소비? 그거 어려운 거다. 공부, 필요하다. 이 책은 그 공부의 필연성을 제대로 가르쳐주고 있는데, 더 많은 사람들이 읽고 가슴을 쓸어내리고 공포를 느꼈으면 좋겠다. 저 지옥불을 향해 불수레(火車)를 끌고 들어가고 싶지 않다면...
책 뒷면에 내가 아는 알라디너들의 이름이 잔뜩 포진되어 있다. 반갑다, 미미여사 군단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