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달콤한 나의 도시
정이현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06년 7월
평점 :
리뷰를 쓰려고 책 제목을 클릭했다가 화들짝 놀랐다. 이미 주렁주렁 달려 있는 리뷰의 숫자가 이 책이 얼마나 베스트셀러였는지를 웅변해주기 때문이었다. 하긴, 그러니까 드라마화도 가능했을 테지. 뜬금 없이 살짝 질투가 나려고 한다. 작가분 한 미모도 하더니만...ㅜ.ㅜ
서른한 살의 직장인 오은수. 옛 남자친구의 결혼식날, 함께 노처녀 소리 듣던 친한 친구의 결혼 통보 소식을 듣는다. 이래저래 스트레스가 쌓이던 그날을 장렬히 보내기 위해서 찾아간 술자리에서, 처음 본 남자와 하룻밤을 보낸다. 게다가 그 남자, 일곱 살 연하였다. 회사의 상관으로부터는 소개팅을 가장한 맞선을 주선 받았고, 특색 없는 데이트로 겨우 구색을 맞춰둔다.
비뇨기과 의사 신랑과 결혼 준비를 하면서 삐걱거리는 친구 재인이, 자기애가 너무 강해서 100일을 채우지 못하고 번번히 남자를 갈아치우지만 또 남자 없이 지내는 날도 없는 친구 유희. 그리고 유희의 사촌이자 물려받은 유산으로 놀탱놀탱 지내지만 마음만은 은수랑 너무 잘 맞는 저스트 프랜드 유준. 서른을 막 넘긴 청춘 남녀들의 자잘한 군상들의 대표 이미지로 발탁된 등장 인물들이다.
회사에서는 적당히 유능하게, 적당히 비겁하게, 그렇게 자기 위치를 지키면서 버티고, 출근 시간만은 하늘이 두쪽 나도 지키려고 하는 평범한 직장인 오은수. 부모님은 분당의 40평 아파트에 살고 계시고 아버지는 퇴직 2년 차. 오빠는 분가해서 아이 하나를 두고 있다. 적당히 대한민국 중산층의 표본인 가정. (사실은 제법 잘 사는 표본?)
독립해서 원룸에서 살기 시작한 지 6개월 차. 은수는 7살 연하남 태오와 동거를 시작한다. 영화 감독의 꿈을 한껏 품고 있고 자상하고 따뜻하고 또 열렬히 사랑하지만 현재로서는 백수인 남자 친구. 달콤한 현재가 안정적인 미래를 제공해주지 않기 때문에 둘 사이에서 반드시 삐져나올 수밖에 없는 불협화음.
해는 바뀌어 은수는 서른 둘이 된다. 친구는 끝내 합의이혼을 했다. 회사에선 치욕을 겪어야 했고 기어이 사표를 던진다. 그리고, 지극히 평범했지만 안정적인 그 남자 김영수를 다시 만난다. 은수의 행보는 어느 정도 짐작이 가는 동선을 따라가지만 그것이 당연하다고 말할 수도 없지만 냉소를 던질 수도 없는 그런 공감을 보태게 된다. 그녀는 적당히 이기적이고 적당히 계산적이고 딱 그 나이 또래 사람들이 가질 수 있는 평범한 인식 속에서 사는 여자일 뿐이다.
나름대로 열심히 한 우물 파며 살아왔지만 막상 떨치고 나와 보니 자신의 브랜드 가치라는 게 그렇게 대수롭지가 못했다. 엄마에게는 자신의 '유준'과 같은 오랜 남자친구가 있었는데 그 정황을 있는 그대로 이겨내지를 못하고, 오래도록 아버지로부터 막대해짐을 감당해야 했던 어머니는 급기야 가출을 감행하신다. 그렇게 자신을 휘몰아치는 사건사건사건들 속에서 은수는 위태롭게 균형 추를 세워둔다.
결혼을 못해서 안달난 은수도 아니었지만, 결혼을 못할 거라고도 생각해보지 못했던 그녀였다. 그리고 결혼을 한다면 바로 지금 이때, 비교적 준수한 조건의 그 남자가 나타났을 때 해야한다는 그녀의 선택도 틀려보이지 않았다. 마음을 채워준 뜨거운 사랑이 갖춘 현실의 남루함을 극복하라는 말은 감히 할 수가 없는 것이다.
은수의 결혼 준비, 그리고 그 과정에서 알게 되는 김영수의 과거, 그리고 반전.
작품은 초반 100페이지까지는 큰 감흥없이 읽어내려갔는데 중반을 넘어가면서부터는 미친 듯이 다음 내용이 궁금해지게 만들었다. 400페이지가 넘는 장편인데도 작품은 금세 읽힌다. 그만큼 재밌지만 제목처럼 결코 달콤하지는 않다. 마지막 씬에서 그녀가 맛본 빗방울의 맛처럼 무미건조한, 바로 그 서울의 맛을 아는 까닭일 것이다.
주인공 오은수에게 들이닥친 여러 시련들이 내 기준에서 그리 큰 시험으로 느껴지지 않는다는 게 나의 비극이지만, 비슷한 또래의 그녀가 안고 가는 고민들은 고스란히 내게도 공감을 일으킨다. 그렇게 온전히 외로울 수밖에 없는 존재의 확인까지.
두고두고 끌어안을 감동이라던가, 내 맘이 그 맘이야!하고 무릎을 탁 칠 정도의 이해는 아니더라도 잔잔한 감동과 안쓰러움이 찰랑거린다. 저 역설적인 제목과 소녀지심을 뒤흔들 예쁜 일러스트가 묘하게 어울린다. 작가 정이현을 처음 만난 오늘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