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look very happy.

이주 전쯤 원어민 선생님이 내 굿모닝에 대한 인사로 해준 말이다.  그냥 아침 인사 하면서 살짝 웃었을 뿐인데, 그에게는 내가 참 행복해 보였나 보다.  사실, 그 전날 3주 동안 말 않던 언니랑 결국 내가 먼저 얘기 시작하면서 마음의 짐을 약간 덜어내긴 했었지만.

그때 내가 덜어낸 것은, 사실 말을 하지 않는 '답답함' 하나 뿐이었다.  달라진 것은 아무 것도 없었고 나아진 것도 없었다.
내가 지고 가는 문제들은 여전히 산재해 있었는데, 달라질 것 없으므로 말을 않는다는 게 무의미 해서 다시 말을 했을 뿐이다.

그리고 아마, 오늘부터 다시 말을 못하게 될 것 같다.  언제나 먼저 말문을 닫는 것은 언니이지만, 그로 인한 후폭풍을 담당하는 것이 내 몫이라는 변함없는 사실을 동반하며.

내가 수업 들어가는 2학년 세 반 중, 유독 나랑 잘 맞는 한 반이 있다.  '공부는 못해도 좋으니 건강히, 밝게 자라다오'란 담임샘의 철학을 너무도 잘 따르는 그 반 아이들.  잘 따르니 얘기도 더 많이 해주었는데, 아이들 눈에 내가 참 행복해 보였나 보다.

그 아이들이 나를 부르는 호칭은 대략 이렇다.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사회 선생님!"

왜 그런 얘기가 나오냐 하면은, 색분필 하나만 가지고도 내가 너무 좋아라 해서, 전날 읽은 소설책과 동화책의 내용이 너무 감동적이어서, 그 주에 볼 영화 한편이 너무 기대되어서... 등등의 소소한 것들.  그런 작은 것들을 말할 때 내 표정이 정말 행복해 보여서...

원래 행복이란 거창한 게 아니라고, 그런 소소한 것들에 기쁨 느끼면서 감사할 줄 알면, 그게 바로 행복인 거라고.

그게 내 평소 생각이었으니까 아이들의 호칭은 바른 표현이다.

그렇지만 사실 내 마음밭을 들여다 보면 황량하기 이를 데가 없다.  온통 가시밭길이고 시각적으로 표현하면 현재 피 철철 흘리는 중이랄까.

함께 있어 소중한 가족인데, 가족이기에 너무 힘이 들 때가 있다.  치료하지 못하고 봉합해 버린 상처는 조금의 충격만 받아도 이내 다시 터지고 만다.  회복하려는 노력들이 무위로 돌아가버리면 다음 번에는 더 큰 용기를, 더 큰 희생을 요구해 버린다.  적어도 숨쉴 공간은 남겨두어야 하는데, 왜 이렇게 나를 몰아치니... 나한테 왜 그리 잔인하니...

지난 여름, 내가 들었던 질문 하나. 꿈이 뭐냐고...

'행복'해지는 거라고... 대답했다.  너무 추상적이고 모호한 말에 더 구체적으로 표현했다.  '민폐 끼치지 않고 사는 것이요.'
그 말에는 민폐를 당하지 않고 살았으면 하는 간절한 바람도 같이 있었다.  비록 그때는 말할 수 없었지만.

떠나고 싶은 마음이 간절할 때, 이모는 선보라고 전화를 하셨다.  생각 없다고 말했는데, 마음을 고쳐먹을까 또 고민중이다.
빨리 만나는 게 중요한 게 아니라, 좋은 사람을 만나는 게 중요한 것 알지만, 일단 만나봐야 좋은 사람인지도 알 수 있는 거잖아...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웽스북스 2007-12-09 23: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꾸 친구 없는 티내는 것 같긴 하지만, 암튼 제 친구 H양과 한방 살면서 한달동안 말 안하고 지냈던 적이 있어요- 그거 하나 덜어지는 것만으로도 청량감이 굉장하지요 ^^ 마노아님은 어쩐지 학생들이 매우 귀여워하는 선생님일 것 같은 생각이 드네요- 저도 민폐 끼치지 않고 사는 게 모토이긴 한데, 너무 그렇게 살면 또 주위에서 정 없어 하더라고요- 그래서 내년엔 내가 민폐를 누군가에게 끼치게 되더라도 그걸 견딜 줄 아는 마음을 가져보고 싶다고 생각했었어요- 정말 쉽지 않습니다만 말이죠 ^^

마노아 2007-12-09 23:24   좋아요 0 | URL
청량감이란 표현이 딱 적절하네요. 학생들이 절 귀여워하는 것도 맞고 만만하게 보는 것도 사실이랍니다ㅜ.ㅜ 제가 말한 민폐의 정도란 물리적 정신적 '폭력'의 수준이에요. 그냥 신세지는 것 정도라면 인생의 목표가 되진 않았을 거예요. 정말 쉽지 않은 일이에요...

깐따삐야 2007-12-10 10: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음이 괜시리 짠-해지는 페이퍼네요. 태그까지 지대루네.-_- 제가 사진 봐서 알지만, 마노아님이 너무 예쁘셔서 사람들이 가만 놔두지를 않나 봐요.

마노아 2007-12-10 11:10   좋아요 0 | URL
제가 동화처럼 언니들의 구박을 받고 있는 걸까요^^;;; 동화 속에는 왕자라도 나오지요..(ㅡ.ㅡ;;)
아무튼, 제 주저리 들어주셔서 감사해요...

비로그인 2007-12-10 13: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해맑게 웃는 님의 모습은 원래 그렇게 여렸었군요.
제가 안아드리고 싶네요.
우리는 가족이니까...하면서 상대방에게 함부로 대충 하는 경우가 많지요.
저는 특히 시댁에서 그런 경우를 많이 당했었어요.
그렇다고 도망가듯 선을 보거나 하지는 않으셨으면 하네요.
주변일들이 어느 정도 정돈이 되면 자연스레 마음도 정돈 될거에요.
그리고 저는 지금 님을 언제 어디서 어떤 식으로 만날 지 계속 생각하느라 아주 들뜨고 행복하답니다.

마노아 2007-12-10 19:25   좋아요 0 | URL
승연님의 포옹으로 큰 위안을 얻어요. 시부모님들도 친딸 대하듯 그렇게 해주셔야 하는데, '시'자의 압박은 그런 따뜻함과 잘 맞지 않을 때가 많죠.
주변을 정돈하기까진 시간이 꽤 걸릴 것 같아요. 그래도 노력해야죠.
승연님을 만나는 날이 점점 가까워 오고 있어요. 저도 막 기대되고 그런답니다. 두근두근이에요. ^^

순오기 2007-12-11 09: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음, 이런 맘... 아프지만 그러면서 큰다지요. 마노님은 아직 결혼전이니 아이잖아욧! ^^
남들에게 행복하게 보이는 어떤 사람도 속을 들여다 보면 다 아픔이 있어요.
사람 사는거 101호나 102호나 다 거기서 거기예요.
훗날 돌아보면 '내 인생에 가장 빛나는 시간'을 지금 막 보내고 있을지도...

마노아 2007-12-11 09:39   좋아요 0 | URL
내 인생에서 가장 빛나는 시간이라고 말하기엔 상황이 너무 지저분하지만...ㅠ.ㅠ
누구다 가슴에 삼천원씩 안고 사는 거지요. 크흑...ㅜ.ㅜ

미미달 2007-12-12 01: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외국인에게는 이상하게 잘 웃게 되는 것 같아요.
학교 영어 강의때 수업 받았던 원어민 강사랑 가장 친했었지영.
다른 선생님들 앞에선 웃음이 안 나오는데 왜 그런건지... 쩝

마노아 2007-12-12 09:55   좋아요 0 | URL
원어민 강사랑 친하셨다니, 오옷 대단한 미미달님(>_<)
전 할 수 있는 말이 없어서 주로 웃는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