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소금꽃나무 ㅣ 우리시대의 논리 5
김진숙 지음 / 후마니타스 / 2007년 5월
평점 :
알라딘의 내가 좋아하는 많은 지기님들이 극찬했던 그 책.
관심을 가진 책에서 꼭 보아야겠다고 결심하게 만든 것은 어느 분의 서재에서 본 한 구절 때문이었다.
 |
|
|
|
세상 어느 누구도 그를 사랑한 적이 없는데 누구에게 그를 죽일 권리가 있는가라는 허탈한 질문과 함께.
|
|
|
|
 |
책을 펼쳐 보니, 먹먹하고 막막한 인생은 저 이 한사람 뿐이 아니었다. 너무도 많은 목숨들이 먼지처럼 사라져간 노동 현장.
잃어버린, 아니 처음부터 갖지 못한 그들의 권익, 이땅 수많은 노동자. 모르고 살았지만 나 역시 그 중의 한 사람.
가난이 싫고, 차별하는 아버지가 싫고, 열심히 돈 벌어 동생들 뒷바라지도 하고, 못다한 공부도 다 하리라 청운의 꿈을 품고 강화에서 부산으로 갔던 김진숙씨. 십대의 그 나이에 세상의 강퍅함을 온 몸으로 받아낼 그 때에도, 자신의 남은 인생을 노동운동에 바치게 되리라곤, 그리고 그 사이사이 말못할 핍박이 해일처럼 밀려올 거라곤, 그분 역시 아마 상상도 못했을 것이다.
그리고, 그렇게 운명처럼 숙명처럼 안게 된 노동운동 덕분으로, 누군가는 권익을 찾기 위해 투쟁을 하고, 연대만이 살길이라며 두 손 맞잡고 힘을 보태었을 것이고, 이렇게 책 한권으로 그 마음들을 짐작해 보는 사람들도 있게 되었다. 그 눈물과 그 희생, 그 열정 모두에 감사의 인사를 올린다. 나였다면 못했을 거라고, 착잡한 변명과 함께......
수출 강국 대한민국을 이루기 위해, 그 이름의 견고한 성을 지키기 위해 너무도 많은 노동자들이 착취를 당했다. 산재를 인정받지 못하고 자살이거나 본인부주의로 죽었다고 치부되고 말았던 기막힌 목숨들, 파업이라도 할라치면 부당해고가 이어지고, 복직은 너무나 소원하고, 단식투쟁 끝엔 넘을 수 없는 장벽을 바라보며 다시금 져버리는 목숨들. 그리고 그 가난이 대물림되고, 가진 자는, 자본은 여전히 승승장구, 죄를 짓고도 옥살이 한 번 안하는 이 나라. 노동자의 희생의 역사 속에 이 나라 현대사가 고스란히 맞물려 있다. 그리고 그때 피눈물 흘렸던 이들의 자녀들은 다시금 '비정규직'이라는 이름으로 부모의 시간을 되밟고 있다.
그것이 '남'의 이야기가 아니고 '우리'의 이야기임을, 정규직의 미래가 곧 비정규직임을, 연대만이 곧 살길임을, 애석하게도 너무도 많은 사람들이 모르고 있다. 강 건너 불구경 하듯 하고, 나와 상관없는 일이라 치부하며, 그들의 생존싸움이 나의 불편함보다 하찮게 여기며 살고 있다면, 당신 역시 이 땅의 무지한 죄인.
뉴스를 보다 보면, 얼마만큼의 사실과 진실이 보도되고 있는 것인가 궁금해진다. 신정아 사건이 한참 뜨면서 정몽구 사건은 잊혀져 가고, 그와 비등한 사건들은 모두 잠재워져 갔다. 수년 전 연예인 X파일이 뉴스를 화려하게 장식할 때에는 민주노총이었던가... 한참 파업 투쟁이 있을 때였는데 뉴스에서 쏙 사라졌었다. 의도적인 부풀림, 눈속임 속에서 더 중요한 이야기들, 더 급한 문제들이 잊혀져 간다. 소말리아에서 아직도 돌아오지 못하는 선원들처럼.
아끼고 아꼈던 사탕 한알이 독극물 검사까지 받아야 하는 간첩의 공작물로 치부되던 안기부 그 시절 이야기가, 사실은 지금도 음지에서 생존하게 만들어 주는 국가보안법이 여전히 존재하는 나라. 대선 후보는 자신이 대통령이 되면 경제강국으로 만들어 국민소득 4만불로 올리겠다고 큰소리 탕탕 치고 있지만, 그의 화수분 주머니는 문제삼지 않는 민주 대한민국. 사람이 사람답게 살지 못하고 사람 대접을 받지 못하고 있는데 '경제'만이 우리의 희망이라고 말하는 이 나라의 눈 먼 사람들. 갑갑하고 서글프고, 그리고 챙피해지기까지 하는 우리 사는 세상.
그 안에서, 그래도 희망 꽃피우며 열심히 사는 사람들이 있다고, 막연한 기대를 갖기에는 산재해 있는 문제들이 너무 커서 어설픈 웃음마저도 지어지지 않는다. 한미FTA라는 묵직한 이름 한 방이면 그대로 게임 끝일 것 같아서. 그렇게 걱정하면서도 내가 무엇을 해야 하는지, 할 수 있는지 아직 잘 모르겠는게 더 한심해서, 책을 덮으며 한숨과 함께 부끄러움이 찾아왔다.
이런 세상을 살았다고, 그 세상이 지금도 이어진다고,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책이라도 쥐어주고, 뉴스 한자락에서도 뼈있는 이야기 한자락 더 보태기라도 하면, 내 부끄러움이 조금은 줄어들까. 그것으로 내 부채감이 가벼워질까.
묵직한 내용을 전달하고 있지만, 저자의 글솜씨에는 혀를 내두르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 슬픈 사연들에 이런 감탄사를 붙이는 게 미안하지만, 정말 명문장이었다고, 심장을 뒤흔드는 여운을 내내 전달해 주었다고... 눈물 한 방울 아니 흘릴 수가 없었다고, 사족처럼 붙여본다.
이 책을 알게 해준 바람구두님, 선물해 주신 조선인님 감사합니다. 꾸벅(__)