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이라는 게 참 어렵다. 의사소통의 방법으로서 편리한 도구이지만, 사용하기에 따라서 무기가 되기도 하고 힘이 되기도 하는 놀라운 녀석이다.
지난 주 목요일, 직장에서 힘든 일이 있었다. 그 전날도 힘든 일이 있었지만, 전날의 맘고생이 아무 것도 아닌 게 되어버릴 만큼의 충격이 나를 강타했다. 그건 생존의 문제였고, 생계의 문제였고, 또 존엄의 문제였기에 나는 마음이 온통 넝마가 되어버린 것 같았다. 비올락 말락 날씨의 습기가 모두 내 눈으로 모인 것처럼 울면서 집으로 돌아간 날, 이러이러한 일이 있었다고 엄마에게 털어놓았다.
엄마는 아무 말도 하지 않으셨다. 못했을 수도 있다.
수돗물을 틀어놓고 씻다가, 또 꺼이꺼이 울어버렸다. 쉽게 진정되지 않았고 쉽게 해결될 일도 아니었다.
두 시간쯤 지난 뒤, 방안에서 흐느끼는 소리가 났다. 들어가 보니, 엄마가 TV프로를 보시면서 울고 계셨다. 말레이시아 할머니 한분이 62년 만에 가족을 찾는 내용이었다. 나는, 마음이 상해버렸다.
문을 닫고 나와 멍하니 있다가, 얼마 간 기도를 하다가, 너무 설움이 북받쳐 다시 엄마에게로 갔다.
엄마.
잔뜩 잠긴 목소리로 불러본다.
엄마는 내가 울면서 들어온 것도 알고 있고, 돌아와서도 그렇게 우는데 왜 한마디도 안 해?
나 오늘 참 비참했는데, 너 힘들었겠다... 한 마디만 하면 되잖아.
나는 엄마가 밤마다 나를 위해 울며 기도하는 것도 알지만, 그것보다 내 앞에서 직접, '말'로 위로해주면 안되는 거야? TV프로 속의 그 할머니가 나보다 100배는 더 참담한 세월을 사셨겠지만, 그 할머니를 위해서 울었던 것처럼 왜 나한테는 마음 표현을 못하는 건데? 나 정말 섭섭하다.
말하면서 또 눈물이 쏟아졌고, 엄마도 같이 우신다. 사실은 네 생각하면서 미안함에 눈물이 났던 거라고 고백하신다.
나는, 엄마의 그 말이 진실일 거라고 생각한다. 눈앞에서 표현하지 않지만, 늘 내 생각하고 계실 것을 왜 모르겠는가. 그렇지만, 그건 별로 위로가 되지 않는다. 그저 한 마디 말해주는 것, 혹은 등을 한 번 토닥여 주는 게 더 위로가 될 수 있다. 정말 위로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그것이 위선일지언정 약이 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엄마마저 우니까, 마음이 아파왔다. 그렇지만, 동시에 섭섭한 마음도 사라져버렸다. 조금, 위안이 되기도 하였다. 내 문제 해결에는 아무 도움이 안 되지만, 그래도 마음의 상처는 조금 아물어졌다.
엄마를 울리다니, 나는 참 불효녀다. 그렇게라도 위로를 구한 내가 참 이기적이란 생각도 든다. 그런데, 그래야 숨을 쉴 것 같았다. 혼자서 아파하기엔 상처가 컸다. 같이 울어줄 사람이 필요했다.
손가락 찔러서라도 함께 울어줄 사람이 있었다는 것은 감사할 일이다.
생명의 위협을 느끼는 사람들이 있고, 생존의 문제로 투쟁하는 사람들이 있는 이 시점에, 내 머리속에 나로 꽉 채워져 있는 내가 민망하고 불편하다.
나 먹고 살기 바빠!라고 하는 내가, 먹고 살만해지면 그때는 어떤 변명을 할까? 그때는 지금보다 더 '긍휼'을 베풀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을까? 내가 나에게 허락하는 긍휼만큼 타인에게도...
경성스캔들을 보면서, 그 시절을 살았던 사람들에게 조국이 얼마나 암울했을까를 생각해 보았다. 만약 그 시절에 태어났다면, 나는 독립운동의 필요성을 절감하면서 '방관'자가 되어있지 않을까 참담한 상상을 해본다. 어느 심리 테스트에선 독립운동가의 기질이 있다고 나오더만 스스로 신뢰가 안 간다. 조마자의 충고대로 '자기 안의 혁명'이 필요하다.
'말'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서 말하려고 했는데 심각한 사회 분위기와 역시 심각해져버린 알라딘 분위기에 쓸려 도랑에 빠지고 말았다. ('삼천포'라는 말을 안 쓰려고 노력해 본다.)
오늘 오랜만에 통화한 지인은 상황에 비해 목소리가 밝다고 했는데, 그렇게라도 해야 살아지는 것 아니겠는가.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람은 살아가야 하니까... (역시 경성스캔들의 명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