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트라베이스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유혜자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무명이었던 파트리크 쥐스킨트를 유명하게 만들어준 작품이다.  콘트라베이스를 연주하는 한 남자의 모노 드라마로 진행되는 이 작품은 꽤 독특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처음 내가 파트리크 쥐스킨트의 작품을 본 것은 '깊이에의 강요'였고, 지금까지는 그 작품이 가장 마음에 든다.  그 다음에 '비둘기'를, '좀머씨 이야기', '향수'를 차례대로 보게 되었다.  이 책 콘트라베이스는 '좀머씨 이야기'와 비슷한 느낌으로 다가오는데, 일상적인 소재에서 이야기거리를 만들어 하나의 소설로 만든 점이 공통점으로 보이고, 느릿한 전개와 어쩐지 슬픈 듯한 인상이 또 닮아 있다. 그러고 보면 '향수'를 제외하고는 모두 평범한 소재에서 이야기를 끌어내었다.  평범한 돌덩이도 광석으로 갈아내어 빛을 나게 만드니 작가의 재주에 감탄을 아니할 수 없다.

콘트라베이스 연주자는 오케스트라에서 콘트라베이스가 어떤 영향을 끼치는 지 자랑을 펼쳐놓지만, 자신은 훌륭한 연주자가 아니라고 못을 박는다.  기교에 있어서는 부족한 것이 없지만, 영혼을 싣는 그런 연주자는 아니라고 자조한다.  어쩐지 주인공의 그 착잡한 고백은 작가로서의 그가 스스로의 '글'을 두고 하는 얘기는 아닐까 조심스럽게 대조해 본다.  그는 이미 이름을 떨친 명작가가 되었지만, 이 책을 쓸 때까지만 해도 무명이었으니 그런 생각을 가졌을 법도 하다. 

주인공에게는 세라라는 이름의 성악을 하는 사랑하는 이가 있지만, 자랑스럽게 당당하게 그녀 앞에 나서지를 못한다.  그녀의 훌륭한 재능에 비해서 자신의 보잘 것 없는 재주를 서러워하는 그의 모습은 우리가 흔히 볼 수 있고 또 스스로에게 발견할 수 있는 자신없는 모습 중 하나로 비쳐진다. 

국립교향악단에 소속되어 있는 공무원 신분의 주인공은, 기본적인 생활을 보장해 주지만 그 이상의 예술적 영감을 펼쳐내지 못하는 자신의 소속 울타리가 갑갑하다.  그것을 떨치고 나갈 수 없음을 알고 있기에 그는 더 고뇌하고 슬퍼한다.  똑같이 대입하긴 어렵지만, 자신의 일상 속 테두리를 떨치고 나가고 싶어하는 우리네 많은 소시민의 모습과 비슷한 슬픔이 느껴진다.

주인공은 사랑하는 그녀의 주의를 끌기 위해서 공연을 망쳐놓아 그녀의 뇌리 속에 '각인'을 시키는 계획을 짜보지만 과연 그가 그 계획을 실행으로 옮길 수 있을까...

설령 옮기지 못하고 또 다시 혼자 끙끙 앓고 있다 할지라도 비난하지 않겠다.  그의 모습이 우리의 모습인 것을...

그나저나, 노다메 칸타빌레에서의 그 커다란 악기 콘트라 베이스를 떠올려 보며 이 악기 소리가 궁금해졌다.  실제로 들어본 적이 없는 것도 아닌데 언뜻 잘 떠오르질 않는다.  주인공 연주자에게 미안한 마음이 든다.


댓글(6)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물만두 2007-06-02 17:4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는 비둘기를 생각했었어요^^

마노아 2007-06-02 18: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소심한 소시민... 맞아요. 비둘기에서도 그랬었죠^^

hnine 2007-06-05 11:0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오래 전에 읽어 내용이 가물가물하던 차에 다시 읽어보니 감회가 새롭네요. 이 작가 참 독특해요, 그치요?
추천 리뷰에 오르셨네요. 축하드립니다~~

마노아 2007-06-05 11:4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추천리뷰라니, 부끄러워요^^;;;;
작가의 정신 세계가 4차원 같아요. 신기할 따름입니다^^

프레이야 2007-06-06 07: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쥐스킨트의 이 책은 읽는다해놓고 못 읽었는데 님의 리뷰 보니까 다시...
땡스투!

마노아 2007-06-06 20: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불현듯 읽고 싶어진 거군요. 이름을 줄였어요. 혜경님~ 땡스투 감사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