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나무역과 둘러싼 온갖 이야기들.

온누리 교회를 통해 새어나오는 온갖 이야기들.

지나치게 쿵짝이 잘맞는 노무현 정부와 조중동.

이젠 온갖 속보를 보는게 화가 나고 그 분노에 서서히 지켜간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nrim 2004-06-29 2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힘내셔요!! 으쌰으쌰~~!!

balmas 2004-06-30 00:1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엇, 조선인 님이 너무 피곤하셨나 보다 ... 힘내세요!!
싸움은 이제 시작인데요. 지금 많은 사람들이 속속 파병철회 투쟁에 동참하고 있잖아요. 정의구현 사제단이 동참했고, 오늘 신성우 씨 일일 시위도 하고, 여러 연예인들도 동참의 뜻을 밝혔고, 앞으로도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저희들에게 동참할 거예요. 화이팅!!^^
오늘은 푹 주무시고 내일 행진할 준비 하셔야죠.^^
앗! 지금 [PD 수첩]에서 한국과 미국은 김선일 씨 피랍사건을 몰랐는가?라는 프로를 하네요. 꼭 보세요!

조선인 2004-06-30 09: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모두들 따스하게 격려해주셔서 고맙습니다.
이제 시작되는 싸움에 지친 건 아니고요, 다만 뉴스보기가 힘겹게 여겨졌던 거에요.
정말로 고맙습니다.
비록 6.30 주권이양 사기극이 6.28이 되었지만, 오늘 저녁 힘차게 행진합시다.
 

"대중교통요금, 손해보고 타지 맙시다."   내일 7월 1일 서울시의 대중교통체계가 확 바뀐다. 더불어 지하철·버스 등의 대중교통 기본요금도 인상된다. 각종 할인혜택도 사라진다. 장기 불황으로 얇아질 대로 얇아진 지갑, 한푼이라도 아낄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   #최단 노선을 찾아라   지하철·버스를 연계한 최단 거리 이동방법을 찾아야 한다. 새로 바뀌는 교통요금 체계에서는 30분 내에 환승하면 기본요금을 한번만 내고, 환승시에도 총 이동거리 10㎞까지는 800원만 내면 된다. 이동한 거리별로 요금이 책정되니 모르고 돌아가면 돌아간 만큼 추가요금을 더 내야 한다. 서울시 홈페이지(bus.seoul.go.kr)나 수신자 부담 안내전화(080-800-5656)를 활용해 일단 최단 노선을 '확보'하는 것이 좋다.

  #버스 하차시 단말기 체크를 빨리 하라   버스요금은 승차시에 일단 과금되고 환승할 경우 하차시 단말기에서 이동거리·환승여부 등 정보를 종합해 다시 돌려준다. 이때 조금 미리 체크하면 10㎞ 이상을 이동하더라도 기본요금인 800원으로 이동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버스로 8㎞ 가고 다시 지하철로 2.1㎞를 이동할 경우 총 이동거리는 10.1㎞로 기본요금 800원에 5㎞마다 추가되는 100원을 더해 900원이 정상요금이다. 하지만 처음 버스에서 100m만 일찍 하차 단말기에 체크하면 총 이동거리가 10㎞가 돼 기본요금인 800원만 과금된다. 그렇다고 너무 일찍 체크했다가 30분 내에 환승하지 못하면 다시 기본요금을 내야 하니 지나친 잔꾀는 금물이다.

  #교통카드를 쓰자   교통카드를 써서 할인되는 금액은 없지만, 현금을 낼 때는 추가요금이 50·100원씩 붙는다. 또 현금을 낼 때는 종전처럼 환승할 때마다 요금을 내야 한다. 서울시는 새 교통체계에 맞춰 티머니카드를 도입했다. 하지만 기존의 충전식 교통카드와 신용카드 겸용 후불식 교통카드도 2008년까지 병행해 사용할 수 있다. 티머니카드는 보급형과 고급형이 있는데 각각 1,500원과 2,500원을 내고 구입해 1,000원 단위로 충전해 사용할 수 있다.

  #대학생들은 정액권 사용을   6월 말부터 종전의 정액권은 사라지지만,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지하철 정액권은 당분간 계속 발매돼 환승할 필요가 없는 대학생의 경우 20% 할인혜택을 계속 누릴 수 있다. 또 어린이(6∼12세)와 청소년(13∼18세)은 티머니카드를 구입, 티머니 홈페이지(T-money.co.kr)나 콜센터(1644-0088)에 등록하면 각각 50%와 20%의 할인 혜택이 주어진다.

  #무료환승 시간간격을 잘 이용하라   간단한 볼일을 보는 경우 30분 내로 일을 처리하고 버스나 지하철로 환승하게 되면 기본요금을 추가로 낼 필요가 없다. 총 이동거리가 10㎞ 이내일 경우에는 기본요금만으로 오고가는 차비가 해결된다. 21시 이후에는 무료환승 시간간격이 30분에서 1시간으로 늘어난다.

  #환승에도 제한이 있다   무제한으로 가능하면 좋겠지만, 단말기가 인식할 수 있는 용량의 한계로 4번까지 환승해 총 5회까지 탑승할 수 있다. 하지만 지하철은 통합요금 계산시 한번만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스-지하철-버스-지하철-버스' 또는 '지하철-지하철' 식으로 이동했을 경우, 두번째로 이용하는 지하철부터는 새로 기본요금을 내야 한다.

  #광역버스는 환승하면 손해   수도권에서 서울 도심으로 들어오는 광역버스의 경우 무료환승이 안된다. 종전대로 갈아탈 때마다 요금을 내야 한다.   서울시에 따르면 광역버스의 경우 거리비례제인 통합요금제로 과금하면 요금부담이 지나치게 커져 어쩔 수 없이 종전 방식으로 운영된다고 한다. 또 서울 도심을 드나들지만 경기도에 등록된 버스도 이번 개편에 포함되지 않아 종전대로 이용해야 한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balmas 2004-06-29 14: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무슨 이야기인지 다 알아듣지는 못했으나,
상당히 유용한 정보인 것 같아서 일단 퍼가고 봅니다.
어쨌든 새 교통체계는 너무 복잡해~~!!

조선인 2004-06-29 14: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러게요. 서울시에서 요금 시뮬레이션도 만들어줬음 좋았을텐데...
bus.seoul.go.kr도 별 도움이 안 되더군요.
 

■ 노무현 대통령 사죄! ■ 이라크 파병 즉각 철회! ■ 서희제마 부대 즉각 철수!
■ 이라크 점령 미군 철수! ■ 이라크는 이라크 민중에게!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은아이 2004-07-01 17: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가져가요...
 


마지막으로 화장한 게 2003년 12월경 아버님 환갑기념 가족사진을 찍었을 때니 대략 반년만이다.

향 알러지 때문에 커다란 가족잔치가 있거나 중요한 사진찍을 때만 화장하게 된다.

이번에 화장한 건 친정 큰사돈댁 도련님 결혼식 때문.

친구나 동료 결혼식은 뻔뻔하게 그냥 가지만, 차마 사돈댁 결혼식에 정장을 안 할 수가 없다 보니.. 쩝...

사돈댁 아가씨도 신기하다고(?) 사진을 찍어줬다. ㅎㅎㅎ


댓글(8)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4-06-29 12:0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으헉... 왜 이리 알라딘 아줌마들은 이리 이쁜 것인가요. 처녀인 저는 얼굴 공개도 못하는데...

마태우스 2004-06-29 12:1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그러네요^^

panda78 2004-06-29 1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미인이시네요- 눈이 아주 매력적이신 듯. *0* 와- 아줌마 아닌 것 같아요!

starrysky 2004-06-29 12:3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마로를 보면 능히 어머니의 미모를 짐작할 수 있지 않습니까.. 역시 모전여전입니다. 마로는 분홍공주였네요. ^^

조선인 2004-06-29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궁... 화장발에 대한 빈말 칭찬이라도 고맙습니다요.

水巖 2004-06-29 13:3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판화를 찍었네요.

밀키웨이 2004-06-29 15: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이쁘셔요
아무리 화장발이라고 우기셔도 이쁘십니다.
글고 말이죠
화장해도 안 이쁜 사람 많거덩요? ^^;;;

비로그인 2004-07-06 22: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름다우십니당^^그리고 마로...웃는모습이 예사롭지 않습니다...아주 굿입니다..
 
 전출처 : 마냐 > (역시 베낌)말...

에두아르도 갈레아노의 '거꾸로 된 세상의 학교' 중에서.......


- 어떤 말은 대중 앞에서 이야기하면 상황이 껄끄러워지기도 한다........

- 자본주의는 '시장경제'라는 예명을 자랑한다.

- 제국주의는 '세계화'라고 한다.

- 제국주의의 희생자들은 '개발도상국'이라고 불리는데, 이는 어린이들을 난쟁이라 부르는 것과 같다.

- 기회주의는 '실용주의'라고 불린다.

- 배신은 '현실주의'로 불린다.

- 가난한 사람은 '없는 사람, 부족한 사람' 또는 '자산이 거의 없는 사람'이라고 불린다.

- 가난한 어린이들이 학교 밖으로 내쫓기는 것은 '중퇴'라고 한다.

- 고용주가 해고수당도 없고 아무 설명도 없이 노동자를 해고할 권리는 '노동시장의 유연화'로 불린다.

- 여성의 권리를 '소수'의 권리에 포함한다. 인류의 절반인 남성이 다수이기나 한 것처럼 말이다.

- 군부독재 대신에 '과정'이라고 이야기한다.

- 고문은 '불법 핍박' 또는 '신체와 심리에 가해지는 압력'이라 한다.

- 도둑놈이 좋은 집안 출신이면, 도둑이 아니라 '도벽이 있는 사람'이다.

- 부패 정치인의 공금 횡령은 '불법 축재'라고 한다.

- 자동차가 저지르는 범죄는 '우연한 사고'다....

- 전투에서 사망한 사람은 '전시 사상자'로 아무 죄도 이유도 없이 전투에 얽힌 민간인들은 '부차적 피해'라고 한다.

 

다국적기업은 세계 여러 나라에서 동시에 경영되고 있기 때문에 다국적이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만, 실상 부와 정치력, 군사력, 문화, 과학지식, 기술력을 독점한 몇몇 국가의 소유다. 세계 10대 다국적기업의 현재 수입은 100개 나라의 수입을 모두 합친 것보다 많다.

개발도상국이란 전문가들이 다른 나라의 발전에 밟혀 뭉개진 나라들을 지칭하기 위해 만들어 낸 이름이다. 국제연합에 따르면, 개발도상국은 불평등한 무역과 금융관계로 인해 대외원조비로 받는 돈보다 10배나 많은 돈을 선진국에 보낸다.

대외원조란 국제관계에서 악덕이 미덕에게 지불하는 약간의 세금을 이른다. 대외원조는 대체로 불의를 더욱 강화하는 방식으로 분배되지, 불의를 거스르는 방식으로 분배되는 경우는 가뭄에 콩 나는 격이다. 1995년 세계 각국의 에이즈 발병건수의 75%가 검은 아프리카에서 발생했지만, 아프리카는 여러 국제기구가 에이즈 예방 차원에서 나누어 주는 기금의 3% 만을 지원받았을 분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숨은아이 2004-06-29 12: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도 늘 궁금했어요. 인류의 절반인 여성을 이야기할 때, 그리고 부자보다 1000배는 더 수가 많은 빈민을 이야기할 때, 왜 "소수자의 인권"이라고 하는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