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려움과 떨림
아멜리 노통브 지음, 전미연 옮김 / 열린책들 / 200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 난 왜 이렇게 처음 접하는 작가가 많은게야... 여지껏 책 좋아 한다고 하더니 뭘 본거지?

아멜리 노통브도 알라딘에서 서재질을 시작하면서 알게된 작가이다... 얼마나 그녀의 필력이 좋길래 다들 그녀의 팬을 자처하는걸까..

두권의 책을 샀다.. 보통은 한권을 보고 나서 이 작가가 나랑 맞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다른 작품을 선택할 텐데. 우짠지 그냥 속지 않을 것 같은 기분이 들었는데.. 내 예감은 틀린 적이 없다...

먼저 든 책은 두려움과 떨림.  보통 이 두가지가 다 온다면 이건 공포에 가까운 무서움아닌가... 이거 이거 공포물이면 어쩐다..

작가의 자전적 체험의 소설화라는 이름에 걸맞게 외국인이 겪는 사회생활은... 어찌보면 너무도 비정상적인.. 그래서 내가 이해하기엔 좀 부족한 면이 많았다.

아무리 일본이란 사회가 우리의 상식대로 흘러가는 곳이 아니라고 하지만 그래도 너무 하잖아.

재일동포들이 일본에서 서러움을 겪고 살았다는 말이 실감난다.. 그들도 이방인으로서 이보다 더 혹독하면 혹독했지 덜하진 않았겠지 하는 마음.... 뭐 일본 회사가 다 이렇다는건 아니겠지만 그래도 이 유미모토사의 이야기가 일본 전체를 말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오늘 아침 방송에서도 일본사회의 광고모델이 아시아계로 바뀌는것은 경제불황으로 광고비가 삭감된 것도 있지만 인터넷등의 발달로 더 이상 미국이라는 나라가 환상적인 존재가 되지 않았다는 말을 들으면서 일본 사회는 서양에 대한 동경이 가득한 나라로 알고 있었는데 그것만도 아닌가 하는 약간의 어리둥절함도 같이 느끼게 한 책이다.

일정한 직책도 주지 않을 꺼면서 왜 직원을 뽑냐고.. 외국인이 자기네 말을 유창하게 하는게 무슨 큰 잘못이라도 되는 양 벙어리처럼 차만 나르라니 게다가 자신의 개인 복사물을 정확하게 한장 한장 해오라는 심보는 뭐야...   아무튼 간에 좀 상식을 벗어나는 일들이 많았고.. 그녀가 왜 1년을 참으면서 그런 일들을 했는지 내 상식에선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었다.   나라면 아마도 뒤집어 엎어 놓고 나왔을 텐데..

인상깊은 부분은 50페이지

<아마, 벨기에가 독일과 국경은 접하고 있겠지만, 일본은 지난 전쟁 동안, 독일과 국경보다 더한 것도 같이 나누지 않았냐고>

후부키라는 직장상사가 잘못처리한 일들에 대해 말하면서 몰아치는 말에 대한 아멜리의 속마음이다.   그냥 우리 아닌 누군가 그들의 잘못을 알고 있다는것에 다행이라는 안도를 하게 된다.

속을 알 수 없는 나라 일본... 겉모습만 화려한 일본사회를 알게 되기까진 얼마나 많은 시간이 걸리려나..

과거 일본 황실 의전엔 천황을 알현할 때는 두려움과 떨림의 심정을 느껴야 하는다는 대목이 있었다라는 문장을 읽으면서는 일본사회가  우리가 겪었던 독재사회보다 더 한 사회은 아니었을가 하는 의문이 든다.

죄도 없으면서 독재자나 권력자 앞에선 혹시 내가 없는 죄를 뒤집어 쓰는 건  아닐까 싶은 두려움과... 혹시나 하는 떨림...

아멜리 노통브... 그녀의 필력~ 만만찮다...  행복한 하루를 L.J.Y


댓글(5)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마냐 2005-09-27 12: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만만찮죠.....근데, 오래오래 그녀의 팬을 할 수 있을런지...흐흐.

인터라겐 2005-09-27 13: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헉.. 마냐님.. 그 웃음은???

마태우스 2005-09-29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건 왜그러냐면요 그녀의 책들이 다 비슷비슷해서 금방 질리기 때문이죠. 전 한 일곱권째부터 질리더이다. 물론 최근 2년 사이에 그녀의 책이 우르르 번역된 탓도 있을 거예요.

마태우스 2005-09-29 10: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하여간 서른도 되기전에 베스트셀러를 써내고, 그 후에도 신선한 소재로 오래도록 롱런하는 노통이 보통 사람은 아닌 게 분명합니다.

인터라겐 2005-09-29 10: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마냐님의 웃음이 그런 의미였군요.. 저도 너무 많아서 이 책하고 오후 네시 이렇게 두권만 먼저 구입했거든요... 앗 그러면 마태님과 반대의.... 마태님은 죽으나 사나 기생충을 소재로 하시는데....흐흐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