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없는 일요일이다.
집 앞 서점에 가서 서경식 선생의 신간인 고뇌의 원근법을 사서, 찻집에 자리를 잡는다.
그 짧은 시간 서점에서 찻집까지 가는 시간동안 책에 마음을 뺏긴다. 에밀 놀데의 풍경화는 이 책을 통해 처음 봤다. 아름답다.. 서경식은 늘 내 마음을 흔든다. 그가 가진 예민함이 콕콕 마음을 찌른다.
찻집에서 차 말고 맥주를 들이키며 찬찬히 읽어 나간다. 책에 언급되는 그림들도 꽤 많이 수록을 했다. 그래서 책값이 만만치 않았나보다.
이런저런 약속들도 내 머리에서 지워지고, 책과 나 둘이서 대화를 한다.
'어 이게 오토딕스 거 였어? 와~ 나도 꽤 심미안이 있는 놈이군 ㅎㅎ' 혼자 흐뭇해 한다. 나는 에딘버러에서 오토딕스의 '모피위의 여인'을 본 적 있다. 그 그림이 전시된 방에 들어가자 마자 그림에 홀렸던 기억이 생생하다. 화면 밖으로 넘칠 듯 한 황금 빛의 향연. 짜리몽땅하고 통통한 툭 튀어나온 눈의 그 여인이 어찌나 매력적이던지.. 당시엔 오토딕스가 누구였는지 몰랐고, 돈이 없었던지라 조그마한 엽서로 구매해 기숙사 방에다 붙여놓았다. (보는 사람마다 취향 참 이상하단 말을 했었다. 사실 내 블로그 메인 이미지도 한때 포스터로 내 방에 붙어 있었다) 아 이게 이렇게 유명한 작가 작품이면 다시 한번 포스터라도 구해 볼 수 있겠다는 생각에 행복해진다. 이 속물근성 --;;
그 지역의 유명한 화가인가 보다 생각했다. 영국은 많이 유명하지 않아도 자기지역 예술가들의 작품을 정성스레 전시해 놓은 경우가 많이 있다. 내 집앞을 그린 그림을 걸어서 갈 거리에 있는 미술관에서 본다는 건 정말 멋진 일일듯 하다. 왜 사람들은 멋진 사진도 좋아하지만, 자기가 아는 사람이 나오는 사진을 더 좋아하지 않나. 나만 봐도 책에 아는 사진 나왔다고 지금 한 단락째 쓰고 있지 않는가 ㅎㅎㅎ
어쨌거나 책을 읽으며 미술과 상관 없는 이런저런 대화를 너무 많이 나눈 탓에 과음을 했고, 책도 다 끝내지 못했다.
중간평을 하자면, 그에게 전쟁은 끝나지 않았는지 모르겠다. 그의 형 서승의 얼굴에 화상자국처럼 분명한 분단된 조국과 제국주의에 의해 강요당한 디아스포라인 자신 처지. 무엇하나 끝나지 않았다. 그래서 그가 읽어주는 근대의 그림이 이리 생생히 마음에 와 닿나보다.
(서승 선생은 최근 이명박 대통령에 대한 격분 인터뷰를 한 적이 있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0908539 )
요즘 일기는 왠지 음주 일기가 되고 있다. 끊어야 할텐데.. 예술과 술~ 너무 어울리는 짝이라 어쩔 수 없다 ㅠ.ㅠ 6월 9일날 이한열 열사 추모제를 한다고 동문모임에서 문자가 왔다. 69제에는 왠지 잘 가지 않는다. 그 정신없는 온갖 정치인들이 생색내러 오는 꼴 보기가 싫다 흠..
그리고 두산!! 이러면 안된다 정말.. 내 가슴이 주말내내 얼마나 아팠는줄 아느냐~ 두목곰 냉큼 돌아와라 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