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과천 국립현대미술관을 다녀왔다.
한국만화100년 전시회를 보려고 갔는데 6월 3일부터라 전시준비중인 곳에 몰래 잠입해서 공중전화기에 기대어 있는 목각으로 만든 태권V만 잠깐 구경했다.
대신 인도현대미술전을 구경했는데, 꿩대신 닭이 아니라 아주 한우쯤은 되는 훌륭한 전시였다.

인도의 현대미술가들의 고민은 어떤 것일까?
첫번째는 전통미술을 어떻게 재해석해서 내놓을 것인가였다. 전통인도신전을 작은 모형크기로도, 병풍정도 크기로도 전시하고 있었는데, 인도적 정취가 물씬 풍기면서도 다양한 현대의 문양을 넣어 두었다. 현대적이지만 누가봐도 인도의 정신을 구현한 미술품이란 이런 것이 아니겠나 하는 생각을 해봤다.
두번째는 현재 인도의 상황에 대한 고찰이다. 인도 역시 빠른 산업화에 따른 극심한 주택란과 쓰레기 더미, 끔찍한 교통환경으로 고통받고 있다. 파키스탄과의 국지전에 따른 이주와 실종, 테러의 고통도 있다. 작가들은 때로는 유머러스하게, 때로는 섬찟하게 현실을 고발해 낸다.
국립현대미술관에는 우리나라 작가들의 많은 미술품도 전시되어 있다. 그런데 인도의 현대 미술을 접하고는 마음 한켠이 시큰해짐을 어쩔 수 없다.
현대미술관을 가득 매운 우리나라의 작품들은 서양인이 동양화를 흉내낸 것 같은 그림 또는 마치 고흐의 그림처럼 동양의 색채를 지닌 서양화 같았다.
그런데 인도의 현대미술에는 인도에 살아가는 민중들의 고충이 옅보이고, 그들의 사상과 철학과 종교의 일단이 잘라들어가 있었다.
왜일까?
그들도 영국의 식민지를 보냈는데, 아마 그들의 주류 예술가들도 미국이나 파리로 젊은시절 유학을 갔다 돌아왔을텐데 왜 그들은 세계의 양식을 배워 인도의 정신 속으로 녹여낼 수 있고 우리의 작가들에겐 그런 느낌을 받을 수 없을까?
친일하고 친미한 사람들이 한 순간의 공전도 없이 이 세상의 주류에 있었기 때문일까?
전통은 모두 쓰레기장으로 보내 버린 때문일까?
그게 우리네 정신이 녹아나지 않는 이유라곤 하더라도,
왜 우리네 사는 얘기가 우리 그림에선 잘보이지 않는걸까?
(아주 없다는 얘기는 아니다)
좋은 곳을 산책하고 좋은 그림보고 왔는데,
아.. 마음이 약간 아픈 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