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 시절, 실컷 낮잠을 자고 나면 한동안 꿈과 현실의 경계를 구분하지 못하여 애를 먹었던 적이 있었다. 시간(時間)과 공간(空間)에 대한 관념들은 이미 그 벼리를 잃었고, 인간에 대한 판단조차 꿈과 현실을 오가며 가늠했던 기억이 있다. 결국 이 삼간(三間) 모두가 꿈, 그리고 현실이라는 경계에서 좌표를 잃었고, 등대를 잃은 난파선처럼 표류했던 것이다.
그런데 도대체 이 꿈이란 것은 무엇인가? 혹자는 현실에 대한 반영이라고 했고, 또 다른 이는 현실에 대한 왜곡된 반영이라고 했고, 또 어떤 이는 현실에 대한 왜곡된 형태의 뒤틀린 반영이라고 했으니 꿈이라는 것은 딱히 정의할 수 없는 미개의 영역이자, 신비의 보고이다. 그런데 문제는 꿈이 현실의 반댓말이라는 착각은 바로 우리가 만들어내었다는 데 있다. 오히려 꿈은 현실의 연장선이고, 현실은 꿈의 도화선이 아닐까? 아니면 그 반대일수도. 혹은 꿈과 현실은 말그대로 자리없는 뒤범벅이라고 할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영화 '수면의 과학'은 꿈과 현실의 경계를 잃어버린 채 뒤죽박죽 살아가는 스테판을 통해 우리의 인생을 성찰하게 만든다. 자신의 꿈이 성취되지 않는 직장에서 그저 희망을 잃은 존재로 살아가는 스테판에게 꿈은 자신의 비루한 현실을 벗어나 꿈과 희망이 성취된 유토피아로 이끄는 마법이다. 그 마법이 빚어내는 환상 속에서 그는 자신의 인생을 완성해간다. 하지만 꿈과 현실의 모호한 경계는 그의 일상에 치명적인 결과들을 낳는다. 세간의 시선으로 바라본다면, 그는 어디 한 곳에 나사가 빠진 것 같다. 엉뚱하기는 이를데가 없고, 둘째가라면 서럽다.
그러한 그에게 사랑이 찾아온다! 스테파니. 옆 집으로 이사 온 그녀의 묘한 매력에 그는 점점 빠져들기 시작한다. 하지만 늘 그녀 앞에서 보여주는 어설픈 모습들은 그녀와의 거리를 좁힐 수 없게 만든다. 그러나 스테파니는 오히려 그의 기발하고 엉뚱한 행동들이 천진난만하게 느껴질 뿐이다. 스테판과 스테파니는 은연 중에 서로의 공통점들을 발견하며 마음을 나누게 되고 그들의 사랑은 보여지는 것보다 커져버린 상태였다.
하지만 꿈 속의 사랑 또한 완전할 수 없다. 소심함으로 인해 완성되지 못한 현실에서의 사랑은 꿈 속에서도 예의 그 소심함 때문에 성취되지 못한다. 스테판은 그녀가 자신을 구원해주길 열렬히 기대하고 있지만 스테파니 또한 그 기대에 완전히 부응할 수 없는, 인간일 뿐이다. 외톨이같은 자신의 인생에 한 줄기 빛인 그녀이지만 그녀는 스테판의 세계 속으로 완전히 들어올 수도, 나설 수도 없는 여자일 뿐이다.
사랑은 어쩌면 다 그런 것이다. 나에게 만큼은 정말이지 특별하고, 다르게 보이지만 사실 사랑이란 다 그런 것이다. 게다가 사랑의 특징이란 것이 '좀처럼 마음처럼 되지 않는 것'이기에 사람은 그 와중을 헤메다가 절망하기도 한다. 어쩌면 스테판은 몽환적 현실을 살면서 절망한 것이 아닐까? 현실이 꿈처럼 되지 않는 것처럼 사랑도 꿈처럼 성취되지 않으며, 현실이 비루한 것처럼 사랑도 비루하다는 것을 깨달은 건 아닐까? 꿈과 현실, 사랑과 체념된 소망, 난파선, 등대를 잃어버린. 가엾은-사랑스러운 스테판, 스테파니.
"날 구해준다면
평생 당신의 친구가 될게요
당신의 침대에 넣어주세요
겨울에 따뜻하게 해줄게요
즐겁게 장난치는 새끼 고양이들처럼
나도 그렇게 되고 싶어요
당신이 날 구해주면
난 다시 외톨이가 될 필요 없겠죠
차들은 빨리 지나다니고 사람들은 못살게 굴고
가끔은 먹을 걸 구하기 힘들어요
당신의 세계에 넣어주세요
당신을 따뜻하고 즐겁게 해줄게요
비가 올 때 우린 뭘하고 놀까요
당신이 날 구해주면
평생 친구가 될게요
침대에 넣어주면
겨울에 따뜻하게 해줄게요
언젠가 누군가 내 눈을 보며
안녕 넌 나의 정말 특별한 고양이야라고 할 거라는 거 알아요
그러니 당신이 날 구해주면
난 다시 외로워질 필요 없어요
난 다시 외로워질 필요 없어요
난 다시 외로워질 필요 없어요"
<수면의 과학>에서 스테판(가엘 가르시아 베르날)이 부르는 노래 “If you rescue 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