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 이 영화가 개봉 전부터 진보진영의 기대를 한 몸에 받았던 것은 사실이다. 그들이 한껏 기대를 가졌던 건 영화가 보여주는 뚜렷한 '반미적' 시각 때문이었다. 포름알데히드(였던가?)를 한강에 방류한 주체는 미군이었고, 이것은 엄연한 역사적 사실에 기초하고 있었다. 또한 곳곳에 배치된 영화적 장치들은 '제국' 미국에 대한 감독의 불편한 인식을 드러내주고 있었다. 그것뿐인가? 386운동권 세대에 대한 약간의 우호같은 것들은(박해일은 출신성분이 그것을 설명해준다.) 감독의 편향이 어느쪽인지를 가늠할 수 있을 정도로 명확히 나타난다.
그러나 이러한 영화적 장치로 인해 이 영화를 정치적으로 보는 시도를 나는 불편하게 생각한다. 물론 다분히 정치적이지만 그것이 영화를 밀고가는 내러티브라고 보기는 어렵다. 영화는 현상적으로 드러나는 정치사에 관심하는 것보다 더 근본적으로 인간과 집단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면서 묵직하게 내러티브를 밀고 가는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예의 '반미적' 시각이란 시퀀스를 이루는 한 요소일 뿐, 이것이 영화의 주부도, 술부도 될 수는 없다. 내가 보기에 이 영화는 국가와 개인이 주부이고 가족이 술부이다. 영화는 국가(혹은 집단)와 개인을 대립항으로 몰고 가면서 가족을 술어로 비벼넣는다. 국가와 개인의 싸움은 이미 끝이 나있는 싸움이지만 가족은 이 싸움이 쉬이 끝나지 않을만한 주제이다. 그리고 그 지리한 싸움 속에서 '개인'이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버티게끔 해주는 동인이기도 하다. 그런면에서 이 영화는 세 축을 중심으로 팽팽하게 갈등하고 있다.
이러한 내러티브 안에서 비로소 영화는 두 가지 물음을 관객에게 건넨다. "개인은 어떻게 황폐화되는가?", 그리고 "황폐화된 개인은 어떻게 극복해가는가?" 첫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을 영화가 여실히 보여주었다면 두 번째 질문에 대한 대답은 이제 우리들의 몫이다. 물론 영화에서 강두는 극복해낸다.(TV를 발로 끄는 엔딩장면에서 강두는 통괘하고, 멋지게 괴물같은 국가를 조롱한다.) 그렇다. 이제 황폐화된 우리 존재의 자리를 찾아주는 일은 우리의 몫이다.